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Dell R710에 비디오 카드 달기

   조회 10784   추천 5    

예전에 뭐 써먹을게 있나 싶어 사둔 R710입니다. 랙은 회사에서 좀 만져 보긴 했지만 소유한 건 처음이라 쉽게 접근했다가 뭔가 골치 아프다는 걸

나중에 알았습니다 ㅠㅠ 후회해도 늦은... 제 일이 게임 만드는 건데 비디오 카드를 달지 못하면 이걸 써먹을 데가 많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네할렘 제온이라 퍼포먼스가 떨어져 보이진 않습니다 (E5540 x 2)

그래서 비디오 카드를 달아 보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일단 긴 건 안됨... 대략 2nd 라이저 안의 공간을 보니 240mm 정도까지의 VGA는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보다 짧은 것 중에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은 GTX970이더군요. 장착해 보았습니다.


위 사진은 장착 다 한 모습입니다. 전원은 4번 5번 SAS포트 전원을 끌어왔습니다.



1차 관문은, PCI-E 8x 슬롯인데, 이게 끝이 오픈된 슬롯이 아니라 x16 카드가 안 꽂힙니다. 고민하다가 끝을 드레멜로 갈았습니다.

핀 하나가 휘었을 때는 심장이 내려앉는 줄 알았으나 핀셋으로 잘 펴서 바로하니 잘 되는군요 휴... ^^;




두번째 난관... 8핀 전원 포트가 하필이면 1st 라이저 쪽을 향하고 있는 바람에 ㅠㅠ 8핀을 꽂으면 라이저가 안 들어갑니다.

과감하게 8핀 헤더를 뽀개서 수축 튜브로 싼 후 하나 하나 직접 와이어링 합니다...


두근거리는 마음을 안고 부팅해 봅니다. 인식 잘 되고 잘 돌아갑니다. x8 슬롯이라고 해도 체감상 성능차이는 잘 안느껴지구요 충분히 개발에 투입할

만 한 것 같습니다. 본체보다 비싼 비디오 카드라 망가지면 어쩌나 했는데 다행입니다. 언리얼이 돌아가기만 하면 되니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헉..R710을....게임을 위한......장착을 하시다니...하하하...
가연아빠 2016-04
저의 R710에도 한 번 시도해보고 싶네요.
양명석 2016-04
대단하십니다!!
구경잘했고요.!!!
궁즉통이라...
시도해볼만하다고
저도 용기를 낼겁니다!!!
PiPPuuP 2016-04
언리얼개발자이신가보군요.
"본체보다 비싼 비디오 카드"를 한번 더 곱씹어보고 갑니다.
붉은전갈 2016-05
도ㅇ씨 ㅎ
회사에서 이걸 사용해요?
     
쓰레기단장 2016-05
여기서 뵙네요 ㅋㅋㅋㅋㅋㅋㅋ 회사에서 쓰는 것 맞아요. 제 개인장비긴 하지만...
얼굴함봐야하는데.... 제가 따로연락드릴게요
kosomi 2016-05
게임서버 개발용으로 쓰신다면 이해가되는데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은 좀,,,,,,,
소음과 발열 문제로 덥고 책상위에 올려놓고 작업하면 울릴텐데
연애인 걱정과 R710 걱정은 안해도 될듯합니다만 ㅋㅋ
     
쓰레기단장 2016-05
언리얼이 빌드때도 셰이더 컴파일 때도 안드로이드 빌드 때도 패키징 때도 전부 다중 프로세스로 돕니다. 저 R710이 현세대의 I5-6600k보다 거의 2배 가까이 빌드가 빨리 되더라구요. 안드로이드 패키징시 일반 4코어 PC에서는 두시간씩 걸리는데 그게 1시간으로 줄어드는 것이니 다른 거 다 감수하고도 쓸만합니다. 그리고 소음이나 울리는 문제는 별로 괜찮더라구요? 팬 소음이 좀 있긴 합니다만 울리거나 그렇진 않고 제 자리가 에어콘 바로 밑이라 덥지도 않더라구요 ㅎㅎ
결국 저 머신 말고도 E5-2630v3 듀얼 머신을 하나 더 들였습니다.
꼬마고씨 2019-03
12볼트의 노란선과, 0의 흑색선만 연결하신건가요 ?
maronet 2019-07
헐~ 한대 사서 470 달을라했드만, 작업이 장난 아니내요 ㅠ.ㅠ


제목Page 58/283
2015-12   1793037   백메가
2014-05   5268027   정은준1
2022-03   4868   딥러닝서버
2009-02   4869   정은준1
2007-06   4869   이성효
2009-07   4870   임곽석
2006-05   4870   김지환
2020-08   4870   박문형
2006-03   4871   우명훈
2006-09   4871   박문형
2005-05   4871   손상욱
2009-05   4873   조영욱
2006-12   4873   임상현
2003-04   4873   김영호
2003-11   4874   이성효
2004-02   4875   김영호
2006-06   4876   김지영
2006-12   4876   조승현
2012-06   4877   sinabro
2022-04   4878   통통9
2003-08   4879   양국형
2003-03   4880   이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