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제가 사용하는 Virtualization test lab. system 입니다.

   조회 9604   추천 0    

Harpertown 5420*2

32GB Memory

Adaptec 3805 SAS RAID

GeForce GTX 260 Black Edition

기타 SuperMicro와 그 일당들입니다.

 

 

32GB FB-DIMM의 지옥열기를 처리하기 위한 메모리 전용 에어덕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밑에는 게임도 안하는 넘이 Dell 2408을 듀얼로 사용한다는 미명하에 XFX GeForce GTX 260 Black Edition이

있습니다. 바로 위에 있는 넘이 Adaptec 3805 SAS RAID 입니다.

 

나름 열심히 케이블 정리를 하였지만, 귀차니즘으로 이게 한계입니다.

 

 

원래는 가동중인데, 촬영은 쥐뿔도 모르는 주제에 DSLR 가지고 걍 막샷을 돌렸더니, 팬이 정지상태입니다...

 

 

VMware vSphere 지원을 위한 개인 파일서버 겸 NFS 서버역할을 하고 있는 QNAP TS639-Pro NAS입니다.

 

 

자기 PR(?) 기능도 있습니다.

 

공히 CPU만 Harpertown 5410이며 나머지는 전부 같은 시스템 2대가 사무실에 있습니다.

같은 시스템이기에 사진은 생략하고, 사무실용 서버 2대를 위한 또 다른 NAS가 있습니다.

 

 

역시 QNAP TS-509 Pro 입니다.

 

집에 있는 639와의 차이점은 Atom vs Celeron M, 6Bay vs 5Bay 정도입니다.

하지만 509의 경우 워런티가 끝나면 바로 메모리 4GB, Dual-Core 2.8GHz로 업글이 가능하기에

바로 ip SAN 대용인 iSCSI 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639는 Bay가 많은 관계로 백업 및 NFS 용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조만간 드디어 백수가 될 예정이기에 모든 시스템을 집으로 옮겨올 예정입니다.

 

사무실 서버에는 PCI VGA와 달랑 4GB USB 1개씩만 달려있습니다.

VMware ESX 부팅 이후에는 하는일이 없기에 몽땅 제거했습니다.

전부 NFS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Cluster 까지 테스트하여 보았습니다. (VMware HA, DRS)

vSphere 4.0 부터 NFS상에서 Cluster를 지원하기에 마음껏 테스트해 보았으며, 특히 vMotion과

결합하여 돌아가는 DRS는 최고였습니다.

 

집으로 전 장비가 모이면 3대의 서버와 509(SAN역할), 639(NFS역할) 전장비를 투입하여

VMware vSphere 4.0의 전기능과 Microsoft Hyper-V의 전기능(클러스터 등 전기능 포함) 테스트를 하면서

휴식기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얼마전 사용기에 같잖은 양치기 소년성 발언만 해놓고는, 넘쳐나는 P2V에 미친듯이 주말없이 일하다가,

일주일 사이에 당일치기 제주도 출장만 3번, 거기다가 한번만 해도 괴로운데

vSphere -> Hyper-V -> vSphere 과정의 어이없는 V2V 진행을 3턴을 했더니 (전 VM)

완전히 녹초가 되더군요. 햇수로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4년동안 과로를 일삼았더니, 체중이 50Kg인걸

확인하고 기절할뻔 했습니다. 군대가기 전보다 더 빠졌더군요.

12월까지만 일하고 확실히 쉴려고 준비중입니다.

 

그 때 짬을 내어서 조금씩 글을 올려보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자유게시판 랩터의 슬픈 전설에 보내주신 열화와 같은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 이라는

여러분들의 신념에 힘입어 불시에 모종의 일이 일어날 예정입니다....하하.

