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board] Supermicro H12SSL-NT 10G 이더넷칩 발열

김은호   
   조회 5530   추천 0    

https://www.supermicro.com/ja/products/motherboard/H12SSL-NT (1055)

서버용 보드에 10G이더넷이 달린 보드가 있는데, 비싼 일반보드에도 간혹 달려있습니다.

사실 슬롯이 많아서 그냥 따로 달아도 되긴 하는데 슬롯차지하는 게 싫어서 나중을

생각해서라도 그냥 10G옵션으로 질러버렸습니다. 빨간 동그라미와 이더넷포트가

해당 칩입니다. 10G포트 오른쪽의 하나는 AST2500칩에서 나오는 IPMI용 포트로

이것도 전원 꺼도 스탠바이 상태에서 항상 ON으로 BMC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고마운 놈입니다.




그렇게 몇 개월 사용하면서 최근 깨달았는데, 10G칩이 켜져있을 때는 둘째치고 꺼져있는 때도

무지막지하게 뜨겁더군요. 만져보니 1초이상 만지지 못할 정도로 80도가까이 되는 듯 했습니다.

찾아보니 브로드컴의 10G칩인데 방열판이 저렇게 크게 붙어있는 이유를 알 것 같았습니다.

켜져있을 때야 그러려니 하겠는데 꺼져있을 때 케이스의 팬도 안돌아가니까 너무 뜨거워서

언젠가 칩이 죽을 것 같아 대책을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1. 보드의 FAN포트에서 10G칩 전용팬 선을 따와서 설치한다.
-> 스탠바이에서는 안돌아가니 실패

2. 보드에 있는 스탠바이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포트를 활용한다.
-> 있긴 있더군요. 근데 3.3V입니다. 만능기판에 승압회로 만들어서 달아주면
   12V 팬정도야 전류량도 무리 없을 것 같은데 모터계라서 왠지모르게 꺼림칙합니다.
   파워가 5VSB에서 나오는 출력이 3.5A로 17.5W정도가 한계인데 IPMI가 ARM코어긴
   해도 그럭저럭 전력 먹을 것 같고, 10G칩도 보드에서 옵션을 꺼도 항상 ON인데 발열이
   이렇게 심각하면 어느정도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고 봐서 좀 꺼려지더군요.
   혹시나 문제없다면 시도해볼만 합니다.


3. ATX단자의 5VSB에서 강제로 끌어쓴다.
-> 가능이야 할텐데 하나같이 부품이 한가격 해서 이렇게까지 하고싶지는 않네요.

4. 아두이노로 팬모듈을 자작한다.
-> 만드는 방법 널려있던데 왠지 귀찮고 너저분할 것 같아 관뒀습니다.

5. 외부 전원을 쓰는 팬을 설치하고 케이스의 구멍을 통해서 선을 집어넣고 상시가동
-> USB-A로 돌리는 120mm 내부전원 12V으로 보이는 팬을 만원정도에 팔고 있더군요.
   이거다 싶어서 샀습니다. 케이블길이 모자라니 USB연장선에 달아 멀티탭에 꽂아줍니다.
   풍량 스위치가 2단계가 있고 2단계로 해도 800~900rpm이니 전원을 꺼도 신경도 안쓰일 수준의
   소음입니다.

팬 설치전 모습. 안쪽에 브로드컴 칩의 방열판이 보입니다.


팬 설치후 대각선각도에서 본 모습. 생각보다 두꺼워서 접착제도 필요없이 그냥 두면 됩니다.
팬 방향은 방열판측으로 바람이 불어오게끔 했습니다. 팬의 상단부 4cm정도만 바람이 닫는 높이인데,
판때기를 밑에 깔고 높이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풍량이 닿을 것 같지만 왠지 나중에 진동때문에 공진음
생길 것 같아 그냥 이대로 해봤습니다. 





