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8678 |
0 |
2014-05
525867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3502 |
25 |
2015-12
1783502
1 백메가
|
4416 |
[리뷰] Dell PowerEdge SC1435 (Opetron 2Way, 1U) (1) |
정은준 |
2006-12 |
4934 |
89 |
2006-12
4934
1 정은준
|
4415 |
랜더링 테스트 - Intel 콘로 E6400(2.13->2.66GHz 오버) (5) |
배진호 |
2006-08 |
4935 |
59 |
2006-08
4935
1 배진호
|
4414 |
LP 브라켓을 제공하는 USB 2.0 PCI 카드 |
김기범 |
2003-07 |
4935 |
112 |
2003-07
4935
1 김기범
|
4413 |
(Intel) Intel Core i7 920 |
THEPAPER |
2009-08 |
4937 |
1 |
2009-08
4937
1 THEPAPER
|
4412 |
저도 뭘까요?에 동참 합니다 (7) |
주양봉 |
2008-07 |
4938 |
79 |
2008-07
4938
1 주양봉
|
4411 |
도선 770ES MoDT 간략 사용기 입니다. (8) |
이종원 |
2006-08 |
4939 |
68 |
2006-08
4939
1 이종원
|
4410 |
(VGA) GRID K2의 Power Specification입니다. (1) |
송주환 |
2019-03 |
4941 |
0 |
2019-03
4941
1 송주환
|
4409 |
2CPU Render Test Ver.2 Dempsey 5060 (2) |
이범혁 |
2007-03 |
4942 |
129 |
2007-03
4942
1 이범혁
|
4408 |
모습을 잡아가는 나의 2466 (1) |
김영완 |
2003-04 |
4943 |
10 |
2003-04
4943
1 김영완
|
4407 |
허큘레스인지 CGA인지 가물가물(삼보 VGA).... (4) |
이선규 |
2006-05 |
4943 |
189 |
2006-05
4943
1 이선규
|
4406 |
Quadro 400 NVS 사용기 (2) |
김덕기 |
2005-09 |
4944 |
84 |
2005-09
4944
1 김덕기
|
4405 |
NAS 엔진 (7) |
박문형 |
2004-03 |
4946 |
59 |
2004-03
4946
1 박문형
|
4404 |
[초간단 사용기] MoDT 2호기 (셀M 430 + N4L-VH DM) |
한동훈 |
2006-10 |
4946 |
157 |
2006-10
4946
1 한동훈
|
4403 |
2CPU 로고 새겨진 G-pad 사진.. (1) |
심규상 |
2003-12 |
4946 |
66 |
2003-12
4946
1 심규상
|
4402 |
[주의] 3ware 레이드 카드 쓰시는분 주의 ! 시디스페이스와 충돌 (4) |
성동호 |
2003-05 |
4948 |
86 |
2003-05
4948
1 성동호
|
4401 |
(Mainboard) M.2 지원 중고 하스웰보드 득템.^^-> 그러나...ㅜㅜ (4) |
화정큐삼 |
2020-01 |
4948 |
0 |
2020-01
4948
1 화정큐삼
|
4400 |
가야에서~ (9) |
현진 |
2004-04 |
4949 |
204 |
2004-04
4949
1 현진
|
4399 |
[사용기] Gainward Geforce 3 Ti 550 SV 사용기 입니다. (2) |
임태성 |
2002-11 |
4949 |
81 |
2002-11
4949
1 임태성
|
4398 |
iwill DK8X (3) |
정규문 |
2004-06 |
4950 |
97 |
2004-06
4950
1 정규문
|
4397 |
듀얼 보드....이젠 업그레이드해야지.하하 (5) |
박성우 |
2002-12 |
4950 |
18 |
2002-12
4950
1 박성우
|
그것들을 다 공부하면 모를까 쉽지 않지요..
아직 금융권 같은 곳에는 쓰이고 있고 부품이니 OS니 어플이니 IBM에서 다 구해야만 돌아갑니다.
이것을 오픈해서 새로 나온 것이 openpower system 입니다.
더불어서...부품은 IBM전용 부품들이라서 가격대가 좀 높다고 보셔야 됩니다.
보통...통으로 사용하기보다는 LPAR같은 가상화로 쪼개서 사용하구요
일반적인 리눅스 사용하다가 AIX사용할려면...애로사항이 좀 많을수 있다고 봅니다.
포커스가....안정성에 포커스를 두다보니...성능 자체는....동급 가격대의 X86서버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하네요
진짜...안정성이 중요한곳이 아닌이상...유지비나 기술지원비등으로 계륵같은 존재가 될수있으니...고민은 해보세요
인텔 제온을 파괴하는 그런 성능이라고해서.. 구입할 기회를 찿은건데...
유닉스의 최고 강점은 위에 Lpar로 나누어 쓰이는것 이외 OS만 담당하는 Core를 할당 할 수 있을 정도로 운영에 대한 안정성이 Mainframe 이외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튼 일반적인 x86보다는 폐쇄적이긴 하나 Mainframe 보다는 자유로워 Open System이라 불리우고 있으며,
현재까지 IBM AIX와 HP-UX는 x86과 비교하는건 불가능 합니다.
물론 UNIX가 우위에 있다고 설명 드릴 수 있겠습니다.
문의하신 용도로는 사용하실 수 없으며, 일반적인 Linux, BSD와는 명령어조차 조금씩 다릅니다.
모델명 검색하셔서 중고로 처리하시고 x86을 구매하시는건 어떠실지요^^
power7 서버는 전용부품아니면 안되더군요
리눅스로는 레드햇이나 수세 우분투 등이 있습니다.. 시끄러워서 그렇지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