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듀얼CPU 보드장착PC와 클러스 컴퓨터구축 장단점 문의

   조회 6257   추천 0    

초짜이니, 말이 안되는 글이 나와도 이해해주시기 바라며..(직장,전공 PC쪽과는 무관하지만 관심이 많습니다.)

친구가 PC를바꾸다기에 인텔 6세대 i5 CPU탑제된 PC 를 득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집에서는 인텔6세대 i7 CPU PC(window 10)를 사용중인데, 처음에는 클러스터 PC를 구축하려하다가,

검색하다보니 2CPU에대해 알게되어 게시글을 보고 공부하는 중입니다.

집에 순전히 호기심에 NAS도 구축해서 사용하고 있고, 독학으로 파이썬, 자바등도 배우는 중인데...

 듀얼CPU를 구성하려면 보드등도 바꾸고, 장비값도 문제고 i5와 i7이 호환이 되는지도 모르겠지만 왠지 해보고싶은마음이고

 클러스터 PC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데 관련교재도 교보문고에 한개밖에 없어서 일단 구입해서 봤는데 왠지 막연하지만 이것또한 왠지 해보고싶어서리..

어떤방향으로 가도 별 제 생활에는 별 도움이 아되겠지만,,,그냥 한번 해보고싶어서 각각의 장단점을 알고싶어 질문올립니다.

배우고싶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프로시아 2020-01
인텔 i7 i5등등은 세대를 막론하고.. 듀얼구성이 안됩니다.
듀얼 구성이 가능한 cpu는 제온시리즈중에서 e5 2xxx 이상으로 된 cpu와 스케일러블 xeon 시리즈 그리고 amd 에픽시리즈, 옵테론 뿐입니다.
클러스터 pc는 이상한데... 클러스터 컴퓨팅이라고 컴퓨터를 병렬로 여러대로 분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네이버 같이 대형포탈사이트는 접속자가 많고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아야 하기떄문에, 혹시나 서버 고장이나, 접속자 폭주등을 대비하여, 서버 여러대를 분산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가정집에서 공부용으로 클러스터 컴퓨팅을 쓴다는건 쓸모없는일입니다. 혹시나 꼭 클러스터 컴퓨팅에 대해서 테스트 하고 싶다면... vm으로 서버를 여러대 만들어서 서버의 부하를 여러대가 같이 분산하여 처리하는지에 대해서 테스트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이것은 실제로 클러우드 컴퓨팅이 제대로 세팅한게 맞는지 테스트용도지.. 실제 서버에서 vm을 여러대 만들어서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은 "밥팔아 x 사먹는일"입니다.
클라우드 pc라고 비슷한 말은 있는데.. vdi 책자 찾으시면 많이 나올껍니다. 이것도 제대로 쓸려면 도입비용이 많이 들어 갑니다. 서버의 퍼포먼스도 좋아야 하고, 회선도 좋아야 하고, 관리 소프트웨어 비용도 많이 비쌉니다.
듀얼 cpu라고 해서 1개일때보다 빠르겟지 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듀얼 cpu라고 해도 요즘 나온 쓰레드리퍼의 성능의 절반만 나오는것도 있고.. 더 안나오는것도 많습니다. 용도에 따라 선택을 해야 할뿐.. 장난감이 필요하다면 돈되는대로 아무꺼나 사도 되는데.. 그게 아니라면 용도를 한번 생각해보고 뭐가 필요한지 찾아보는게 맞습니다.
MC쓸 2020-01
여기는 하드웨어 갤러리입니다. 질문은 QnA
면발사랑 2020-01
어리버리하 질문에 샤프한 답변 감사드리며, 앞으로 질문은 QnA에 올리겠습니다.~~
검은콩 2020-01
클러스터라면 오픈스택 이런 거 말씀하시는 거 같네용
뭔가 저렴한 i7등 모아서 여러대의 컴퓨터를 한 대의 서버처럼 사용하고 싶으신 거 같으신데...
이거 할라면 공부할 게 너무 많습니다.ㅠ.ㅠ...
그리고 듀얼 제온 사시는 것보다는 요즘 나오는 라이젠도 괜찮습니다..
오픈스택은 가상화에서 하는게 유연성 면에서 좋습니다
단아 2020-02
클러스터에 꼭 듀얼 씨퓨가 필요한 건 아니지만, 공부는 많이 하셔야합니다.


제목Page 29/283
2015-12   1789360   백메가
2014-05   5264381   정은준1
2018-11   6880   송주환
2009-12   9086   Godspeed
2009-12   8295   정영철
2010-06   6275   Sico
2019-09   8828   아스란
2020-04   4866   차넷컴퓨터
2022-04   9933   통통9
2010-01   7205   윤치열
2010-06   5272   닥터D
01-18   2873   뮤노
2009-08   5847   이선규
2009-10   10459   승후니도쿄
2009-11   7606   TSHA
2010-03   7332   이선규
2009-08   4975   미소찍사
2009-11   5880   김병철
2010-06   6009   cb400
2021-02   6712   shipse
2022-07   12504   송주환
2009-08   6391   이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