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micro SC747TQ-R14000-SQ for GPU Renderer

   조회 11688   추천 0    

이전에 소개했던 GPU 렌더러 시스템에 사용된 슈퍼마이크로 SC-747 케이스입니다.

 

SC747 케이스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노멀 모델과 SQ(Super Quiet) 모델이 있습니다. 두 모델은 SQ 기술만 다른 것이 아니라

케이스 구조가 조금 다릅니다.

 

노멀 모델의 경우 11개의 슬롯을 제공하고 메인보드의 키보드/마우스 단자 부분이 케이스 파워의 바로 아랫부분에 장착됩니다.

 

그래서 슈퍼마이크로에서 판매되는 X8DTG-QF 같은 메인보드는 노멀 버전에는 장착되지만, SQ 버전에는 장착되지 않습니다.

 

http://www.supermicro.com/products/motherboard/QPI/5500/X8DTG-QF.cfm

 

반대로 SQ 버전의 경우 9개의 슬롯을 제공하고 메인보드의 키보드/마우스 단자 부분이 케이스 파워에서 약간 떨어져서 배치됩니다.

 

그래서 역시 슈퍼마이크로 메인보드 중, X8DAH+(-F) 같은 메인보드는 SQ 버전에는 장착되지만, 노멀 버전에는 장착되지 않죠.

 

http://www.supermicro.com/products/motherboard/QPI/5500/X8DAH_-F.cfm

 

제가 구입한 것은 SQ 버전으로 9개 확장 슬롯이 제공되는 제품입니다.

 

아래 글에 소개할때에는 MSI사의 890FX-GD70 메인보드와ㅗ AMD Tuban 1090T 조합으로 사용했는데, 이 글을 적는 현 시점에는 Supermicro X8DAH+ 메인보드와 Xeon 5520 조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X8DAH+는 4Way GPU가 안되고 3Way만 가능합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701321&sca=&sfl=mb_id%2C1&stx=indigoex&sop=and

 

 

그럼 사진 소개 들어갑니다.

 

 

 

 

전면이 전부 매쉬구조로 이루어져 있음. 손바닥을 가져다 대면 시원함이 느껴질 정도로 공기 흐름이 뛰어남

 

 

조촐한 내용물들

 

 

드라이브 베이 역시 벌집 처럼 타공처리 되어 있슴

 

 

후면 부. 앞 부분에 설명했듯이 메인보드의 백패널 부분이 파워 서플라이 아랫쪽으로 살짝 내려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슴

 

9개의 확장 슬롯

 

 

SC743 케이스와 크기 비교

 

 

내부 구조. GPU 솔루션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픽 지지대가 있슴

 

 

8베이 핫스왑 백플레인

 

 

2개의 기본 쿨링팬과 2개의 더미 하우징 (현재 2개는 추가 구매하여 4개를 모두 돌리고 있슴)

 

 

쿨링팬 사양 (12V / 1.1A / 5,000RPM / 92mm / 38T / 109.7CFM)

 

4개가 풀 스피드로 돌아가면 거짓말 조금 보태 뒤에 있으면 날라갈 거 같음

 

 

Chassis intrusion 케이블

 

 

핫스왑 쿨링팬 장착 커넥터

 

 

그래픽 카드 지지판. GTX 470/480 사용 시 장착 불가~ 그래픽카드가 너무 큼.... 덜덜

 

 

후면 배기팬 (12V / 0.58A / 5,000RPM / 80mm / 38T / 68.3CFM)

 

구경이 작아서 그런지 이 녀석이 더 사나워 보임

 


1,400W 리던던트 모듈라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 깊숙히 파워 서플라이가 자리잡고 있슴

 

 

1,400W 리던던트 모듈 (80+ 골드 인증이라 효율 좋음)

 

 

메인보드 전원단자는 24핀 + 8핀 + (4핀+4핀)

 

 

4개의 페르미를 장착할 수 있도록, 그래픽카드 용 8핀 + 6핀 조합의 전원 단자가 4세트

 

 

4핀 몰렉스 전원 단자 (SATA 전원 단자는 없슴)

 

 

메인보드와 연결되는 16핀 케이블과 1개의 USB 케이블

 

 

12V 쿨링팬 연결 커넥터 (검정:GND / 빨강:12V / 노랑:RPM Tach / 파랑:PWM 시그널)

 

데스크탑 메인보드 중 PWM 시그널을 제대로 제어해 줄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은 ASUS ROG 제품 라인업이 유일함 (이것 때문에 결국 MSI 메인보드를 버리고 Supermicro 메인보드로 오게 됨)

 

 

핫스왑 베이 케리어

 

 

SC743용 핫스왑 케리어와 비교해 보면 철판과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서 다소 약해 보임

 

 

드라이브 모듈 탈착 버튼 (누르면 드라이브 모듈이 분리됨)

 

 

3개의 5.25인치 베이 드라이브 모듈 (추가 모바일 랙을 달아주면 하드를 더 달아줄 수 있슴)

 

 

드라이브 모듈을 분리할 때는 메인보드 케이블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 (탈착 방지 클립이 걸려 있슴)

 

 

확장 슬롯 부분은 플라스틱 고정장치가 있음

 

이상입니다.

