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111 |
25 |
2015-12
177711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111 |
0 |
2014-05
5252111
1 정은준1
|
5255 |
AMD Xp-m Barton 2800+ (6) |
김덕기 |
2006-01 |
4392 |
67 |
2006-01
4392
1 김덕기
|
5254 |
Seagate ST-124 MFM HDD (14) |
김윤상 |
2006-04 |
4393 |
58 |
2006-04
4393
1 김윤상
|
5253 |
이런저런 투덜투덜 DH800 (2) |
임민규 |
2005-05 |
4393 |
38 |
2005-05
4393
1 임민규
|
5252 |
AM2 AMD64 3500+ (1) |
이광호 |
2006-05 |
4393 |
44 |
2006-05
4393
1 이광호
|
5251 |
Maxtor 80GB *3 RAID (9) |
김용수 |
2003-10 |
4394 |
55 |
2003-10
4394
1 김용수
|
5250 |
저의 간단한 고난기를 올립니다.(키보드 관련) (5) |
권순규 |
2004-10 |
4394 |
159 |
2004-10
4394
1 권순규
|
5249 |
보기 드문 Intel Dialogic Voice Board (5) |
이선규 |
2006-03 |
4394 |
56 |
2006-03
4394
1 이선규
|
5248 |
2년만의 듀얼시스템 (1) |
이춘근 |
2003-11 |
4394 |
16 |
2003-11
4394
1 이춘근
|
5247 |
고장난 듀얼보드694d, 230t 사고 싶어라.. |
이재진 |
2004-07 |
4394 |
38 |
2004-07
4394
1 이재진
|
5246 |
252결관데요...아래 248보다 떨어지네요. |
김한결 |
2006-10 |
4394 |
116 |
2006-10
4394
1 김한결
|
5245 |
나의 듀얼 아! 갈증납니다. (2) |
임경훈 |
2006-01 |
4395 |
77 |
2006-01
4395
1 임경훈
|
5244 |
2CPU Vray Rendering Test - 2 (3) |
정은준 |
2006-10 |
4396 |
106 |
2006-10
4396
1 정은준
|
5243 |
이번에 장만한 듀얼보드와 부가적인 부품조합입니다. (4) |
차재근 |
2004-11 |
4396 |
26 |
2004-11
4396
1 차재근
|
5242 |
임시 세팅한 제온 1.7 듀얼입니다. (2) |
박정길 |
2006-03 |
4397 |
52 |
2006-03
4397
1 박정길
|
5241 |
Intel Moibile System Core2 Duo - MCE 미디어센타 2005 - (2) |
박정길 |
2006-10 |
4397 |
78 |
2006-10
4397
1 박정길
|
5240 |
MSD 메인보드 수리기와 허접한 비교 (맥스터와 바라쿠다) (2) |
정주환 |
2003-10 |
4398 |
72 |
2003-10
4398
1 정주환
|
5239 |
CHIEFTEC CASE |
정은준 |
2004-06 |
4398 |
96 |
2004-06
4398
1 정은준
|
5238 |
Cebit 2008: Ciprico / Raidcore RAID Card (1) |
박문형 |
2008-04 |
4398 |
106 |
2008-04
4398
1 박문형
|
5237 |
iwill DBL100 슬롯듀얼...irDA포트적용 실패... |
김건우 |
2006-11 |
4399 |
68 |
2006-11
4399
1 김건우
|
5236 |
[re] 답변 감사드립니다만.. (4) |
최경찬 |
2007-06 |
4399 |
124 |
2007-06
4399
1 최경찬
|
크로스 파이어 하신이유가있나요?
다빈치 리졸브등 멀티 GPU 잘 써먹습니다
사진이 아니고 영상이라서 그런건지요
특히 영상 작업에 쓰는 코덱은 키프레임 개념이 없습니다
영상작업할 때는 OpenCL로 연산을 하는데 이건 크로스파이어같은 기술 없이도 복수의 gpu 활용이 가능합니다.
색상 보정등은 어차피 그래픽빨로 하는거고, 저런 시퓨 구성이라도 단일 GPU보다도 느린 속도때문에 마지막 인코딩조차 결국 그래픽에게 시키실꺼니 항상 자원이 놀게 되요
그리고 어지간하면 수냉은 쓸일 없을껍니다
그리고 인코딩은 H.264나 gpu 인코더 써먹을 수 있고, Prores나 DPX 등은 cpu를 갈구는 작업이다보니 cpu빨을 크게 탑니다. 이건 Compressor든 Resolve든 Media Encoder든 동일하더라구요.
수랭은 저도 쓰게 될 일이 없길 바래봅니다 ㅎㅎ
인코딩 어차피 GPU로 시키는중 아닌가요? (저런 그래픽 1개면 듀얼 시퓨 합친거보다 빠를껀데요?)
물른 코덱의 초기 변환등은 시퓨의 작업이긴합니다만 일정 이상의 시퓨를 쓰면 어차피 전체 작업 시간에 비하면 얼마 안 되더군요 (작업시간이 1시간이면 20%=12분이지만, 작업시간이 20분이면 20%=4분입니다) (예산에 비해 줄어드는 시간 효율이 좀 나쁘다란 생각이 들더군요
저걸로 모잘라면 케이스팬 조금 더 강화해보시고, 이걸로도 안 되면 각각 트리플 (360밀리)정도 달아야할껍니다
그럼에도 GPU를 두개씩이나 쓰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RAW 작업할 때 노이즈 리덕션 돌리고 나서 색보정을 하게 되고 그 색보정도 GPU에 큰 영향을 받는데다가 여기에 필요시 OpenFX 이펙트도 넣게 되다보니 GPU 성능이 딸리면 심하게 느려지고 VRAM이 딸리면 크래시가 발생해서죠. 라칠이 한장만 썼을 때의 얘기이긴 합니다만 16GB HBM2도 부족해서 HBCC 기능 활용해서 CPU RAM을 VRAM처럼 확장해 쓴 적도 단 한번이긴 하지만 있을 정도니까요.
요약하자면 색보정 때문에 다중 그래픽카드, 결과물 출력 때문에 다코어 CPU에 집중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리졸브 말고 다른 툴이 메인이었으면 아마 지금과는 사양이 다를 수도 있겠지요.
GPU 2개 쓰는 이유는 잘 알고 있습니다
몇몇 영상 작업하면 GPU 극심하게 갈굽니다 (그나져나 해상도가 얼마길래 16기가가 모잘란지?)
글 내용에서 프로 라는 느낌이 옵니다.
CPU 인텔 e5-2699v4 qs 2개 110만
MEM 삼성 32GB 2400 ECC 4장 50만
MB 슈마 X10DAL-i 미국 자재샵에서 관부가세 포함 30만
GPU 라데온 7 2장 120만(지금은 가상화폐 가격상승으로 저 가격엔 못 구하실 거에요)
파워 델타 1300W 플래티넘 35만
CPU 쿨러 2개 15만
10G 랜카드 X540-T2 인텔(서브벤더 동일)8만
케이스 실버스톤 레일포함 40만원 정도...
저장장치는 갖고 있던 거 재활용해서 뺐습니다.
솔직히 범용적으로 좋은 셋업이라고 보기는 많이 무리가 있고, 멀티코어 성능 + GPU 렌더링 성능만 보고 가는 시스템입니다. 애프터이펙트 등 2D작업이나 게임/작업겸용으로는 성능도 가성비 전성비도 꽝이에요. 딱 3년 굴리고 갈아탈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