결과: 손도 못댈 정도의 온도에서 목욕탕물 미지근한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측정할만한 환경이 없는데 대충 한 40도? 되려나요. 문제없을만한 온도까지 떨어졌습니다.
HWINFO같은 것에서 측정할 수 있는 부위가 없더군요. 뭐 미지근하니까 그러려니 했습니다.
해결되면 그만이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1-05
이래던 저래던 좀 시끄러워도 바람만 잘 불어주면 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김은호 2021-05
어쩌면 10G카드를 따로 달아주는 게 옳은 선택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보드옵션에서 랜칩을 꺼도 케이블만 연결되어있으면
상시 ON상태더군요. PCIE카드였으면 전원 켜져있을 때만 가동될테니 생각할 필요가 없는 문제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dateno1 2021-05
그런데 BMC는 다른 포트로 이용이 안 되니 선택의 여지가 없지 않나요?
               
김은호 2021-05
다른 포트로도(적어도 내장된 포트들) BMC는 접속 됩니다. BMC칩 자체는 발열 굉장히 적어요. 그래픽기능 포함 TDP 4W인가 합니다.
바이오스에서 10G칩의 비활성화도 해놨지만 케이블 연결안해놔도 칩은 뜨겁습니다.
dateno1 2021-05
보드에 따라 다르지만 BIOS에서 종료나 절전 상태에서도 USB 전력 공급하게 하는 옵션 있으니 그걸 켜면 USB포트 상시 전원 공급이 됩니다

이게 활성화된 상태에서 보드의 남는 전면 USB 커넥터나 후면의 USB포트에서 5V 가져오면 쉽게 저런경우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isaiah 2021-05
그 옵션에서 USB로 공급되는 전력이 오는 곳이 5vsb라서요....
 5vsb 쓰는것 자체가 찝찝해 하시는 경우라서 그건 해법이 아닐것 같습니다.
          
dateno1 2021-05
그렇긴한데 전력 소비 고려하면 딱히 문제될 구석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런것까지 피할려면 결국은 저런식으로 외부 전원밖에 기댈 구석이 없어집니다
SiCMOS 2021-05
BMC NC-SI 옵션 끄고 Dedicated LAN 포트 사용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김은호 2021-05
현재 dedi로 따로 물려있고, 바이오스에서 10G칩 비활성화시켜도 상시ON이네요..끄고 싶습니다..
isaiah 2021-05
전 죽을때 죽더라도 그냥 믿고 쓰려고 합니다..
'야 이 설계 오래 못쓸것 같은데' 같은 의심 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더라고요..
cjsrbc 2021-05
참고로 몇자 적습니다.
칩셋마다 다르겠지만 10G 면 통상  최대 Power 소비치가 5~6 W 정도로 발열 처리에 무시할수  없는 수준입니다.
칩셋 내부의  MAC 보다는 PHY block 에서 보다 많은 power  소비가  일어나며 PHY 블럭의 파워 소비를 줄이는 가장 손쉽고 최선의  방법은 링크 파트너와의 cable link  를 끊어 버리는 것입니다.
10G 칩셋 자체는 commercial 급이라도 워낙 발열이 있는 터라 일반 commercial silicon 의 junction operating  ( 0 ~ 70 도 ) 기준을 넘는 온도 ( 100도를 훨씬 넘는 ) 에서 동작 보증합니다.


제목Page 1/6
2023-05   24101   박문형
2023-04   20208   박문형
2022-02   5699   박문형
2022-02   5769   박문형
2021-05   5531   김은호
2020-04   4489   henol
2019-02   10319   캔위드
2019-02   6108   박문형
2019-02   14617   캔위드
2018-06   9515   알파고
2018-03   7424   홀릭0o0
2015-12   10037   죠짱
2010-10   11688   하우디자인
2010-03   6295   박문형
2010-03   6672   박문형
2009-12   7162   정은준1
2009-12   7409   정은준1
2009-03   8071   김호성
2008-04   4636   박문형
2007-03   9738   하승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