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 메모리온도 100도

   조회 10377   추천 1    

771소켓 쓰는데,

여러 메모리를 섞어 쓰는데,

걔중에 한녀석이 아이들 시에 100도가 넘어가네요.

 

별 문제 없겠죠?

네네 반갑습니다. 무적의 시스템을 위하여.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동수P 2016-01
771소켓에 저 온도면 FB-DIMM 인데...
쿨러 달아주시는게 낫지 않을까요? 고온으로 방치하면 가끔씩 이유없이 뻣는 경우 생기던데요.
     
영업과철학 2016-01
케이스 측면쿨러를 좀 더 큰 걸로 교체할까 생각은 합니다.
2cpu에 글들 검색해보니 램 바로 윗쪽에 직접적으로 쿨러를 설치해주는 경우가 있다는 글도 봤는데...
혹시 고정가능한 특수한 쿨러가 있습니까? 쿨러를 얹거나 테이프 붙여 사용하기는 매우 귀찮은거 같아서요.
YJROOT 2016-01
100도면 당장은 문제가 없더라도 생길 수도 있습니다.
혹시 온도센서가 고장난건 아닌가요?
     
영업과철학 2016-01
따로 온도 측정기는 없어서 재볼 수는 없고... 손으로 만져봤더니 더럽게 뜨거운건 맞습니다;;;
lovemiai 2016-01
컴퓨터가 아니고 혹시 난방기기 아닐까요...
     
영업과철학 2016-01
반박 불가능 하네요 ㅜ.ㅜ..
저희 집이 옛날 집에다가 부모님들도 옛날 분들이라... 보일러를 정말 사정없이 트시는데..
지금 더워 죽을 지경입니다...
gmltj 2016-01
fb dimm 이 원래 발열이 심하긴 한데.. 만져서 뜨거울 정도라면 쿨러를 다시는게 좋아보이네요.
퍼랭이 2016-01
ㄷㄷㄷㄷ
영업과철학 2016-01
정확히 104-5도 왔다갔다 합니다.
영업과철학 2016-01
근데... 첨에 저는 지금까지 CPU나 GPU온도는 꼼꼼하게 관리를 했지만..(누구나 그렇죠..) 메모리 온도는 사실 아예 신경외였거든요. 그래서 하드웨어 모니터 프로그램에서 그 항목은 그냥 의식영역 밖이었어요. 그냥 스크롤 쭉 내리거나 말이죠...

근데 오늘 무심코 보니까... 이게 105도가 찍혀 있고.. 최고 온도가 107도 인거죠...

그리고 이렇게 하루 이틀 쓴것도 아닌데...
음 생각보다 메모리는 높은 온도까지 견디는군요 ㅎㅎ

하나 배웠습니다.
박문형 2016-01
FB-DIMM 100도면 죽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것 구해서 바꿔버리세요..

메모리 모듈 위에 펜을 달아두면 좋습니다..
     
영업과철학 2016-01
네 심각함을 인식했습니다.
블루레이 영상 한 8개에 기타 프로그램 1두개와 다수의 익스플로러를 띄워 봤더니...
해당 램의 온도가 112도를 찍습니다.

그래도 다운은 안되네요... 신기하게도..
시스템을 통으로 교체 하세요..
그 램이 전기를 많이 먹습니다..
최근 시피유 i5만 해도 사용하시는 컴퓨터 성능 보다는더 나올듯 합니다..
     
영업과철학 2016-01
3570K 현재 쓰고 있고... 세컨으로 돌리는 겁니다.. 그냥 놀이인 셈이죠..
이규섭 2016-01
자체 램쿨링없는 FBDIMM의 숙명이죠.
nuni1004 2016-01
제가 썼던 서버컴은 fb-dimm  전용으로 120밀리 펜이 전용덕트를 통하여 최고속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해주더라구요
원래  fb-dimm은 강제냉각 없이는 사용불가인 램으로 생각됩니다.

오래전에 기사인데, 삼성이 에너지 절약형 씨피유를 써서 서버센터를 구축했는데,  그곳이 전력소모가 막대했다죠
결국 원인은  fb-dimm  모듈 하나당  6W  정도 기본전력소모가 더해진다더군요..

