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olenjoy.net/bbs/water_cooling/378339
위의 쿨엔조이의 글을 보고 감명을 받았습니다.
원리는 위의 글과 같이, 컴퓨터의 전류를 소켓에 흘리고, 수분이 감지될 경우 파란색 소켓 릴레이에 흐르던 전류가 단전되면서 컴퓨터의 전원을 차단시킵니다.
1500W가 흐르는 부분은 사진의 파란색 릴레이 입니다.
SRD-05VDC-SL-C 10A 150VAC / 10A 125VAC
라고 써있는것을 보면 최대 1250W~1500W까지 흐를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솔직히, 1500W를 저 조그마한 모듈에 흘리기엔 많이 불안합니다.
커다란 파워만 해도 간간히 터지는 소식이 들려오는데 저 조그만 것이라고 어떻겠습니까...
그리고 전선이 피복이 벗겨진 채로 겉에 노출될 경우 많이 위험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직접 전류를 흘리지 않고 외부요소를 이용해 전원을 1초 안에 즉시 끊을수 있는 벙법을 찾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생각한 방법은 파워 서플라이의 전원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눌러 꺼버리는 방법인데... '1초 안에' '물리적으로' 누를 방법을 모르겠습니다ㅠㅠ
스위치봇은 반응속도가 매우 느려서 별로고,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무선 등으로 연결되어야되서 많이 어렵습니다.
전류가 흐를땐 가만히 있다 끊어지면 팍 튀어나가서 버튼을 눌러주는 장치가 있으면 좋을텐데...
전원 버튼을 눌러 강제종료는 2~3초 동안 눌러야되서 기각,
수냉쿨러 펌프 전원에 연결하여 누수 감지 시 전원 차단의 경우, 펌프는 꺼져도 다른 부품들에는 전류가 흐르므로 수냉액이 떨어저 망가질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 기각...
제가 모르는 전원을 즉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파워 서플라이의 전원 스위치를 빠르게 눌러주는 기계 장치가 있을까요...??
버튼을 누르는건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보통 고전압 시스템에서는 화약을 쓰기는 하지만... 그정돈 아닐 것 같고 --> 그리고 사실 릴레이 자체가 버튼을 누르는것과 같은 역할이나 다름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릴레이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
+) 사실 누전차단기같은것만 써도 괜찮지 않으려나요? 이쪽은 잘 몰라서...
이게 센서 스티커를 붙여도 한방울에 훅 갈수 있는데
미세유량은 점점 냉각수가 내려가기에
뭐라 해법이 없습니다
단 이방법이 있긴 합니다
냉각호스가 지나는부위를 아크릴 재질로 부위를 회피시켜 주요부위에 건습식 센서를 붙여 습식 감지해서 쓰는방식 입니다
차단은 멀티탭에서 해야합니다
멀티탭에 상단에 iot 스위치 쓰시면 됩니다
전원차단이야 당연 해야하지만 실제로 부품들이 데미지가 없을까..? 싶기는 합니다.
(누수로 인해서든 강제종료에 의해서든...)
윗분 말씀처럼 누수가 일어남직한 주요 피팅 부분에 워터슬라이드마냥 누수용 배수로를 설치하고
저 유량계로 세이프 셧다운을 쏘는 로직으로 구상해보시는건 어떠신지요?
스마트멀티탭도 저정도 릴레이를 이용해 제어합니다. 잦은 On Off로 내부에 스파크가 발생할 정도가 아닌 이상 2200w 전력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전원온 병렬로 따서 릴레이 접점에 넣어주면
전원 키면 릴레이 모듈살고
누수나면 릴레이 차단뒤 모둘 오프
되면 간단할것 같은데요
사용해보시는 것이 어떨지...
적합한 펌프 구하기가 어렵기할 것 같지만...
그래도 터질 수냉과 터진 수냉보다야
나을 것 같아서 뻘글 좀 써봤습니다.
차단기는 많아요. 대용량 기계식 릴레이도 있고 ssr도 있으니까요. 차단이 문제가 아니라 차단해야겠다는 판단을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