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딥러닝 서버 견적...조언 부탁 드립니다

   조회 5088   추천 0    

안녕하십니까?

아래의 사양으로 딥러닝 서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회사에서 쓰는게 아니고 저의 집에서 개인적인 목적으로 쓰려고 합니다


아래 스펙으로 하려 합니다


ASUS Z10PA-U8 STCOM

http://prod.danawa.com/info/?pcode=3257887&cate=112751

인텔 제온 E5-2620 v4 (브로드웰-EP) (정품)

http://prod.danawa.com/info/?pcode=4370066&cate=112747

삼성전자 DDR4-3200 (32GB)

http://prod.danawa.com/info/?pcode=11028636&cate=112752

파워

FSP HYDRO PTM PRO 850W 80PLUS PLATINUM Full Modular

http://prod.danawa.com/info/?pcode=12257225&cate=112777


저의 질문은요


1. 이 제품들이 2015년 제품들인데요, 너무 느리거나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2. 윈도우10을 그냥 설치해서 쓰면 되는지요? 아니면 서버 전용 OS가 필요한건가요?


3. RAM은 서버용 메모리 아니고 그냥 DDR4-3200 써도 되는지요?


4. 혹시 대용량 서버라서 (코어가 8코어 입니다) 발열이 심하거나 전력 소모가 심하지는 않는지요?


5. 파워도 서버 전용 파워 같은 것이 따로 있는지요?


회원님들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영산회상 2021-05
제일 중요한 gpu가 없네요;; cpu로 하면 가능은 하겠지만 느려서 답답하실텐데요;
     
totalrecall 2021-05
gpu는 너무 비싸서 새로 구입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 대신, 현재 있는 GTX 1660 super를 장착하려 합니다^^
mongodb 2021-05
개인적인 목적이시면 그냥 3600x에 세이브한 돈은 gpu에 넣으시는 게 나아보입니다.
     
totalrecall 2021-05
위의 스펙이면 너무 느린가요?
저는 메모리를 512GB까지 장착 가능한 것이 마음에 들거든요

그리고 요즘 고성능 CPU는 발열이 심해서 머리가 아프더라구요...열이 너무 납니다
          
영산회상 2021-05
3600x면 기쿨로도 해결되는데 굳이 더 발열 날 것 같은 제온 살 이유가 없어보이는데요...
               
totalrecall 2021-05
제온도 열 많이 나는군요
설명 감사 드립니다^^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즐거운  연휴 되십시오~
박문형 2021-05
여기는 본래 하드웨어 갤러리란입니다..

현재 제온 스케일러블도 3세대가 나온 상황입니다..
     
totalrecall 2021-05
제온도 발열이 심한가요?
코어 수가 상당히 많더라구요
요즘 고성능 CPU는 열도 많이 나고, 전자파 때문에 머리가 많이 아프더군요
8700, 6700k까지는 괜찮았거든요
박문형 2021-05
https://www.2cpu.co.kr/lec/20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요거 보시면 CPU 전기먹는것이 대략 이해가 되실 것이고

TDP 100W 이상 CPU 풀로 돌려보면 후끈 후끈 합니다..

전자파에 예민하신 듯합니다만

쇠가 두꺼운 케이스와 좋은 파워만이 답입니다..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딥러닝쪽은 딥러닝 게시판이 있으니 참조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사실 CPU보다 GPU가 전기를 더 먹는 괴물들인지라 GPU 서버는 재일 중요한 게 케이스 쿨링과 파워 능력입니다..
     
totalrecall 2021-05
네, 상세한 설명 감사 드립니다^^

제가 전자파에 대해서 예민한데요

쇠가 두꺼운 케이스를 찾고 있는데요
어느 메이커 제품이 좋을까요?
(가격이 많이 나가도 구매하려 합니다)

(파워는 FSP 850W 쓰고 있습니다)

추천 부탁 드립니다^^

제가 10900kf도 사용해 봤는데요 열이 어마어마하고 전자파도 어마어마하게 발생하더라구요
그래서 11500으로 CPU를 낮추었습니다
박문형 2021-05
일반 PC용케이스는 잘 없고요..

케이스만 대략 20만원 이상대의 유명 제조사 케이스 / 모두 쇠로 된 제품/ 무거운 제품이면 될 듯합니다..

쿨러마스터 /커세어 케이스 찾아보세요..

