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3028 |
25 |
2015-12
178302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8197 |
0 |
2014-05
5258197
1 정은준1
|
3096 |
(Intel) 작업용 core i7 950 입니다. (3) |
강재원 |
2009-09 |
7346 |
0 |
2009-09
7346
1 강재원
|
3095 |
(Network) Intel 10G NIC (9) |
정은준1 |
2009-09 |
8271 |
0 |
2009-09
8271
1 정은준1
|
3094 |
(Network) Chelsio 10GbE S310E-SR (6) |
미소찍사 |
2009-09 |
7669 |
0 |
2009-09
7669
1 미소찍사
|
3093 |
(Workstation) BMW 가 디자인 했다는 HP Z800 Workstation (20) |
TSHA |
2009-09 |
9425 |
0 |
2009-09
9425
1 TSHA
|
3092 |
(HDD) 제가 가지고 있는 하드들 테스트 한 것입니다. (1) |
차평석 |
2009-09 |
5637 |
0 |
2009-09
5637
1 차평석
|
3091 |
(AMD) MP1600+ dual (2) |
오상훈 |
2009-09 |
5074 |
0 |
2009-09
5074
1 오상훈
|
3090 |
(Controller) 퇴역한 Mylex 2000 스카시 레이드 카드 (6) |
왕용필 |
2009-09 |
6004 |
1 |
2009-09
6004
1 왕용필
|
3089 |
(RAM) DDR1 PC3200 VLP 1GB 제품입니다. (5) |
왕용필 |
2009-09 |
6249 |
1 |
2009-09
6249
1 왕용필
|
3088 |
(Server) 밑에글 머신의 상세사진입니다. (7) |
배주규 |
2009-09 |
7048 |
0 |
2009-09
7048
1 배주규
|
3087 |
(Server) 테스트용 서버들. (3) |
승후니도쿄 |
2009-09 |
6771 |
1 |
2009-09
6771
1 승후니도쿄
|
3086 |
(Intel) i7 920-CPUZ Report |
겟페우스 |
2009-09 |
5447 |
0 |
2009-09
5447
1 겟페우스
|
3085 |
(ETC ) Taiwan 發 Skype Mouse (5) |
정은준1 |
2009-09 |
5909 |
0 |
2009-09
5909
1 정은준1
|
3084 |
(HDD) X25-M G2 속도벤치추가 (5) |
윤치열 |
2009-09 |
6809 |
0 |
2009-09
6809
1 윤치열
|
3083 |
(Intel) Core 2 Duo E6600 |
한정훈 |
2009-09 |
4995 |
0 |
2009-09
4995
1 한정훈
|
3082 |
(Intel) Intel Pentium 4 Prescott 630 |
김윤석 |
2009-09 |
5474 |
0 |
2009-09
5474
1 김윤석
|
3081 |
(Intel) [Intel] Xeon 3.6GHz (Nocona) X 2 |
allepo |
2009-09 |
5135 |
0 |
2009-09
5135
1 allepo
|
3080 |
(ETC ) 자작2탄 파워 업! 스테빌라이져 (18) |
TSHA |
2009-09 |
8375 |
0 |
2009-09
8375
1 TSHA
|
3079 |
(ETC ) 자작 LED 입니다 (12) |
TSHA |
2009-09 |
8193 |
1 |
2009-09
8193
1 TSHA
|
3078 |
(HDD) 삼성 MMCRE64G5MXP-OVB 3개월 정도 사용한 결과입니다. (2) |
김장우 |
2009-09 |
6761 |
0 |
2009-09
6761
1 김장우
|
3077 |
(HDD) 저희 쪽 관련 생산 SSD 입니다. (14) |
박정길infoeyes |
2009-09 |
7128 |
0 |
2009-09
7128
1 박정길infoeyes
|
열정에 박수를 보냄니다.^^
고맙습니다. ^^
마치 영화관에서 상영중인 스크린을 캠코더로 도.촬(?)하는 것과 원리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SLR렌즈의 얕은 심도와 필름룩을 그래도 훔쳐오는 거죠. ^^
^^
이종교배도 이정도면 대박인듯합니다. 고생많으셨겠어요~
렌즈가 교환되니... 더좋은 렌즈로도 갈수 있겠군요...
최고의 변신인듯합니다.
저도 밤하늘 같은걸 촬영하고 싶은데 장비가.......정확하게는 가격이.....
구입할수 있는건가요...???
좀 알려주세요~~~
제가 예전에 작업할때 사용하던 canon h1 도 아답터를 통해 장착이 가능했는데
정작 아답터를 못구해서 35mini를 사용했었는데...
보여주신 장비도 구형이라 하지만 현역으로 충분히 손색없는 장비 같습니다. ^^
일명 필름룩이라 하여 가정용 켐코더로 영화필름같은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생긴 장비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필름장비를 사용하기에 너무 저렴한 예산을 가진 많은 국내뮤직비디오들이 고가 캠코더에 저런 아답타를 장착하여 촬영하곤 합니다.
혹시 궁금하신분들은 네이버 카페에서 검색을 35mm adapter로 검색하시면 관련카페 몇몇 나옵니다.
올려주신 샘플 영상만 봐선 fcp에서 플러그인 몇개 넣은거랑 별 차이 없어 보입니다.
그래도 가격이 저렴하니 한번 해볼만 할 것도 같네요..
SLR 렌즈 장착할 수 있는 캠코더는 없구요, 캐논 XL 시리즈에만 별도의 아답타를 달아서 SLR 렌즈를 달 수 있습니다. 물론 오토포커싱은 포기해야하며 가격이 눈물나죠. 본체부터 아답타까지.. ^^
뭐 5D Mark II나 500D, 7D 등을 사용한다면 이렇게 작업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동영상 촬영 기능으로 찍으면 그만이죠. 다만 H.264 계열이라 편집하기 힘들다는 점과 24P가 아닌 30P 모드로밖에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또 생기죠. 알수록 복잡한것이 영상의 세계인듯 합니다. 그냥 모르고 편안하게 찍는것이 최고!
레벨이 좀 다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경치좋은곳에 출사나가서 DSLR로 찍은 사진들중 그저 평범해보이는 사진한장을고르고 똑딱이로 찍은 아주 잘나온 사진을 고른후 그런 상황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 똑딱이로찍은사진이 더 좋다고 할 수도 있다는거죠. 하지만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다르다는것을 여러분들은 아시죠
그것과 같이 저런 어뎁터를 장착을 하게되면 그만큼 표연의 범위가 늘어나게 되는것입니다.
상당수의 뮤직비디오가 저런 어뎁터를 장착한 캠코더(물론 전문가용 캠코더)로 촬영한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일반인들이 잘 모르지만 (물론 필름으로 촬영하는 고급 뮤비도 많습니다)
게중에는 가정용캠코더로 찍은듯한 저렴해보이는 뮤직비디오도 있습니다. 하지만 캠코더가 후지다기보다 같은 전문가용 캠코더에 저런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경우가 대다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