 

언제일지는.....비밀입니다....하하하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로그아웃 2009-12
포스가 장난아닌데요... 더불어 전기도 꽤나 먹을 것 같습니다 ;;;
한제희 2009-12
겨울을 난로없이 따듯하게 보내시겠네요
한성택 2009-12
시스템도 탐이나고 투척일이 기다려 집니다.....
딸기베리 2009-12
멋지십니다.
하퍼타운에 눈이가네요.
투척일을 천기누설해주신다면~ 좋겠습니다. @.@
더기 2009-12
iSCSI용으로 QNAP TS-509 Pro는 관심을 두고 있는 제품인데 하드웨어의 업 그레이드가 가능한 모양이군요.
잘 봤습니다.
이재호TM 2009-12
컥 풀뱅 ;;; GG
진병일 2009-12
집앞에 공터가 많습니다.
투척점 해주세요 하하하~~
사용기 굿입니다 ^^
김승훈1 2009-12
컴당 랜포트가 몇개인가요.. 최소 3개이상은 되셔야 풀기능 사용가능할것같은데요.. 보통 6포트정도 되면 재대로 가능하더군요.. 본인은 5포트로 테스트 해봤지만요..
검은날개 2009-12
NAS장비 죽이네요.. 부럽습니다
최재훈 2009-12
집에 있는 웍스는 원래 달려있는대로 2포트이고, 사무실 서버용 시스템은 5포트입니다.
전부 GbE이며, 집에 전 시스템 준비되면 바로 6포트로 3대 전부 세팅하고, VGA도 전부 8MB PCI로 장착 후
BIOS상의 필요없는 기능(Audio, IDE, SATA 등등) 몽땅 죽여서 FM 대로 해볼라고 합니다.
최재훈 2009-12
509Pro의 경우는 LGA775 기반이고, 해외 포럼에 E520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사례도 보았습니다.
아마 809Pro도 2.8GHz Dual-Core라고 하는데 509Pro도 동일할 듯 합니다.
메모리의 경우 표준 SO-DIMM 이기에 간편합니다.

639Pro는 Atom 기반이라 글쎄요...?
카피콘 2009-12
최재훈님 조언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사내의 20여대 서버 중 일부를 가상화로 전환하려는 중입니다. 일부 제외하고 거의 윈도우서버이구요.
VMware vSphere 4.0 로 갈지 MS Hyper-V 로 갈지 판단이 서지 않는데
스토리지는 별도로 있다고 가정하고 2가지 정도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1. 라이센스비용 대비 성능+관리편의성을 기준으로 할때 어느 제품을 선택하시겠습니까?
2. 총도입비용 제약이 없다고 가정할때 어느쪽이 좋을까요.

참고로 가상화서버는 하퍼타운 5440*2 , 16~32기가램, raid 10 구성 예정입니다.
김승훈1 2009-12
명진님// 가상화 호스트로 하실 오에스들의 버젼이랑 현재의 메모리 배분등을 좀 올려줘보세요.

참고로 메모리는 많이 적재하시는게 좋습니다. 시피유보단 메모리를 더 많이 소비하거든요.

전 vcp라 브엠웨어를 추천하고 싶지만 둘다 일장 일단이 있어서요. 다만 하이퍼 브이는 공짜로 제공되고 이걸 제어하는 어플들은 패키지로 팔고있더군요..

일부 다른 서버들의 버젼은 무엇인가요.. 이것에 따라서도 결정될수도 있습니다.

윈도우쪽은 아무래도 하이퍼브이에 친숙할겁니다.
카피콘 2009-12
가상화로 전환할 서버들은 5~6 대이고, 메모리는 1기가 또는 2기가입니다.
2003 스탠다드, 2003 r2 스탠다드 반반입니다.
'일부 다른 서버'는 레드헷리눅스와 무료리눅스배포판 3대인데 가상화 대상은 아닙니다.

웹서버, dns서버, 메일발송기(메일서버아님), sms데몬, ftp서버가 서비스되고 있고
모두 트래픽걱정이나 부하는 없습니다.
추가로 엑티브디렉토리(pdc, bdc)를 가상화서버에서 돌려볼까 생각해 중입니다만, 이건 위 작업을 다 끝내고 난 뒤에 고려할 거구요.

호스트서버는 아직 구매하지 않았는데 windows server 2008 r2 엔터프라이즈를 올릴 계획인데,
말씀대로 메모리는 많으면 많을 수록 좋겠네요.
가상화 서버당 1기가나 2기가정도만 할당하고 싶은데 32기가는 모자라나요?
vmware workstation 은 종종 쓰지만, 서버가상화는 경험도 없고 물어볼 곳도 마땅치 않아서 판단하기 어렵네요.

ps. VCP 는 학습기간이 얼마나 필요한가요? 어려울듯한데 ^^ (mcse 입니다)
맨땅에헤딩 2009-12
혹시...
저  메모리 전용 에어덕트 어디에서 구할수 있나요??
혹시 케이스에 살때 딸려오신건가요??
서버 메모리 열이 장난 아니던데요 T0T..
고기 구워 먹어도 될정도..^^;;;
암튼 하나 장만 하고 싶어서요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김승훈1 2009-12
5-6대이고 메모리 1에서 2기가이라면 16기가도 충분하겟습니다. 제가 윗글에서 20대라고 생각하고 말씀드린건데요..

