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작업실 내려가서 일하다 마당에 나와서 잠시 쉬는데 아래집 어르신이 한참 고생하면서 나무를 뜯어내고 있었습니다.
거의 20여년전에 미군부대에서 나온 나무를 얻어다 놓았는데 너무 무거워서 꺼내쓰지 못해서 다 썩어서 태워버리려 한다고 하였습니다.
무겁고 위험한 작업이라 가서 도와드렸는데 아직 덜썩은 나무들이 있어서 여러개 얻어왔습니다.
얻어온 나무도 있길래 머리 식힐겸해서 작업실에 들여놓을 나무소파를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아래 외국사이트에 올라온 그림 같은 그런 나무소파 모양으로 만들고 쿠션과 바닥매트를 만들어 놓을 생각이었습니다.
대충 못을 빼고 썩은 부분 갈아내고 잘라낸 다음에 적당한 사이즈로 나무소파를 짰습니다.
못빼느라 고생했는데 그라인더에 날개사포달아서 갈아내니 그럭 저럭 소파모양이 되었습니다.
다 만들었는데 들여놓으려고 하니 길이가 2미터쯤 되어서 너무 컸습니다. 그래서 잠시 고민하다 마당에 내버려두었습니다. 올라왔다가 좀 지나서 내려갔는데 동네 이장님이 가다 마당에 덩그러니 있는 이 나무소파 프레임을 보시고는 이런거 하나 집앞 (매운탕집)에 놓으면 좋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만든걸 바닥을 야외용으로 다듬은 후 줘버렸습니다.
페인트칠 전
페인트칠 후
아무래도 방안에는 소파로 쓰기에 너무 크다 싶어서 마당에 놓을 벤치로 다시 하나 제작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조금 작은 사이즈입니다. 두번째 만드는건 더 쉽게 되었습니다. 대강 자르고 나사박으니 큰 어려움이나 시행착오없이 잘 되더군요. 그런데 남은 나무가 2*4 가 아니라 좀 작은 사제 목재였습니다. 여기저기 되는대로 모아서 만들었습니다.
그럭저럭 완성은 되었는데 기존에 마당앞에 있던 철제 벤치와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가끔 여기서 커피마시고 개발브리핑하느라고 개발자들이나 디자이너들이 몇명씩 올때 자리가 없어서 놓으려고 했는데 좀 안어울립니다. 그래서 남는 페인트를 파랗게도 칠해보고 빈티지로 덧칠도 해보았습니다.
페인트칠을 세겹이나 하고 빈티지스타일로 덧칠을 했는데 아무리 해도 기존 철제벤치와 안어울렸습니다. 그 와중에 위쪽 산중턱에 사는 출판사의 선생님이 지나가다가 나도 이런거 있으면 좋겠다 하시길래 이번에도 줘버렸습니다.
얻어온 나무가 다 떨어졌습니다.
철제로 하나 용접해서 쇠 벤치와 비슷하게 만들어볼까 하고 파이프를 찾으러 동네 끝에 있는 고물상에 갔는데 파이프는 없고 상태는 새것인데 여기저기 빠지고 뒤틀린 녹도 안슬은 자전거가 하나 있어서 고철값 1만원주고 사왔습니다. 상표는 corex라 되어 있더군요. 타이어를 벗겨보니 튜브는 손가락만큼 찢어져 있고 체인은 엉망이 되어 있었습니다.
오공본드로 찢어진 튜브에 고무를 야무지게 붙이고 빠진 부품도 다른 자전거에서 빼온거로 대체하고 스패너로 조이고 체인에 구리스 듬뿍바르고 기어비맞추고 닦아주니 반짝 반짝 새 자전거가 되었습니다.
시골작업실에서 일하다가 점심쯤 되면 밥사먹으러 논둑길을 달려가는데 아주 잘나갑니다.
최근 20여일 사이에 작업실 내려갔다 올라갔다하면서 문서작업대신 취미작업을 더 많이 하였습니다. 해야하는일의 진도는 더럽게 안나가는데 안해도 되는일은 참 재미지고 집중도 잘되더군요.