 

장점 :

 

- 페르미 기반 GPU를 4개나 수용할 수 있는 공냉 케이스 (일반 데스크탑 케이스의 경우 대부분 열폭주로 그래픽카드가 사망 할 수 있슴)

- 80+ 골드 인증의 1400와트 파워 서플라이는 효율이 정말 좋음 (부팅 후 아이들 시 150와트 근처를 마크함)

- 드라이브 베이에 8개의 핫스왑을 제외하고 별도로 1개의 3.5인치 베이를 제공함 (핫스왑 베이 바로 위에 위치)

- 슈퍼마이크로 메인보드와 SQ 모드로 작동시키면 생각보다 매우 조용함

 

단점 :

 

- 고가. 2CPU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SC743 케이스 2개가 넘는 가격

- 공기 흐름량이 워낙 많기 때문에 1달 정도 사용하면 전면 베젤이 하얗게 먼지가 쌓임

- 크고 무거움 (박스 크기도 어마어마해서 일반 승용차에는 거의 안들어감)

 

결론 : 4 GPU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로 추천하며 비싼 가격은 한번씩 쳐다 볼때 마다 잊게 만드는 제품임

 

 

덛붙임 :

 

<본인이 X8DAH+로 이사한 이유>

 

- MSI 메인보드의 경우 데스크탑 메인보드라서 쿨링팬 제어가 제대로 되지 않았슴. 결국 쿨링팬을 제어할 수가 없었고 엄청난 소음에 넉다운이 되고 메인보드를 교체함

 

< 4WAY -> 3WAY>

 

- GPU 렌더링 S/W를 사용해본 결과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1way->2way로 확장할 경우 2개 가까이 성능이 향상 된 반면, 2way->3way는 80% 정도, 그리고 3way->4way 로 확장한 경우는 성능 향상이 상당이 미비하고 일부 테스트에서는 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됨

 

현재 사용중인 S/W는 옥테인 렌더러와 벙크스피드 샷을 사용중

 

http://www.refractivesoftware.com/  (옥테인 렌더러)

 

http://www.bunkspeed.com/shot/index.html (벙크스피드 - 샷)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검은콩 2010-10
오오 멋있네요
이경동 2010-10
잘 봤습니다. 매력이 넘실넘실~
또 하나 배웠습니다.
빌더짱 2010-10
정말 멎지군요 와우...
양파링 2010-10
시스템 장착샷도 기대하겠습니다. 손이 떨립니다(?).
김정중 2010-10
멋집니다...!!!

이 케이스의 가격이, 100만원 초반인가요, 100만원 중반인가요...???
밥알 2010-10
언제쯤 중고(?)가 나올까요.
이종민 2010-10
아따 정말 케이스 한번 시원시원하가 잘생겼습니다..
성능또한 엄청날것같네요... 믿고 장착해도 될만큼 튼튼해보이고 깔끔한배치에
잘생겼습니다???(이잉?? 케이스보고?)^^
미녀와야수 2010-10
정말 멋집니다..^^
이거 그때 알아본가격이 거의 130만원대인걸로 아는데..
진짜 멋집니다
조우연 2010-10
747sq 의 가격이 120~130만원정도 하는데 비싼게 아닙니다.

리안리, 쿨러마스터, 써멀테이크 등에서 나오는 알루미늄 케이스 가격 + 에너맥스 또는 시소닉 급 1400w 골드인증 파워 2개 가격 + 8베이 핫스왑 가격 따져 보면 퀄리티 대비. 747sq 가 더 저렴하다는 생각이 들것입니다.

747sq 케이스는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용으로 24x7 무정전 상태로 내구연한(3~5년) 동안 사용이 가능하도록 쿨링 설계되어 있고. 내장 펜은 모두 상황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PWM 방식이며, 평소에는 38dB이하로 조용하게 작동하고 시스템이 오버히트 될 상황이라던지 펜중 하나가 Fail 되는 상황이 되면 나머지 펜들이 자동으로 최고속도로 구동되어 시스템 전체가 다운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케이스에 사용된 부품들의 퀄리티도 상당히 좋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및 백플레인에 사용된 캐페시터는 모두 산요제품으로 105도 이상의 환경에서 견딜수 있는 부품이 사용되었고, 케이스 두께라던지 부식방지를 위한 표면코딩, 그리고 8개 이상의 15k rpm의 SAS 디스크를 사용한다고 해도 진동인한 걱정이 없을만큼. 퀄리티가 좋습니다.