모듈 4개면 24W ~!!!  하위급 그래픽 카드 소비전력이죠...펜없으면 뻣는수준
간장게장 2016-01
램 슬롯에 장착하는 메모리 쿨러들이 있습니다.

http://goo.gl/GrYQKG

http://goo.gl/pKzvfz

http://goo.gl/Oy9q2s

http://goo.gl/YBTl4m

이런 것들.


DDR3이건 DDR2 FB-DIMM이건 대략 잘 장착이 됩니다. 메인보드 램 슬롯 형태에 따라 드물게 장착이 좀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FB-DIMM 슬롯이 8개라면 이런 것 두개가 필요하겠지요. 8개 슬롯 다 채우지 않고 램 모듈 두개만 장착하려고 해도 메인보드에 따라 이런 쿨러 두개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텔 S5000VSA 같은 경우 램 슬롯을 한쪽부터 1, 2, 3, 4, ..., 7, 8로 번호를 매길 경우 두개 꽂으려면 슬롯 1과 5, 4개 꽂으려면 1, 5, 2, 6 순으로 꽂아야 하기 때문에 두개만 꽂으려 해도 쿨러 두개가 필요한 셈.


싸게 하시려면 예전 인텔 정품 775 쿨러(초코파이 쿨러라고 불리던 것)에서 팔랑개비만 떼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는 것이 있으면 그걸 사용하시면 되고, 없으시면 이곳 장터에 천원씩 인텔 중고 쿨러를 파는 분이 있으니 그걸 천원 주고 사신 후 팔랑개비만 떼어서 사용하시고 남는 히트싱크 부분은 5백원에 되파셔요. ㅎㅎ

케이스에 장착하시는 것이 아니라 그냥 램 모듈 위에 올려 놓으시면 됩니다. 그냥 올려 놓아도 플라스틱 케이지가 있어서 팔랑개비가 램 모듈에 닿지 않습니다. 움직이지 않게 하려면 3M 아크릴폼 양면 테이프 쪼꼼 잘라 플라스틱 케이지 테두리와 램 모듈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어렵지도 않고 잘 붙어서 움직일 염려 없습니다. 떼기도 쉽고요.
     
영업과철학 2016-01
글을 조금 늦게 확인했습니다^^. 오 이거 유용한 정보군요. 이런 것도 있었네요? 하하 감사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간장게장 2016-01
FB-DIMM은 위에 쿨러를 달아 직접적으로 바람을 쐬어 주거나 shroud를 덮어 씌워 유도된 바람이 램 모듈을 식혀 주어야 합니다. 온도를 85도 이하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85도가 넘어가면 시스템에 따라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속도를 늦춰주는 것들이 있습니다.

FB-DIMM을 사용하는 완제품 서버나 웍스테이션에는 대개 FAN에서 램 모듈로 가는 shroud를 덮어 씌워서 램을 식혀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니면 바로 위에 fan을 달아 식혀주거거나...

FB-DIMM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곳은 램 칩이 아니라 중앙부 advanced memory buffer (AMB) 부분입니다. 램 모듈의 가운데 부분에 바람이 잘 가도록 해야 합니다.
간장게장 2016-01
답글로 인텔 정품쿨러 사진을 올렸는데, 글이 조 위로 올라가 버렸네요.


제목Page 63/283
2015-12   1773174   백메가
2014-05   5247842   정은준1
2016-01   8360   간장게장
2016-01   8289   준바이
2016-01   10378   영업과철학
2015-12   6444   dok3
2015-12   7795   DaVinci
2015-12   9351   딸기대장
2015-12   10187   이현길
2015-12   10046   죠짱
2015-12   6723   미나리나물
2015-12   8571   철이님
2015-12   6401   DoubleSH
2015-12   6316   애니악
2015-12   7762   회원K
2015-12   7569   DDAYs
2015-12   8318   패킷스트림
2015-12   6731   DDAYs
2015-11   11339   호이호이호
2015-11   10242   가부끼
2015-11   6840   준바이
2015-11   6009   명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