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board] 제온 D-1581 보드 전력소비 정밀 측정 (약간 망함)

   조회 12674   추천 0    

  이 중국산 D-1581 보드가 좋다! 라는 글을 쓴지도 어느덧 1년이 되어가는데 

제 리뷰글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구매하신 것 같습니다.

 전력소비를 그동안 정확히 측정해 보지 않고 그냥 이것저것 다 해서 ups에는 백몇십 와트 뜨길래 음 먹을만큼 먹나보다 하고 썼습니다. 

 많은 분들이 보드의 정확한 소비전력을 궁금해 하셔서 사용한지도 1년이 되어가니 각 잡고 정밀하게 몇 와트나 먹는지 측정해 보았습니다.

측정은 ups에 뜨는 전력소모로 측정했습니다. (그래서 망함)


구성



중간에 좀 갈아엎어서 구성이 좀 바뀌었습니다.

파워는 FSP 550W 80플러스 플래티넘 등급으로 (통상 92% 효율) 일반적인 80플러스 파워는 (통상 82% 효율) 측정값보다 약간 더 많은 전력소모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 효율 차이면 100와트 기준 80플러스 스탠다드 파워가 10와트 정도 더 전기를 먹는데 별 차이는 아니지만 24/7로 돌리는 환경에선 나름 유의미한 차이가 있습니다. 


1. 깡통 상태에서 소비전력 측정

핫스왑 베이 전원 연결 제거 

Lsi 9211-8i 제거

멜라녹스 cx-3 제거

esxi로 부팅만 하게 끔 셋팅


ddr3 16g ecc reg가 전력을 많이 먹는 다는 소리가 있어서 램 하나가 전력을 얼마나 먹는지 측정하기 위해 

2CPU에서 수많은 분들에 의해 증명된(?) 멀쩡히 돌아가는걸 건들이면 고장난다는 법칙을 무릅쓰고 2개 빼고 부팅

아이들 상태에서 램 4개나 2개나 똑같이 28W 입니다..? 

램 하나가 1W는 먹는다던데 이상합니다.

참고로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풀로드시에는 바이오스 설정에 따라 달라지며 TDP 전력제한 해제 상태인 Nominal에서는 90W까지 올라갑니다.



2. 멜라녹스 cx-3 카드 장착 후 부팅

멜라녹스 10g 카드가 전력을 얼마나 먹는지 측정하기 위해 멜라녹스 카드 추가 후 전력 소모 측정




갑자기 아이들이 전력이 35W로 올라갑니다.

멜라녹스 cx-3가 보통 3-6W 먹는다던데 7W나 올라가서 이상해서 잘 보니까

전력 게이지가 7W 단위로 왔다 갔다 합니다.

ups 아울렛 출력이 700W 인데 설마 700/100=7인건가 했는데 5x7=35.. 딱 맞네요.. 하하..

ups로 정확한 소비전력 측정은 어렵고 로드율을 기반으로 퍼센트x7 와트로 보여주는 거였네요.. (망함)

이때 그냥 때려치울까 했지만 이왕 시작한거 그냥 대충 추정해 봤습니다.


3. 멜라녹스 + Lsi 9211-8i


Lsi 9211-8i가 통상 6.3W 소모하는걸로 알려져 있는데 똑같이 35W 먹는다는게 말이 안 됩니다.

다만 이걸로 대충 추측은 가능합니다.

멜라녹스만 꼈을 때 35W Lsi 카드 추가 후에도 35W 인걸로 보아 

멜라녹스만 꼈을 때는 35W 극 초반 ( 아마도 딱 35W) Lsi 카드 추가 후 6W 정도 올라갔지만 41W로 42W는 넘지 않아 35W로 표시됨.

즉 멜라녹스를 제외한 깡통보드 상태에서는 35-3=32W 정도 먹는 것으로 추정됨. (28W로 표시됨)

램 2개를 제거 했을 때도 32-2=30W로 28W로 표시됨. (차이가 있지만 ups 상에는 표시되지 않음)


4. D-1581 보드 풀소유 ver.


핫스왑 베이 전원 연결 (하드 wd 블랙 5개 + ssd 2개)





최소 77W에서 최대 83W로 구체적인 전력소모는 측정불가

WD 블랙이 아이들 8W 정도 소모, 860 PRO가 아이들 2W 정도 소모하므로

41W + 하드 5개 (8x5=40) + ssd 2개 (2x2=4) = 85W 

전력 추정치가 ups에 표시된 숫자를 넘는걸 보아 Lsi 9211-8i가 아이들에서는 생각보다 전기를 적게 먹나 봅니다.

