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er] 수냉 커스텀 쿨러 시스템에 관해서 다시 질문합니다.

이석   
   조회 16250   추천 3    

http://m.psionic.co.kr/board/view?id=downloads&seq=84

상기에 나와 있는 제품 구매 사용기라던지 찾아 보고 싶은데..아직 출시 된지 얼마 안되서 정보가 없는것 같아요...

혹시 저 제품으로 듀얼소켓 시스템 수냉식에 도움이 될까요??

글에 대한 성격이 맞질 않아서 자유게시판에 올려 봅니다;;

여러제품도 확인해 보았지만.. 제 입맛에는 가격도 가격이지만 이 제품이 좋을것 같아서요..

구매 하신 분이나 혹시나 사용기 있으신분들 장단점 답변 부탁드립니다..

 
 
 
PS.자유게시판에 올린 내용을 다시 성격에 맞게 하드웨어 게시판 쿨러분류로 다시 질문드립니다..
PS. PiPPuuP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첨부 파일에 시스템으로 구성된 쿨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해당 제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PPuuP 2015-05
죄송합니다만....

제 경험은 구형 고발열 프로세서와 고발열 VGA 시스템에서 얻은것인지라
현세대 시스템에 참고하기에는 맞지 않는 경험입니다.

제가 수냉을 관둔게 프로세서들이 저전력화 저발열화 되면서 였습니다.
노력에 비해 얻어지는 이점이 별로라고 느끼게 되었거든요.
(모르죠... 개인 렌더팜이나 Calculating 머신 같은거 돌리게되면 다시 수냉으로 돌아갈지도...)

예전 경험에 비추어 별도 조언을 붙이자면
위와 같은 수냉으로 바꾸면 시스템쿨링을 따로 신경써야 한다는것입니다.
저런 수냉시스템의 경우 CPU 전원부쿨링을 케이스 내부 통풍에만 의존하게 됩니다.
시스템 통풍이 안되는경우 전원부와 그 주변 케퍼시티들이 우후죽순으로 터질 수 있습니다.
     
전장절도 2015-05
PiPPuuP님 답변 감사합니다..
시스템 전원부와 모스펫이라던지 고발열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 대한 쿨링을 신경쓰지 않으면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이해 해도 될까요?
          
PiPPuuP 2015-05
네.
터지지 않더라도 부품 수명이 급감합니다.
특히 만약 오버클럭킹을 생각하신다면 더더욱 더 신경쓰셔야 합니다.

대개 밴더들의 서버케이스의 경우 시스템 전체에 강제통풍을 보내는 형태인지라 염려를 놓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hardware&wr_id=26407&sca=Workstation
보통 이런 형태이죠.

하지만 일반적인 사제 데스크탑케이스의 경우 전원부 주변 쿨링을 CPU팬에 많이 의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신경을 좀 쓰셔야 할겁니다(타워형 쿨러라 할지라도 일단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만들어내지만, 수냉재킷은 그런 능력이 전혀 없습니다).
               
전장절도 2015-05
PiPPuuP님 참고하겠습니다..
오늘 정말 값지고 많은 걸 배워 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수냉쿨링 구성 시스템에 말씀하신 내용을 신경써서 반영해야겠습니다^^
이예찬 2015-05
http://www.coolenjoy.net/bbs/cboard.php?board=review&no=26301

혹시 읽어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옆동네에 사용기가 나와 있습니다
     
전장절도 2015-05
이예찬님 답변감사합니다^^ 후기는 처음 보았네요^^
죠슈아 2015-05
질문은  듀얼 소켓일때 수냉이 도움 되는가 인데요
결론 부터 말씀 드리면  아닙니다  입니다
수냉은 오버클럭 비정규전압 하에서 성능개선? 을 주목적으로
실행하는데 듀얼소켓은 제온시피유를  사용해야 합니다
서버나 웍스테이션 기종이죠
이들 기종들은  안정성을 우선으로 보드설계를 하므로써
비정규 전압을 인가할수 있도록 되어있지  않을뿐더러
비정규클럭 또한 마찮가지 입니다

최근의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저전력화 되어
이전의 서버 웍스테이션 처럼 고속냉각팬들도
사라져서  요즘 기종들은  조용해졌기때문에
수냉으로  할필요가 없어졌죠 --  소음 때문에 고속팬 대신  수냉선택
조용한 팬만으로도 충분하기에  수냉의  의미는  없게됩니다

하지만  Z820 기종중  최고사양의 CPU를 탑재한
웍스테이션은  일체화된  수냉 CPU 쿨러를 장착한 모델도
있기는 합니다  이는 고속 시피유 발열을  효과적으로
적은 소음ㅈ으로 처리하기 위함이지  오버에 따른 과열을
방지할 목적이  아닙니다

이러한 시피유를 사용하여 리테일 서버보드나 웍스테이션을
구성한다면  수냉이  의미를 갖을 수는  있지만
이러한 시피유는 매우 고가여서 이런 시피유를 선택한 사용자가
회이트박스로 구매한다는건 어불성설 입니다
시피유하나에 $3000  근접한걸 두개 사서 안정성 확보되지않은
리테일 보드로 시스템 을  구성할 분이 계실까요?

그렇게 고가의 시피유가 아니면 속도가 낮기 때문에
수냉은  더 의미가 없죠

졔온 시피유를 사용한 벤더의 기종을 선택하면
이미  발열에 대해 충분히 고려 되어있기 때문에 수냉을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죠

그래도 하신다고하면  의미없는  선택을 하시는겁니다
     
전장절도 2015-05
죠슈아님 답변감사합니다..  기업서버나 개인용 워크스테이션정도급은 아니오나 아수스 듀얼소켓 보드를 활용하고자 질문드렸었네요^^; 물론 고클럭은 아니지만 오버클럭킹 생각도 가지고 있구요^^ 사실 주목적은 CFD or 유동해석을 작업 할 시스템 을 구성중입니다
박문형 2015-05
여기는 하드웨어 갤러리입니다..
     
전장절도 2015-05
박문형님 본 게시판도 성격에 맞지않는건가요??  ㅜㅜ
          
백남억 2015-05
Q/A로........
               
전장절도 2015-05
네, ㅜㅜ 다음 질문부터는 성격에 맞게 쓰겠습니다ㅜㅜ
저 제품은 별로입니다....
일단 제대로 된 커스텀 제품에 비해 펌프가 상당히 약하지만, 아무리 펌프가 약하다고 해도 물탱크 물량이 너무 적습니다. 저런경우 100% 기포들어가게되죠.

두번째로 분리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구성했습니다. 수냉의 경우 밀폐형이 아니면 1년에 한번정도는 냉각액을 갈아줍니다. 갈아줄때 불편함은 둘째 치더라도 HW 추가 및 부분 교체시 용액 다 빼야됩니다. 디스플레이용을 제외하고 셧오프 밸브 없는 저가형 수냉은 상당히 귀찮아집니다.


제목Page 68/283
2015-12   1793205   백메가
2014-05   5268190   정은준1
2010-06   5006   ideadesign
2006-10   5006   박정길
2021-11   5007   송주환
2008-02   5008   박진국
2018-11   5008   catstyle
2003-02   5008   김경락
2006-12   5008   박광덕
2006-09   5010   박정길
2012-02   5010   정은준1
2009-01   5010   송화식
2008-04   5011   박문형
2012-10   5012   늘보곰
2021-04   5013   나우소래
2005-03   5013   조영욱
2012-03   5014   순짱
2008-01   5014   손견권
2003-09   5015   김형숙
2007-03   5015   손견권
2019-03   5017   아이티만쉐
2007-06   5018   김한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