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주택내 네트워크 구축 문의까지 드렸던 김지철입니다.
대략 구도가 나와서, 경험 공유하고자 글을 씁니다.
1. 환경
2층으로된 단독 주택.
2층으로 메인 인터넷 들어옴(KT - 광).
모뎀 -- 8포트 유선 공유기 -- ASUS 무선 공유기(공유기 기능 꺼놓음 - 공유기 기능은 8포트 유선 공유기 사용)
1층에서 계단 근처 빼고 인터넷 안됨.
2. 1층 인터넷 사용하기
2.1 전력선 모뎀 사용
2층 공유기 - 전력선 모뎀 연결
1층 전력선 모뎀 - 공유기 연결(여기도 공유기 기능 꺼놓음)
인터넷 다운 50Mbps 나옴.
-> TV를 1층에 놓으면서 무선으로 연결했더니 유튜브 끊어짐 현상 발생.
=> 유선 연결 필요성 절실하게 느낌 --> 게시판에 질문.
(잠깐) 1층 무선 환경을 체크해서 AC 무선 끄고, BGN만 살려놓고 40M 주파수 사용을 20M로 바꾸니 30Mbps까지 무선 나옴.
유튜브 안끊어짐. 문제는 해결됨. 그렇지만, 한번 연결하겠다 마음 먹었으니 연결해야 함.
2.2 110 블럭 사용
현관옆 단자를 보니, 110(탠백) 블럭이 있었습니다. 저도 이번에 인터넷 찾아가면서 용어, 배선 등 익혔습니다.
110 블럭은 2가지 단점이 있었으니... 4선으로 인터넷, 2선으로 전화 2선 전화 추가용 배정... 입니다. 4선 인터넷은 특별한 장비를 쓰지 않는한 100Mbps 나옵니다. 그리고 두번째 단점은... 어떤 게 어떤 배선인지 전혀 표기가 안되어 있습니다. 일일히 찾아야 합니다.
마음먹었으니 4선으로 만들어서 (1,2,3,6번 케이블만) 2층 컴퓨터방 단자에 컴퓨터 연결하고, 110 블럭 앞에 노트북 가져다 놓고 선 연결해가면서 찾습니다.
오랜 노가다 끝에 1층 적절한 위치의 단자와 2층 내보낼 단자에 해당하는 110 블럭의 연결점을 찾습니다.
그리고 그 두 연결점의 4선을 서로 연결합니다. 그렇게 되면 2층에서 1층까지 4선 랜선이 연결된 효과가 생깁니다.
-> 이렇게 해서 1층에 100Mbps 무선 공유기 환경을 구축합니다. TV는 60Mbps 정도 나옵니다. 많이 원활해졌습니다.
3. 기타
3.1 보일러실 감시용 카메라
- RTSP 지원되는 카메라를 이곳 판매란에서 구매 : 온도가 갑자기 변하는 보일러 때문에 감시하기 위해.
- 보일러실에 전기는 있는데, 네트웍 없음. 마당 밑에 지하실이라서 전화도 잘 안되는 곳임.
- 전력선 모뎀 연결해서 감시 성공. 전력선 모뎀이 아주 빠르지는 않지만 나름 열악한 환경에서 네트워크 보장.
3.2 다음 할일
2층 메인 공유기 들어오는 곳의 전화를 끊고(사용하지 않고),
전화기용으로 할당된 4선을 1층 연결된 단자 쪽의 전화용 4선과 연결하여, 기가망으로 2층-1층 구성하고자 함.
(벽 LAN 단자 보니까, 랜으로는 4선만 연결되어 있음 -> 110블럭외, 벽면 LAN 단자 쪽도 작업 필요)
일단 여기까지 구축하였습니다.
다행히 구멍을 뚫지 않고 해결해서 다행입니다. ^^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층에 4포트 광모뎀이 있고, 집구성은 utp 구성 되어 있고 2층메인에서 1층가는 원선만 찾으면 1층 idc 단자 함에 기가허브 하나 치시면 전체적으로 기가 구성 가능하시겠네요.
개인적으로 공유기를 허브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가끔 공유기로 각성하는 경우가 왕왕 있어서요. 한번씩 식겁합니다.
110블럭(IDC단자함)의 경우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일반적으로 인입이 들어오는 쪽은 젤 왼쪽입니다.
(청등녹갈1개의 방 한개의 콘센트)젤왼쪽4개빼고(인입) 그다음 칸에 들어 있는 곳이 어느 방인가를 찾으면 나머지는 그쪽방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전화콘센트위치로 시계나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가게끔 배치가 됩니다. (공법이니 대부분 이러합니다.)
4선이 아닌 8선을 다 꼽아야 기가인터넷이 작동합니다 업다운 4개씩 사용합니다 한개라도 삑사리가 나면 속도가 비대칭으로 나오거나 안나오거나 100메가로 나옵니다.
최소 1.2.3.6 은 잘 찍어야 하겠지요.^^
셋탑은 아직 기가 인식을 하지 않습니다 30-100메가로 충분합니다.
1층에서 전화를 사용할 구간 한 두곳 빼곤 전화 선을 다 빼고 기가 인터넷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전화있는곳만 100메가로 사용하심이 맞을듯)
그리고 TV는 일반 안테나로 DTV 시청하고, NAS에 있는 영화나 동영상 혹은 유튜브 연결해서 보거든요. 그러다 보니 좀 환경이 안받쳐주면 화면이 안나오더라구요.
그래도 요비선인가 그런 걸로 작업 안해도 되니 천만다행입니다. 그런 쪽은 워낙 소질이 없어서. ^^
이제 NAS를 1층으로 옮겨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