대당 2기가씩 주시면 12기가에 4기가 남는데.. 브엠웨어의 ESX서버가 사용하는 양이 있으니 충분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2003,2003 R2 이시고 웹서버,디엔에스, 메일 발송기,등등이시라면 괜찮을듯 보입니다.

호스트 서버에 윈도우 서버를 올리시는 이유라도 있으신지요.. ESX SERVER 나 아니면 단독의 HYPER-V 를 사용하심 될것같고요..문제는 비용이 문젱입니다.

ESX SERVER 로 갈지 HYPER-V로 갈지는.. 하이퍼 브이의 경우 단독적인 경우 프리로 알고 있습니다..이걸 관리하는 메니져 어플들이 패키지로 일본에선 16만엔정도 하더군요.. 이에스엑스의 경운 브엠센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ESX SERVER 한대일경운 클라이언트로 해결하심 될겁니다..만약 브엠센터등의 메니지먼트 서버를 설치하실경운 물리적인 서버나 가상화 서버등에 설치하심 되겠습니다..

메니지먼트 서버의 사양은 듀얼코어 2.0 이상에 메모리 3기가 이상 하드 3기가 이상이 있음 좋을듯합니다.

브엠웨어 워크스테이션도 괜찮은 소프트이긴 하지만 ESX,ESXi,hyper-v 등 단독으로 사용해보시는것도 좋을듯합니다. 60일간 이에스엑스는 평가판을 풀기능으로 사용가능하고요.. 이에스엑스아이는 무료입니다.. 하이퍼브이도 무료이고요.. 우선 구성하시기 전에 함 설치해서 평가해보심도 좋을듯합니다.

참고로.. esx 서버가 지원하는 가상호스트의 오에스가 더 많기는 합니다. hyper-v 는 윈도우계열과..레드햇, 수세 리눅스는 기본적을 지원하지만 다른것은 지원을 재대론 못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브엠웨어 자격증은요.. 강의를 들으시고,, 메뉴얼보시고,, 설치해서 테스트해보시고 하심 될겁니다..

전부다 설명하기가 그렇긴 한데..우선 설치해서 함 사용해보세요.. 운영하시는분이 먼저 알아야 되는지라..

.. 브엠웨어 자격증과.. 하이퍼브이 도입 코디네이터 자격증은 가지고 있지만.. 아직도 모르는게 많아서 테스트 중입니다.

하드웨어란에 제가 올린 제 서버글도 있으니 함 봐보세요..

참고로..엑티브 디렉토리도 가상화 서버로 구현하셔도 문제없이 잘돌아갑니다.. 실제로 많이 사용중입니다.

참고로 저도 집에서 포레스트를 포함하여.. 많이 테스트 해보고있습니다.. 다 가상화로..
김승훈1 2009-12
명진님//저희집 테스트 환경은 이렇습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hardware&wr_id=24185&page=3
김승훈1 2009-12
브엠웨어 브이스피어 4.0 버젼부터 FT 기능이라고 있는데..이건 브엠웨어 워크스테이션에 비슷한 기능이 있던걸 좀더 다듬은것이라고 하더군요. 아직은 완성단계는 아니고요..아마도 버젼 4.5 정도되면 더 조아질듯 보입니다.

이외에도.. 분산가상 스위치 기능이라던가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참고로 하이퍼브이랑 브엠웨어는 커널의 방식이 다르다고 하더군요..

책볼땐 알았는데 까먹었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가상화 툴들이 존재하니 차근차근 공부해보세요..
최재훈 2009-12
헉! 갑자기 질문 답변란이 되어버린 듯 한 분위기에 적응이 안되네요.
저도 양쪽 모두 테스트 및 P2V, V2V를 해 보았지만, 감안할 사안이 여러가지 입니다.

