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솔리게이트 XG350 구매 및 하드장착 후기

   조회 10312   추천 3    


장터에 저렴하게 풀린 솔리게이트 VPN(Soligate XG350) 장비 하드장착 후기 입니다.


1. 하드 전원 공급 케이블 문제

 → 고장난 파워에서 "양쪽 끝이 FDD 및 IDE 4핀 전원인 케이블"을 절단하여 활용하였습니다.

 → 먼저 보드를 탈거(추가 장착된 랜카드 포함)한 후 하드전원 공급용 점퍼의 플라스틱 테두리 부분을

    조심히 빼냅니다.(양쪽끝을 잡고 좌우로 살짝 살짝 흔들며 위로 들어올리면 쉽게 빠집니다.^^)

 → 파워에서 잘라낸 케이블의 FDD 전원단자 커넥터를 보드의 하드전원공급용 점퍼에 결합합니다.

    (12v 노란색 / 5v 빨간색 입니다. 첫번째 그림을 참고(출처:경박한 시민님 후기 게시물)하여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하드디스크 혹은 SSD 추가 장착 문제

 → 추가장착할 디스크는 내부 공간상 2.5인치만 가능합니다. 3.5 슬림하드도 장착해 볼려고 시도해 봤지만

    여러가지로 무리하다 판단되어 장착불가로 결론지었습니다.

 → 디스크 장착은 SSD 구매 시 함께 포함되어 있는 2.5 to 3.5 가이드을 이용했습니다.

 → 가이드는 VPN 본체 케이스 측면의 에어홀 부분에 나사를 이용하여 장착하였습니다.

    (가이드 옆면의 나사구멍 3개 중 중간을 제외한 처음과 끝 구멍에 나사 결합)


3. 참고사항 (추가 랜카드)

※ 메인보드 및 솔리게이트 장비 매뉴얼은 자료실에 있습니다.

 - http://www.2cpu.co.kr/PDS/12079 (MS-S0361 메인보드 매뉴얼)
 - http://www.2cpu.co.kr/PDS/12080 (솔리게이트 장비매뉴얼)

 → USB단자 위 LAN포트는 콘솔케이블(RJ45 to Serial)용 입니다.

 → 메모리는 DDR3 일반(1.5v), 그리고 저전력(1.35v) 둘다 사용 가능하며 클럭도 PC3 8500/10600/12800

   모두 호환 가능합니다. (슬롯당 4기가씩 최대 8기가 장착 가능)

 → 보드의 SATA포트는 전원공급을 지원하며 DOM에서도 함께 지원(7핀, VCC)해야 추가 전원단자의 도움없이

   전원공급이 가능합니다.

 → 보드와 함께 추가로 장착된 PCIe-1x 랜카드의 제조사 및 칩셋은 "SMSC LAN7500" 입니다.

 → 테스트 결과 윈도우 및 리눅스에서 잘 인식하며 정상동작 합니다.

 → 이 랜카드의 정확한 정체는 "USB 2.0 to 10/100/1000 Gigabit Ethernet controller" 이며 브릿지 인터페이스의

    한계상 속도가 딱 USB 2.0 정도의 속도(25MB/s 내외)만 나오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OS에서 인식할 시,

    4포트가 아닌 단일 카드(포트)로 인식 합니다. 포트를 공유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4. 활용

 → 처음 구입 시 Pfsense용으로 구입했으나, 보안장비 역활과 더불어 간단한 파일공유(Samba 및 FTP)

    그리고 토렌트용으로도 함께 병행하여 사용하고 싶어 Zentyal 및 ClearOS를 선택하여 검토, 최종적으로

    ClearOS를 선택하여 마지막 테스트 중입니다.


4. 결론

 → 자리도 적게 차지하고 소음도 없으며 소비전력도 적고 활용도도 무궁무진하여 여러가지로 아주 만족 합니다.

    15000원의 행복 !! / 그뤠잇 / 최고입니다.^^


이상입니다. 구입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으면 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뽀뽀중 2017-11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OptimAE 2017-11
성공적인 작업 축하드려요~~
저는 이런 작업하려면 "FDD 4핀 to IDE 4핀" 변환 케이블, 이런 물건 여기저기 찾아서 구입해야 되는데,
고장난 파워를 활용하시다니 그 능력 부럽습니다~~^^
박건 2017-11
OptimAE 2017-11
그런데, 그림 설명의 12V와 5V의 위치가 바뀐 것은 어떻게 찾아내신걸까요?
     
송진홍 2017-11
직접 테스터기로 찍어 보셨답니다. 증권가에서도 얻을 수 없는 아주 고급진 정보지요...^^
(http://2cpu.co.kr/hardware_2014/39580)
          
OptimAE 2017-11
그렇게 된 사연이 있었군요. 대단들 하십니다~^^
링크에 뭔 문제가 있는지 안되길래 목록에서 검색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2cpu.co.kr/hardware_2014/39580?&sfl=wr_subject&stx=XG350&sop=and
재호 2017-11
애드온 PCI-E 카드의 정체는 PCI-E 1x to USB 2.0 브릿지 + SMSC LAN7500 USB NIC + 5포트 기가비트 스위치입니다.스위치의 5포트 중 하나를 SMSC LAN7500이 먹고 있어서 4포트가 남는 것이죠...
SMSC LAN7500 NIC은 USB 2.0의 한계로 30MB/s가 최대이지만 스위치는 기가비트입니다. 그러니 LAN7500은 비활성화하시고 메인보드의 82583V 포트 중 하나랑 스위치를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하시면 가용 포트는 좀 줄어들지만 최대속도를 다 뽑을 수 있죠....
     
송진홍 2017-11
이야~ 완전 고급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랜카드를 죽이고 4포트 기가비트 L2 스위치로도 사용 가능하군요.
가용포트가 줄어드는게 아쉽기는 합니다만..
구입 가격을 생각하면.. 모든 것이 다 용서가 되는군요..^^
     
유호준 2017-11
이걸 PCI-E에서 빼고 별도로 전원쪽만 연결해 주어 동작되면 이 또한 대박이겠군요. PCI-E 핀확인 좀 해봐야 겠내요.


제목Page 45/283
2015-12   1793389   백메가
2014-05   5268353   정은준1
2009-06   5695   김선규
2010-05   5745   레인
2021-05   4782   박문형
2009-08   7554   푸릉이
2022-11   16508   05
2024-09   2157   박문형
02-19   2815   HEUo김용민
2010-07   8118   정은준1
2024-09   3061   박문형
02-22   2699   2CPU최주희
2010-05   5504   양파링
2018-02   6461   서울사람
2021-01   5844   린드버그
2023-03   20343   nahyun
2024-09   3558   박문형
2009-04   8615   오강석
2010-02   6289   2CPU최주희
2009-09   6952   김선규
2010-05   5917   김정중
2018-09   6409   박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