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mSATA, M.2 SSD로 USB 메모리 만들어 쓰기

임명상   
   조회 11886   추천 0    

 

mSATA나 M.2 SSD로 USB 메모리 만들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꽤 계실 것 같아 최근 만들어본 제품 소개합니다.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인클로저는 총 5개네요.


크기 비교를 위해 볼펜을 놓고 찍어봤구요.

왼쪽 위는 mSATA용으로 라벨처럼 하이닉스 256GB SSD가 들어가 있습니다. SSD는 예전 이베이에서 구매했는데 메모리 칩 모서리가 살짝 부서져 떨어졌는데도 잘 작동하네요. 오른쪽 위는 M.2 SATA SSD용 인클로저이고 VL716 칩이 사용된 제품입니다. 여기는 Sandisk Z400s 256GB SSD가 들어가 있네요. DRAMless라 일반적으로 쓰기엔 부족함이 많은 제품이죠. 그 아래는 같은 SATA SSD용인데 2242 포맷용입니다. M.2 2242 SATA SSD가 쓸 만한 건 좀 비싸서 아직 비어 있습니다. 만만한 가격의 제품은 모두 실리콘 모션 DRAMless 컨트롤러 사용한 중국산 킹 어쩌구 시리즈뿐이더군요.


왼쪽 아래는 이번에 구매한 UGreen M.2 NVME SSD용 제품으로 ASM2362 칩을 사용했는데 나사 없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하는 제품입니다. 크기가 좀 크긴 한데 만듦새는 좋고 속도도 잘 나오네요. 오른쪽 아래도 이번에 구매한 JEYI M.2 NVME SSD용 제품입니다. 컨트롤러는 RTL9210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두 제품은 모두 이것저것 할인해서 18달러 정도에 산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M.2 SSD -> USB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 JMS583인데 이게 AMD 시스템하고 호환성 문제도 있고 발열도 심하더군요. ASMedia 제품이 그 다음으로 많은데 호환성이나 발열도 무난하고 괜찮긴 하지만 절전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리얼텍 9210이 발열도 적고 절전 모드를 지원한다고 해서 구매해봤습니다.



이번에 새로 구매한 리얼텍 RTL9210 사용한 인클로저입니다.



여기에 이베이에서 30달러에 구매한 삼성 PM991 256GB SSD를 장착해봤습니다. 이건 셀러가 2242라고 팔았는데 받아보니 2230 포맷이네요. 뭐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으니 괜찮습니다. 저가형으로 발열과 전력 소모를 낮춘 DRAMless SSD라 USB 메모리로 쓰기에 딱인 것 같습니다.



장착한 모습입니다. 나름 구조가 견고한 것 같습니다.


벤치마크도 돌려보니 정상적으로 속도가 잘 나오네요.



4GB랑 9GB 파일 두 개를 본체에 장착된 NVME SSD에서 복사해보니 꾸준히 500 MB/s 이상 나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에 구매한 JEYI 제품과 PM991 조합은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크기도 작고 발열도 벤치 2회 돌릴 때 외부 온도 재보니 44도 정도로 그리 심하지 않았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파피푸페 2021-04
usb 메모리 고용량으로 하나 더 살까 고민했는데, 이것도 좋은 솔루션이네요!
NiteFlite9 2021-04
mSATA용 USB 메모리 커넥터 있으시면 좀 파세요^^
128기가짜리가 생겼어요.
     
임명상 2021-04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mSATA용은 10달러 내외로 저렴한 편입니다.
          
린드버그 2021-04
실제로 사용중인 어댑터 좀 알려주세요~ 알리 찾아보니 기판에 USB단자만 달린 거 3불 전후인 것들도 있던데 믿을만할지.. ^^;;

https://www.aliexpress.com/item/1005002297863986.html
새옹지마아 2021-04
제작비가 시중에 파는 USB 사는것보다 비쌀 것 같은데, 가성비가 나오나요?
256GB USB 메모리가 2만원대인데다 크기도 무지 작은데요.
     
임명상 2021-04
2만원 짜리 메모리로 저 속도가 안 나오죠. 저가형 메모리 4k 속도는 대체로 처참한 수준이구요.
시중에 파는 거로 비교하시려면 샌디스크 cz880 같은 거랑 비교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이 제품 256GB 가격 보니 6만원대로 제가 이번에 만든 991 세트가 약간 저렴하고 크기는 크지만 속도는 더 빠르겠네요.
     
임상현lsh 2021-04
취급편의성이나 가격보면 손을 안대는게 맞긴한데 그냥  속도 하나 보고 쓰는거죠
김상일 2021-04
ㅎㅎ 뽐뿌에서 올린것을 보고..2CPU에서 본건데...하고 댓글을 달아봅니다.
     
임명상 2021-04
ㅎㅎ 여기에 먼저 올리고 뭔가 아쉬워서 뽐뿌 컴포에도 올렸습니다.
dateno1 2021-04
원래 991 2230 기준으로 만들어져있습니다

이후 나머지 남은 보드를 잘라서 30/42/60/80으로 팔고 있는것뿐입니다

작은넘 찾기 귀찮으면 80을 사서 잘라서 써도 됩니다
     
임명상 2021-04
그렇군요. 근데 디램리스라고 하지만 칩이 하나라 좀 신기했습니다.
          
dateno1 2021-04
원칩 아니지 않나요?

아마 스티커 때보면 적어도 2개, 아마 3개일껍니다
               
임명상 2021-04

원칩이더군요. 뒷면에도 칩은 없구요.
                    
dateno1 2021-04
1테라 모델도 있던데, 그럼 1테라 nand + dram + 컨트롤러를 원칩으로 만든건가요
                         
임명상 2021-04
1테라는 램이 있나요? 디램리스 모델로 알고 있는데요.
                         
dateno1 2021-04
991 성능 노답스럽던데, 혹시 없나요? (요즘 WD등은 컨트롤러 내장으로 케쉬 가지고 있거나하던데)
김대원 2021-04
nvme to usb 케이스에 ax200모듈 사용 가능한가요?
drezip 2021-05
오른쪽 은색 usb3.0 으로 512  256  256  3개 쓰는데  만족합니다


제목Page 21/283
2014-05   5265626   정은준1
2015-12   1790626   백메가
2010-05   13034   오강석
2009-11   5591   김영민75
2009-12   6188   최마루
2010-06   4806   꼬꼬
2015-01   11160   미도리
2019-03   5068   컴잘못
2022-04   7743   한중일
2022-10   18825   2CPU최주희
2024-03   3786   2CPU최주희
01-09   4698   Robelier
2009-02   5206   정은준1
2009-12   5784   한남규
2018-11   5417   PAiNrel
2019-07   8879   maronet
2020-09   9750   가배
2021-01   5620   shipse
2009-11   6720   2CPU최주희
2010-01   6807   2CPU최주희
2010-04   6578   유은
2009-02   5863   정은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