1. P2V 대상 OS가 전부 Windows라고 하여도 version이 중요합니다.
VMware ESX의 경우에는 vSMP의 갯수가 기본적으로 4개까지 제한이 없지만,
Hyper-V에서는 Windows Server version에 따라 지원하는 vSMP의 갯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2. 단순히 Hyper-Visior만 덩그러니 설치해서는 실제적인 운영에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여기서 운영이라고 하면 모든 Management (Resource, Performance 등)와 Troubleshooting을 포괄합니다.

전에 사용기란이 있었던 것 같은데, 어디에다 올려야 할지 모르겠네요.

이 부분은 실제로 시행하면서 느낀점이 많아 글을 금방 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김승훈1 2009-12
참고로 한개 더 말씀드리면.. 하이퍼브이는 윈도우 서버 2008위에 설치하는 버젼과 단독으로설치하는 버젼두가지가 있더군요.

제 서버 한대는 단독 버젼을 설치해서 테스트 해볼려고 놔두었습니다. (esx server 처럼)

그리고 최재훈님이 말씀하신듯이.. 윈도우 서버에 올려서 사용할경우,, 서버 버젼에 따라 올릴수 있는 가상호스트 수가 정해집니다.. 엔터프라이즈 버젼은 4개까지이고  데이터 센터 버젼은 무제한입니다.

현재는 브엠웨어가 앞서가고 있으나.. 마소가 돈이 많기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카피콘 2009-12
헉 장문의 경험담과 쪽지까지... 두 분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김승훈1 2009-12
네이버 카페에 브엠웨어관련 카페가 있습니다.. 재훈님이랑 저도 그 카페 회원이더군요.

어제부터 다시 공부중이긴 합니다.. 모르는게 많지만 질문올리시면 아는데 까진 답해드리겠습니다..
     
카피콘 2009-12
저도 후딱 가입해야겠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카피콘 2009-12
최재훈님의 사용기 고대하겠습니다. ^^

김형신님// 호스트서버 os 를 2008 r2 enterprise 로 하고 싶다는 생각은 게스트os 의 hw 접근 아키텍쳐가 Hyper-V 가 더 진보했다는 MS 주장을 본적이 있어서 였습니다. 그쪽 자료에 의하면 속도도 더 빠르다고 하더군요. 그 게 사실이 아니라면 두말 없이 vSphere 로 가야죠. ^^
(다시 읽어보니 요점을 잘못 이해 했네요. MS 로 가게 되면 말씀대로 Hyper-V 단독으로 설치해야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그래서 vSphere 와 hyper-v 사이에서 고민만 하고 있습니다. 실사용벤치를 찾아 구글링을 했는데 만족할만한 데이터를 못 찾았습니다. ^^;; 어디 있을것도 같은데 서치능력 부족인가 봅니다.
김승훈1 2009-12
명진님// 둘다 다운로드해서 테스트 함해보시지요..

어젯밤에 브엠웨어, 하이퍼 브이,젠의 비교를 봐보니.. 브엠웨어가 좋긴한데..

참고로 둘다 하드웨어 접근방식이 달라서 그럴겁니다. 브엠은 브엠이 좋다고 하고 엠에스는 엠에스가 좋다고 하니..

두개다 테스트해보시고 옴기시는게 젤 좋은 방법이라고 봅니다.
     
카피콘 2009-12
그렇지 않아도 두 분 경험담 들으면서 직접 경험해 봐야겠다 싶었습니다. (제 게으름을 반성하면서 ^^)
대단히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목Page 127/283
2015-12   1787157   백메가
2014-05   5262380   정은준1
2007-01   5799   김호성
2006-12   5803   오기룡
2010-01   5803   주양봉
2010-01   5803   2CPU최주희
2007-10   5804   박승중
2003-04   5806   조영찬
2005-08   5806   김재헌
2009-08   5806   손석우
2004-10   5807   정은준
2006-06   5808   김정환
2010-05   5809   조영민
2022-02   5810   박문형
2014-04   5813   박문형
2010-01   5813   오성기
2019-02   5813   메모리님
2011-11   5813   정은준1
2006-12   5813   박두환
2008-05   5814   정은준
2005-04   5815   이상복
2009-10   5816   D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