알루미늄이라는 이유로 허접한 설계의 데탑 케이스를 40~50만원씩 주고 , 에너맥스 파워 30~40만원주고 사는것 보다 차라리 747 쓰는게 돈 절약하는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고가의 파워 서플라이 중에 그 어떤 제품도 4WAY를 대응하는 제품이 없습니다.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1500W가 유일했는데, 단종인지 안들여 오더군요. 물론 이 제품은 80+인증도 아니고 리던던트 역시 아닙니다. 그리고 가격은 50만원 가까이 했던 것 같네요.

파워 서플라이를 브리지로 연결해서 쓰면 되지 않느냐? 하고 생각하실 분도 있겠지만, 하드디스크처럼 메인보드 기판 외부로 연결되는 장치는 그렇게 써도 되지만 그래픽카드를 그렇게 연결해서 사용하면 절!대! 안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스는 싫어합니다. 나사 몇번 조였다 풀면 나사 탭이 망가져 버리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여러개 달리기 시작하면 공진음이 골아프게 발생하죠.
이문흠 2010-10
음... 감사합니다.
서버 케이스 구매할때마다 항상 미리 제공되는 정보가 부족했지만,
이번에는 좋은 참조가 될것 같습니다.
SQ모델과 일반모델이 서로 다른 메인보드가 장착된다는 사실은 미처 제가 알아보지 못했던 부분이라서
감사드립니다.

다 조립한 사진도 보여주세용~
김상일 2010-10
멋지네요..하지만 저랑은 절대 인연이 없을 모델일거 같습니다.
김승훈1 2010-10
이런거에 좀더 큰 서버 보드만 들어가주면 좋겠는데요.. 으흐흐.. 4시피유 대응 보드가 작아지던가 이게 좀더 커지던가 한다면..

저렴한 가격이라고 보는지라 구입도 가능할텐데 하는 생각만 해봅니다.

구경 잘했습니다..
그리고 사실 제가 비싸다고 하는것은 전체 조합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닙니다.

저 같은 경우, 솔직히 오로지 그래픽 렌더러로 사용하기 때문에, 리던던트 파워 서플라이나 8베이 핫스왑은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없지만 쓸수 있는 솔루션이 이 것밖에 없기 때문에 사는 것 입니다.

자동차 살때도 마찬가지죠. 나는 안정장비 때문에 VDC를 꼭 달아주고 싶은데, 디럭스니 럭셔리니 하는 모델에만 달려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도 않는 추가 옵션이 달려 있는 차량을 고가로 사야 합니다.

렌더링은 어짜피 GPU가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하드 디스크 1개만 달아서 사용하고 있고 여유되면 그냥 SSD 하나 돌릴까도 생각중입니다. 어짜피 운영체제 + 렌더러 프로그램이 끝입니다.

리던던트 파워 서플라이도 24x7로 운영되는 서버라면 몰라도 껏다 켰다 하는 웍스크테이션에 굳이 필요할까 싶은 맘입니다.

그리고 이 파워서플라이, 콘센트에 꼽아만 놔도 혼자 18W를 소비합니다. 아무것도 안하는데도 말이지요. 흑흑
     
김정중 2010-10
어머나...

컴퓨터 사용 안할때는, 콘센트 전원을 내려버려야 하는 무서운 케이스군요...흐미...
     
이문흠 2010-10
아무것도 안하는게 아니라 팬 느리게 돌리고 있지 않나요?? 예전 sq 케이스들 파워도 그랬는데..
리던던트용은 저도 안써봐서 잘 모르겠지만, 그러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팬 돌고 있습니다. 조용히.. 근데 왜 스탠바이 전력소모가 이렇게 큰지 모르겠습니다.

IPMI 모듈이 달려 있는 것도 아닌데.. 설령 달려 있다해도 IPMI가 그렇게 많은 전력을 소모할리도 만무하구요~
이문흠 2010-10
아.. 아름다워서 계속 클릭해 보게 되네요.
완전히 중독되네요.
졸다가퇴근 2010-10
여기에 샌디브릿지 CPU를 달고 3WAY를 구축하면 그 누구도 막을 수 없을 것 같은 케이스 파워네요


제목Page 1/6
2023-05   24102   박문형
2023-04   20208   박문형
2022-02   5699   박문형
2022-02   5769   박문형
2021-05   5531   김은호
2020-04   4489   henol
2019-02   10319   캔위드
2019-02   6108   박문형
2019-02   14617   캔위드
2018-06   9515   알파고
2018-03   7424   홀릭0o0
2015-12   10037   죠짱
2010-10   11689   하우디자인
2010-03   6296   박문형
2010-03   6672   박문형
2009-12   7162   정은준1
2009-12   7409   정은준1
2009-03   8071   김호성
2008-04   4636   박문형
2007-03   9738   하승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