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2377 |
25 |
2015-12
177237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7049 |
0 |
2014-05
5247049
1 정은준1
|
3135 |
Xeon E5335, 2Ghz, Intel S5000PSL (13) |
쥬라직 |
2009-10 |
6477 |
0 |
2009-10
6477
1 쥬라직
|
3134 |
(Intel) 제 노트북입니다. |
강태욱 |
2009-10 |
5116 |
0 |
2009-10
5116
1 강태욱
|
3133 |
(HDD) [씨게이트 Upgrade PC] 바라쿠다 7200.12 1TB 체험단 #3 - 다른 하드디스크와의 비교 (1) |
노정래 |
2009-10 |
8155 |
0 |
2009-10
8155
1 노정래
|
3132 |
(Server) Two Vmware ESX Servers and NFS Storage Server (7) |
승후니도쿄 |
2009-10 |
10442 |
0 |
2009-10
10442
1 승후니도쿄
|
3131 |
(ETC ) 애플 아이맥 (19) |
TSHA |
2009-10 |
10915 |
0 |
2009-10
10915
1 TSHA
|
3130 |
(Intel) 제 저장고입니다. (3) |
방o효o문 |
2009-10 |
5393 |
1 |
2009-10
5393
1 방o효o문
|
3129 |
(HDD) Hitachi Deskstar 2TB SATA2 간단 테스트 ( HDS722020ALA330 ) (16) |
TSHA |
2009-10 |
9809 |
2 |
2009-10
9809
1 TSHA
|
3128 |
(ETC ) 인텔 제온 로고스티커 (8) |
박문형 |
2009-10 |
8782 |
1 |
2009-10
8782
1 박문형
|
3127 |
(ETC ) 아톰 vs 센트리노 베니어스 vs 센트리노 도선 의 비교체험 (4) |
전직P연구원 |
2009-10 |
8432 |
1 |
2009-10
8432
1 전직P연구원
|
3126 |
(Intel) Dell T5400 Xeon 5430*2 (2) |
효사도르 |
2009-10 |
5969 |
1 |
2009-10
5969
1 효사도르
|
3125 |
(HDD) [씨게이트 Upgrade PC] 바라쿠다 7200.12 1TB 체험단 #1 - 개봉기 & 외형 (2) |
노정래 |
2009-10 |
6689 |
1 |
2009-10
6689
1 노정래
|
3124 |
(Intel) 5년된 놋북입니다. |
나윈 |
2009-10 |
4952 |
1 |
2009-10
4952
1 나윈
|
3123 |
(ETC ) 넷북에 SSD 장착, 윈도우7 설치 테스트 한 결과 입니다. (11) |
TSHA |
2009-09 |
22006 |
7 |
2009-09
22006
1 TSHA
|
3122 |
(Network) La Fonera (FON2001D/F) AP (2) |
analogue김… |
2009-09 |
5904 |
0 |
2009-09
5904
1 analogue김…
|
3121 |
(Network) [무선 네트웍에 대한 첫경험] Fon 을 이용한 무선 네트웍 (5) |
선철 |
2009-09 |
10658 |
2 |
2009-09
10658
1 선철
|
3120 |
(ETC ) 소니 VAIO P 질렀습니다. ^^ (VGN-P15L) (20) |
이광희 |
2009-09 |
9620 |
1 |
2009-09
9620
1 이광희
|
3119 |
(Intel) Intel Xeon 5150 [HP XW8400] |
인천I베리 |
2009-09 |
6284 |
0 |
2009-09
6284
1 인천I베리
|
3118 |
(Network) Lafonera FON AP (7) |
김선규 |
2009-09 |
6925 |
0 |
2009-09
6925
1 김선규
|
3117 |
(Network) Lafonera FON AP (7) |
김선규 |
2009-09 |
6041 |
0 |
2009-09
6041
1 김선규
|
3116 |
E2180 |
이충욱blue |
2009-09 |
4587 |
0 |
2009-09
4587
1 이충욱blue
|
메모리 불량나면 온라인으로 그쪽메모리를 사용 못하게 하면서 시스템은 돌아가는 기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자세한건 인터넷에서 뒤져야겠죠..
멀티비트 에러 정정 기능으로도 복구가 안될정도로 장애가 나버린 램 모듈은 강제로 죽여버려서 사용치 않게 해서 메모리 에러를 없게 하는 기능 입니다.
HP 에서는 Advanced ECC 기능이라고 명명 합니다.
사실 IBM만의 기술은 아니고 서버 메인보드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인텔의 메모리 컨트롤러는 메모리도 RAID를 구성 할 수 있습니다.
가용성 증진의 기술들 입니다.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도 어렵고 해서 사용은 못해봤습니다.
32bit 사용시 큰 파일 2GB 정도 되는것 여러개 뛰어도 시스템이 안죽도 부드럽게 사용할 수 있는점입니다.
또한 메모리 충돌로 시스템이 다운 안 당하는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