그래도 안되면 접지 문제쪽 확인해야 하는데 개인으로는 힘들수 있습니다..
     
totalrecall 2021-05
리안리 말씀하시는거 같네요
그런데 강철판으로 완전히 밀폐 되어 있는 케이스는 잘 안 보이네요....
박문형 2021-05
http://prod.danawa.com/list/?cate=112775&15main_11_02

여기서 쿨러마스터 CORSAIR 로 검색해보세요..

요즘 케이스 스타일은 강화 유리 + RGB 쿨러가 대세인지라 옛날 방식인 쇠로 전체적으로 만들어진 케이스는 잘 안보이는 경향이 있기는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슈퍼마이크로의 SC743 SC745 SC747 케이스를 좋아합니다..

이것들은 케이스만 판매하지 않고 파워가 조합되어 판매 되지만 파워 종류도 여러가지이고 품질은 검증되어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41142?&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743&sop=and
     
totalrecall 2021-05
검색해 보니, 요즘은 완전 전면 강철 케이스는 없는 거 같습니다
유행이 떨어지기 때문이겠죠..?

그 중에서 아래 제품이 제일 근접하네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8878280&cate=112775

그리고 슈퍼마이크로는 현재 판매 제품이 없는 것으로 나오네요

상세한 조언 감사 드립니다^^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즐거운 연휴 되시고요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totalrecall 2021-05
한가지 추가 질문 드리면요
컴퓨터에서 전자파가 CPU에서도 발생되지만
강한 전자파가 보드 칩셋에서도 발생하겠죠?

제가 ASUS Z590-P를 쓰고 있는데요 최신 칩셋 Z590을 쓰고 있습니다
이 칩셋에서 전자파가 심한 거 같아요

왜냐하면 H510 보드 이런건  괜찮았거든요

어떻게 보시는지요?
박문형 2021-05
간단한데요..

국내에서 전자파가 강한 제품은 KC인증을 못받기 때문에 판매를 하지 못합니다..

컴퓨터에 적용 되는 KC인증은 KC안전인증(요건 거의 파워쪽에만) KC EMI 인증(전자파인증)이 있고

이것도 A /B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본인이 전자파에 진짜 예민한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이유도 있을수 있음)

기본적으로 KC전자파 인증에 인증 받지 못한 기기는 국내에서 판매하지 못합니다..
     
totalrecall 2021-05
네, 저도 다른 게시판에 물어보니
CPU에 발생하는 전자파도 양이 작아서 CPU 껍떼기를 뚫고 나오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10900kf를 쓸 때는 확실히 머리가 아프더라구요
그래서 11500으로 교체를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설명 감사 드립니다
박문형 2021-05
대략 있는 것으로 해결 방법은

컴퓨터 본체를 연장케이블을 써서 본인과 멀리 떨어 트린다.. (모든 전자기기[모니터든 다른 것이든]는 전자파가 나오지만)
다른 방에 넣어버린다..

컴퓨터 본체를 두꺼운 쇠(보통 컴퓨터 케이스는 1T 이상이면 두껍다라고 말하지만 5MM 이상 두꺼운 쇠로 만들면)로 싸 버리고 접지 처리한다.
(돈이 꽤 많이 드는 무식한 방법)

쇠로 된 랙케이스에 컴퓨터 본체를 넣어버린다.. (랙케이스는 접지 처리)


고클럭 컴퓨터일수록 피해가 나오는 것을 보니 해결방법 찾기는 쉽지 않겠습니다..

X레이 관련 종사자는 납옷을 입는다고 합니다만 그런 것으로 해결될 지도 의문이네요..


아 그리고 DELL /HP 같은 곳에서 나오는 중고 워크스테이션들은 쇠가 두꺼운 케이스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세계에 판매하기 위한 제품들이라 인증같은 것도 잘되어 있고요..
문제는 가격입니다..

그러나 질문하신 분에 대한 전자파 문제에 대해서는 실제 돌려보지 않는 이상 해결된다 안된다는 말씀드리기 힘들겠네요..
     
totalrecall 2021-05
사무실에서 HP (i7-8700) 제품을 쓰고 있는데요
그 제품은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데로 HP 제품은 비싸더라구요)

그리고 과거에는 i7-6700k를 썼는데요 이 CPU도 아무런 이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i7-8700과 Z390 보드나 B560? 보드같은 것으로 다운그레이드할까 생각 중입니다

현재 메모리를 128GB 쓰고 있는데요 그래서 Z390으로 해야하나 생각 중입니다
그런데 Z390도 11세대를 고려해서 나온 칩셋이라서 전자파가 심할 수 있어서 고민입니다

그렇다면 메모리도 64GB로 다운그레이드하고 B560같은 보드를 써야 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방안에 검은 숱(참나무 숱??)을 놔두면 도움이 될까요?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박문형 2021-05
숱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전자 전기쪽 아시나 모르겠는데 전자파(전파)를 막으려면 쇠 혹은 금속전도체로 싸버리고 접지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칩셋이든 모든 기능을 다 써볼려면 끝판왕 칩셋이 재일 편합니다..