그래서 마지막주 내려갔을때는 정신차리고 제안서작업과 개발문서 작업에 집중하기로 굳게 결심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한참 일을 하는데 점심무렵에 이장님이 지나가다 들러서 혹시 예초기도 고칠수 있냐고 하시더군요. 전문적인 부분은 잘 모른다고 대답을 했는데 나도 모르게 어느새 분해를 해놓았습니다. 못고치면 버려도 된다니 더 고치고 싶은 마음도 생겼습니다.
그러다가 급하게 업무연락건으로 다시 올라왔습니다. 다음에 내려가면 일에 집중할지 예초기 수리에 도전할지 일에 집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분명 이 글도 처음에는 남는 허접한 목재 얻어다가 소파 만들던 DIY얘기를 2CPU 게시판에 쓰려 했던것 같은데 자전거수리했다는 이야기로 끝나다가 예초기수리중인 이야기로 마감을 하였습니다. 뭘 쓰려했는지 저도 까먹었습니다.
그런데...확실히 먹고사는 일보다 저런 허접한 일을 마당에서 쭈그려 앉아서 이런거 만지는 봄날은 참 기분이 편하더군요.
너무 보기 좋읍니다
추천 꾹 누르고 쓩 >>>>
혹시 예초기 날은
어찌 생겼나요?
나일론줄??
강철쇠날???
궁금합니다~!!1
엔진예초기??
밧데리 전동 예초기???
여기 들어와서는
배우고만 갑니다...
멋집니다..
역시 2CPU에는 능력자 분들이 많으신것 같아요.
우와 대단하십니다^^
예취기는 대부분 캬브레타 중앙 원기둥 관 내부가 막히거나 점화플러그에서 문제가 발생 하더군요.
휘발유에 2싸이클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니 비율을 매번 정확하게 혼합하지 않으니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밥아저씨 같아요. 켜켜~
제 다음 프로젝트가 애들용 침대와 이런 소파인데 참고해야겠습니다. 켜켜~
팔걸이 부분을 앞으로 살짝 튀어 나오게 위에 덮어 줬으면 더 이뻤지 싶습니다.
멋집니다.
아마도 제조 과정이 독특해서일까요? ^^
전국 팔도를 누벼봤지만 파주는 가보질 못했네요.
서울은 자주 가니 혹시 기회되면 기별하고 찾아 뵙겠습니다.
제가 예전에 잠시 있었던곳은 "두포면" 이었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왠지 모를 친근함이^^
(조금 큰 소리로 혼잣말) "나도 저런 것 있으면 좋겠는데..."
(못 들으시면 한번 더) "저거 우리집 뜰에 가져다 놓으면 딱인데..."
요래 보아야겠습니다.
장산리 율곡리 선유리 두포리 금파리 장파리 리비교 장단반도 도라산 백학산 JSA 제3땅굴
군대생활 하면서 이런 곳들 왔다리 갔다리했었습니다. 임진나루 독립소대에서 1년 있었고 2년은 GOP 근무. 전두환 소장이 사단장 하던 시절이죠.
결혼한 후에도 마누라와 임진나루 부근 메기 매운탕집에 3번인가 갔습니다. 술 한잔 하고, 술 깰 때까지 화석정 부근 거닐다가 차 끌고 오는 수순.
마누라가 두포리님 수필을 좋아했죠. 어린시절 봉일천에서 살았는데, 흑인병사 아들 타미 같은 애들하고 같이 놀았답니다. 미군들은 재래식 변소가 있는 집에서 똥을 못 싸고, 차 타고 부대 들어가서 싸고 나왔다던가... ㅎㅎ
정 안되면, 나무톱과 + 드라이버 그리고 튼튼하고 강력한 이두근, 삼두근이 있어도 되고요^^
http://www.atpaju.com/bbs/board.php?bo_table=ms_wwwatpajucom_1&wr_id=70
http://www.atpaju.com/bbs/board.php?bo_table=ms_wwwatpajucom_1&wr_id=80
정말 날잡고....형님들 모시고 가야 되겠습니다....하하....
해서 두포리님처럼 작업실같은 작은 집을 구하려 주변을 둘러보니 참 많이도 비싸네요. ^^;;;
읽어가면서 내려오다 두번째 사진에 깜짝 놀랐습니다. 하하
작업실이 저렇게 변했나 해서....
쓰는데 저렇게 의자로 만들어도 되겟네요
전 손이 고자라서....
뚝딱뚝딱 만드시는분 보면 너무 부럽기도 하고 ! 존경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