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011 |
25 |
2015-12
178201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176 |
0 |
2014-05
5257176
1 정은준1
|
3336 |
(Mainboard) 물빨래 ... #5 (9) |
차넷컴퓨터 |
2016-12 |
14409 |
3 |
2016-12
14409
1 차넷컴퓨터
|
3335 |
(Server) HP rx8640 (3) |
cyberten |
2015-01 |
9993 |
3 |
2015-01
9993
1 cyberten
|
3334 |
HP xw8200으로 장난감 만들기 (8) |
박문형 |
2013-05 |
15397 |
3 |
2013-05
15397
1 박문형
|
3333 |
(Mainboard) 메인보드, 파워 사망 (7) |
차넷컴퓨터 |
2016-06 |
9368 |
3 |
2016-06
9368
1 차넷컴퓨터
|
3332 |
(Mainboard) 로얄 컴퓨터 메인보드 수리.. 완료 되었습니다. (7) |
차넷컴퓨터 |
2016-04 |
12876 |
3 |
2016-04
12876
1 차넷컴퓨터
|
3331 |
(CPU) 771 to 775 개조 제온 성공했습니다. (5) |
차넷컴퓨터 |
2016-01 |
9576 |
3 |
2016-01
9576
1 차넷컴퓨터
|
3330 |
(Workstation) NEW_T430S (4) |
현진 |
2016-04 |
6582 |
3 |
2016-04
6582
1 현진
|
3329 |
(Server) 이번에 ASUSTOR 이라는 Storage Server 를 구입했습니다. (10) |
NeOpLE |
2016-07 |
11894 |
3 |
2016-07
11894
1 NeOpLE
|
3328 |
(VGA) 오랫만에 vga 8x 개조 해봤습니다. (4) |
상현sh |
2016-12 |
12673 |
3 |
2016-12
12673
1 상현sh
|
3327 |
프로젝트 짐승 - 완성 (8) |
임민규 |
2011-01 |
6071 |
3 |
2011-01
6071
1 임민규
|
3326 |
(HDD) HP Z Turbo G2 512GB (6) |
명성호 |
2015-11 |
7000 |
3 |
2015-11
7000
1 명성호
|
3325 |
(ETC) 책상던전에서 발굴한 mogo x54마우스 입니다. (3) |
전직P연구원 |
2016-10 |
8011 |
3 |
2016-10
8011
1 전직P연구원
|
3324 |
AIO 6200PE 개봉기 (2) |
황진우 |
2013-05 |
13697 |
3 |
2013-05
13697
1 황진우
|
3323 |
(ETC) 고장난 HP Zero Client T310 트러블슈팅 (3) |
송주환 |
2016-04 |
9997 |
3 |
2016-04
9997
1 송주환
|
3322 |
(Network) 24G + 4FPS+ 스위치 허브 소음 줄이기 (4) |
한효석 |
2017-07 |
9887 |
3 |
2017-07
9887
1 한효석
|
3321 |
XT 팜탑...포켓피씨 (10) |
暻遠 |
2012-12 |
5857 |
3 |
2012-12
5857
1 暻遠
|
3320 |
최명균님 필요하시다는 S2885 보드 테스트해봤습니다. (5) |
2CPU최주희 |
2013-09 |
69870 |
3 |
2013-09
69870
1 2CPU최주희
|
3319 |
(Server) 최대한 저렴하게 서버조립;; (15) |
꿈꾸지마 |
2014-08 |
11281 |
3 |
2014-08
11281
1 꿈꾸지마
|
3318 |
(Workstation) 제 2670 듀얼 웍스.. (5) |
izegtob |
2016-02 |
9194 |
3 |
2016-02
9194
1 izegtob
|
3317 |
(RAM) Dell T7610 * 16ea (8GB DDR3 2RX4 PC3-12800R) Full Bank / 128GB (5) |
아스란 |
2016-05 |
8941 |
3 |
2016-05
8941
1 아스란
|
이유는 렌더링 같은거 걸거나 할때 진행 정도를 모니터로 확인해야 하는데 KVM은 그게 안되서 말이지요~
그렇다고 계속 전환 버튼 누르거나 키보드 숏컷키 누르면서 전환해서 확인할 수도 없는 노릇이구요..
PIP(Picture In Picture) 같은 것을 지원하는 모니터와 싸구리 USB KVM 조합이 더 효율적일거 같아서 말이에요.
조만간 KVM 하나 장터로 내보낼까 생각중입니다.
뜨끈합니다. 물론 연결한게 많아서 그럴수도 있지만요..
kvm장비에는 랜선만 엄청꽂혀있네요. 성능도 좋고 랜선하나로 만사ok되니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