그 외 대량의 메모리 지원은 서버/워크스테이션 쪽만 지원합니다..

PC의 메모리 지원은 한계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듀얼 CPU 서버/웍의 기준은 새제품일때 대략 1천만원 이상
GPU 서버의 기준은 새제품일때 1억 이상

이런 식이라 생각하시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totalrecall 2021-05
제가 기공수련도 하고 있구요 많이 예민한데요

예를 들어서 산 속에 들어가면 그 상쾌한 공기의 느낌이 신체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까?
그 반대로.... 방안에서 고성능  컴퓨터를 하루 종일 틀어 놓으면, 방안의 공기의 느낌이 뜨끈 거리고 기분이 썩 좋지 않습니다
제가 결국 많이 예민한 거 같습니다

얼마전에 컴퓨터를 10세대 ~ 11세대로 바꾸고 나서는 방안에서 잠도 잘 못 잡니다... 컴퓨터가 방안에 있어서요

말씀하신데로 저도 큰 마음을 먹고 10900kf, Z590보드, 128GB 메모리로 교체하였으나 10900kf를 사용하면 두통과 괴로움이 너무 너무 심해서
11500으로 CPU를 교체했습니다. 10900kf보다는 훨씬 낫지만 여전히 머리에서 열기가 느껴집니다

8세대 제품 중에 128GB를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있습니다. 이걸로 바꿔 볼까 생각 중인데요

그래서 이럴 바에는 내친 김에 딥러닝 서버를 만들까 생각이 들어서 맨 위에 본문에 나오는 2015년형 제온 모델에 대해 질문을 드렸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제온 서버 모델은 512GB까지 메모리를 장착 가능합니다

그런데 제온 CPU도 마찬가지로 전자파와 발열이 심하다면 구입을 하지 않아야 겠지요

그렇다면 8700 CPU로 해야할지도 모릅니다^^;;;;
박문형 2021-05
부품보다는 전체 시스템 단위로 생각하시는 쪽이 좋고

개인적으로 보면 벤더 제품이 별 문제 없으니 벤더 중고 제품 알아보시던지

슈마시스템 정도에서 알아보시는 것으로 정리하시면 될 듯합니다..


어디 사시는지 모르겠지만 공기 좋은 곳에서만 사셔야 할 듯하네요..
     
totalrecall 2021-05
가격만 적당하면 그렇게 하는 것도 방법이겠네요...ㅎㅎ
메모리를 128GB 이상 원하거든요... 딥러닝 돌릴러면요....

저는 신기하게도... 미세먼지, 황사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전혀 못 느낍니다

그런데 옥탑방, 반지하 이런 곳에서는 생활 못합니다. 옥탑방은 대개의 경우, 태양의 열기가 엄청 뜨겁거든요
반지하는 호흡한 이산화탄소 공기가 바닥에 깔려서 숙면을 못해서 ...2층 침대에서 잠을 자고 그랬습니다
박문형 2021-05
야산이라도 산 옆에 살아야죠..

여유가 되시면 강원도나 제주도쪽 생각해보세요..
     
totalrecall 2021-05
요즘은 교통이 발달하고 있으니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도 방법 같습니다
서울은 일단 전세값이 말도 안되니까요....
DaVinci 2021-05


제목Page 20/283
2015-12   1777555   백메가
2014-05   5252557   정은준1
2005-11   4383   송영오
2005-02   4384   이상백
2003-09   4384   한명훈
2004-02   4384   박문형
2004-03   4385   김낙철
2004-05   4386   이장재
2004-01   4387   이상용
2004-05   4387   백경흠
2004-02   4388   박문형
2004-06   4388   이기영
2020-12   4389   ducreyii
2006-08   4389   박정길
2006-05   4389   이광호
2004-03   4389   오경
2004-04   4390   한상헌
2004-12   4390   양광석
2004-06   4390   임시현
2004-05   4391   박문형
2004-06   4391   조재형
2004-08   4392   윤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