Tyan S2895UA2NRF 에서 각종 충돌

소현준   
   조회 4300   추천 92    

아래 이길주 님께서도 2895 와 320-2x 의 고난기를 적으셨지만 제 겪은 바도 제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유게시판에 먼저 적었던것과 리플달아주신 내용을 함께 옮겼습니다.

바이오스는 V1.00 OS 는 windows2003 이며 제 보드는 2895UA2NRF on Board SCSI 버전입니다.

1. 320-2x
제 보드에서 320-2x 에만 하드를 물려 사용할 경우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320-2x 와 다른 on board 장치를 함께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

2. 320-2x + on board SCSI 또는 on board SATA
320-2x 에 on board SCSI 또는 on board SATA 를 enable 할 경우 부팅진입이 안됩니다.
Boot 순서를 정하는 곳에 가보면 320-2x 와 on board 에 물린 하드가 섞여 있습니다.
320-2x 에 SATA 에 물린 WD2000JD 하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처럼 나타납니다.
SCSI 도 마찬가지 입니다. 제가 on board SCSI 에 장착된 하드의 이름이 보입니다.

3. 320-2x + on board SCSI disable
on board SCSI 를 diable 할 경우 잘 부팅이 되는데
신기한건 on board SCSI (LSI 1030) 에 물린 하드가 장치 관리자에 나타난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더 이상한건 on board SCSI controller 는 장치 관리자에 나타나지 않음에도 SCSI 가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무언가 찜찜하지만 그 하드의 내용을 읽고 쓰는데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4. 320-2x + Promise SATA RAID
제가 2466 에서 SATA  를 사용하기 위해 가지고 있던 Promise S150TX4(4ch) 가 있어서
사용이 불가는한 on board SATA 를 대신해서 SATA 를 쓰기 위해 함께 장착해 보았습니다.
이 경우 320-2x 와 충돌은 없습니다만, 이상한건 제가 단 한채널에만 연결할 경우만 사용이 가능했다는 겁니다.
두개 이상의 채널에 연결할 경우 operating system not found 같은 에러가 뜨는 것도 아니고,
그냥 화면에 아무것도 뜨지 않는 panic 상태가 되어 버립니다.
채널을 이리저리 바꾸어 보아도 소용이 없습니다.

이 promise raid 카드는 현재 PCI-X 100MHz 슬롯에 물려 있습니다.
점퍼를 손대지 않은 default 상태에서 사용중이라 100MHz 로 작동중인것 같은데
66MHz 로 점퍼 변경이나 32bit 슬롯에는 작동시켜보지 않아 어떨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추후에 변경하여 작동을 시켜 다시한번 적어 올려 보겠습니다.
32bit 카드를 PCI-X 100 에서 작동시키는 것에 대해 문제가 되는건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5. on board network adapter
nforce4 계열의 대부분의 보드가 2개의 lan port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2895 보드는 이 두개의 lan 을 모두 활성화 시키면 어이없게도 충돌이 나더군요.
한쪽을 바이오스에서 disable 시키고 나니 그제서야 작동을 시작합니다.

깔끔하게 정리했다고 생각하고 케이스를 덮었다가 몇번이나 케이스를 열었다 닫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새로 올라오는 바이오스도 문제가 있다고 하여 아직 바이오스 업데이트도 하지 않은 탓도 있겠습니다만
2895 보드는 아직까지 해결해야할 문제가 있는 보드로 생각됩니다.
물론 옵테론 보드가 아직 선택의 폭이 넓지 않기때문에 2895 를 선택하실 분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만,
제가 몇줄 적은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짧게 적어 보았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김덕기 (2005-08-14 13:48:04.2692)  
 
고생하셨네요.
어찌보면 보드보다 320이 민감한 녀석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송상병 (2005-08-14 15:59:37.3192)  
 
1. 320-2 시리즈 (노멀, x, e)가 아직 약간 트러블이 있는것 같습니다.

2. 새로운 BIOS (자료실에 있는)로 해결을 봤다는 분이 계십니다.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3. BIOS에서 Desable 해도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BIOS에서 포스팅이 안되면 Booting Device로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4. Promise는 개인적으로 추천해 드리고 싶지 않는 칩셋입니다. 트러블이 났을때 Promise를 제거하면 90%는 해결이 됩니다.
또한 점퍼를 66Mhz로 설정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작동을 보증할수 없습니다. 320-2x와 다른 채널을 사용하시면서 66Mhz 점퍼를 on 해 주시길 바랍니다.

5. 저도 같은 증상으로 문제가 발생했으나 nForce 6.53 버전 드라이버로 안정화 되었습니다.
참고로 2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는 각 CPU와 HT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소현준 (2005-08-14 17:29:14.1800)  
 
송상병님 의견 감사합니다.
좀더 안정된 바이오스가 등장할때 업데이트 하려고 우선 눈여겨 보고있는 중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수민 (2005-08-14 18:03:41.8254)  
 
제가 AMD매니아 이면서 옵테론과 320-2 이후로 고전에 고전을 거듭하다 노코나로 넘어온 사연이 바로 소현준님이 격으신것같은 자잘한 문제점입니다.
인텔 보드 사용하면서 느낀점은 역시 잘 만들었네 입니다. 자질구레한 문제가 거의 없습니다. 어떤카드와도 잘 어울리고...
언젠간 다시 옵테론 쪽으로 돌아가고싶은데 MPX칩셋일때도 마찬가지로 SCSI를 사용안한다면 별 문제가 없지만 SCSI를 사용하는한은 힘들것 같습니다.
AMD쪽도 칩셋이 좀더 다양해지고 성능 향상도 좀 있어줘야 안심하고 돌아갈텐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윤일 (2005-08-14 22:11:29.8506)  
 
320-2 X or E (SRCU42X , SRCU42E) 개별 및 동시에 사용시 저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다만 사용하지 않는 , SATA 및 기타 부가옵션은 Disable 로 그리고 바이오스는 초기 바이오스 였습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09-02-02 16:55:52 gonan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10:39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목Page 11/283
2015-12   1781996   백메가
2014-05   5257155   정은준1
2005-08   4291   이재섭
2005-11   4292   김덕기
2005-04   4292   박찬민
2007-03   4292   황인국
2005-12   4294   신동윤
2004-06   4294   정은준
2006-03   4295   이광호
2005-12   4295   박현열
2005-04   4296   전호식
2006-03   4301   김동기
2006-08   4301   이선규
2005-08   4301   소현준
2003-11   4301   배성기
2005-03   4301   박문형
2006-03   4302   오기룡
2005-11   4303   이윤
2024-03   4305   이종민
2006-03   4305   박문형
2005-12   4305   강명균
2005-11   4306   송영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