구체적인 수치는 알 길이 없으니 탐정놀이는 이제 그만두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중국산 제온 D-1581 깡통보드는 아이들 상태에서 28-35W 정도 먹는다 라고 정리하며

16코어 32스레드치고 전력소모가 상당히 적은 편이지만 단순히 NAS로만 돌렸을 경우 전력소비가 약간 높은 편이라는 점 참고하셔서

보드 직구를 고려하실 때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끝.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정큐삼 2022-08
저 2CPU 처음 가입할때 첫문의가 전력측정기였습니다. 가정용 전력측정기가 2만원 선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 한번 구비하셔서 재도전 해보시죠? ^^
     
댕댕이 2022-08
그럴까요? ㅎㅎ
하나쯤 있으면 이것저것 측정하고 괜찮을 것 같네요.
dateno1 2022-08
90W인데도 똥색 쿨러를 다셨군요 (실재 소비가 그정도면 성능이 동심 초코파이 수준의 저렴한걸로도 괜찮을꺼에요)

%단위로 끈키는 표기라면 아슬하게 28W 넘겨서 35W으로 뜨는거였을 수 도 있겠네요

아무리 24/7로 돌리더라도 몇W정도로 큰 전기세 차이 안 나니 그냥 그정도로만 측정해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원래 AVX라도 안 쓰면 저클럭 시퓨 전력 소비 엄청 적습니다 (i시리즈도 비슷한 클럭으로 내리면 전력 소비 급강하는데, 이러면 성능이 너무 꽝이 되니 무리한 팩토리 오버클럭까지 동원해서 클럭을 4~5기가로 키워서 내놓는거라 전압 살짝 내린후 클럭 조금 깍으면 간단하게 수십% 줄어듭니다)

30W정도면 아톰같은 저전력으로 구성할경우의 최대 소비전력정도네요 (꽤 큰 차이긴한데 문젠 위에도 적었지만 이정도론 유의미한 수준의 전기세 차이가 안 나요)
     
댕댕이 2022-08
녹투아는 성능을 넘어선 패션의 완성이라..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
아시다시피 클럭도 중요하지만 전압을 내리면 전력이 확 줄어들죠..
          
dateno1 2022-08
오버하다보면 나중엔 클럭 10% 올리면 전력 30%는 더 먹어버리더군요

전압은 어차피 V*A다보니 별 수 없죠

개인적으론 저 투톤을 안 좋아하는지라 저소음만 아니면 안 쓰고파요
감자 2022-08
리뷰 잘 보았습니다.

1. 케이스에 전원측정 액정이 신기합니다.
케이스명이 무엇인지요?
3.5인치 하드는 몇개까지 장착되는지요?
     
댕댕이 2022-08
전원 표시 되는 액정은 케이스가 아니라 apc ups에 표시되는 화면입니다 :)
3.5인치 하드는 8베이로 8개까지 장착 가능합니다.
RuBisCO 2022-08
최하위 깡통모델 사용중인데 소비전력 측면은 세팅에 따라서 더 줄일 여지가 있습니다. 바이오스에서 P스테이트랑 C스테이트 제대로 활성화해주시고 부팅후에 powertop에서 전력관리 최대한 전부 활성화 해주시면 HDD 제외한 대기전력이 10W 언저리로 내려갑니다. 물론 PSU가 DC-DC 인것도 있긴 합니다.
     
댕댕이 2022-08
네 p state랑 c state는 모두 활성화 상태인데 halt state 까지 내려가면 10w 밑으로 내려갈 것 같습니다.
죠슈아 2022-08
원론적인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아이들 소비 전력이 낮으면 좋은가요?
계속 전원 On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이 낮게 하려면 슬립모드 상태에서 사용할때만 액티브로 유지되다가
태스크 요구가 없으면 스스로 슬립으로 진입하게 해서 소비 전력을 줄어들게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제목Page 13/283
2015-12   1791927   백메가
2014-05   5267000   정은준1
2009-04   6950   김윤술
2010-01   5343   윤치열
2010-03   5251   혀기짱
2010-05   7148   윤성용
2015-11   5928   격주코믹스
04-21   217   메탈릭
2009-02   7946   정은준1
2010-01   4596   윤치열
2009-11   5546   레인보우7
2019-07   11234   현진
2019-12   7952   권형
2020-04   8340   강프로
2021-05   5791   현진
2022-01   5361   딥러닝서버
2009-06   6816   김장우
2009-11   6794   정은준1
2010-01   5361   윤치열
2009-12   5836   유부남
2010-03   6759   혀기짱
2021-01   5408   ship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