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I SAS 1064E (SAS 3041E-HP) 개조 체험기

   조회 14897   추천 0    




최근 2cpu의 장터에 푹 빠져서 이래저래 구입하게 된 HDD와 SSD, 그리고 하드랙 등으로 



SATA3 4개, SATA2  2개인 보드에 '스토리지' 포트가 부족하게 되었습니다.

mATX라 pci-e 슬롯도 넉넉하지 않고, VGA 장착된 상태에서 2개 있는 x1 포트도 하나는 가려지고 

2번째 슬롯 하나만 사용가능한 상태였습니다.


x1 sata 확장 카드에 대해 Q&A에 문의드렸더니 

감사하게도 많은 회원님들께서 의견주셨습니다.


특히, 정주영the~님께서 말씀하신 이선규님의 LSI카드에 대한 조언에 훅 빠졌습니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고 과감하게 주문하고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작업 시작 전에 조금 막막한 느낌이 들어서 정주영the~님께 쪽지 드렸더니 

아주 상세하게 지도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2cpu에 워낙 전문가들이 많이 계셔서 별 일 아닌 것 가지고 호들갑 떠는 거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나중에라도 혹시 도움이 될 분이 계시지 않을까 싶어 이렇게 올려 봅니다.


1. 처음 도착했을 때의 LSI SAS 1064E

HP 파트로 사용되는 제품이었나 봅니다. 카드 위에 붙은 딱지에 SAS 3041E-HP라는 문구가 있고

측면 브라켓에도 HP로고가 찍혀 있습니다.

1배속 슬롯에 삽입하려면 우측의 긴 부분을 7개 핀만 남기고 절제해야 되는 엄청난 작업이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중간에 핀이 약간 잘린 듯한 부분이 2군데 있는데, 앞에 있는 게 순서상 6번째 핀이었습니다.

이 6번째 밑둥지 잘린 핀을 기준점으로 삼고 작업했습니다.


2. 작업 도구

그 흔한 니퍼 하나 없는 처지여서 도움될만한 '장비'는 죄다 동원했습니다.

(1) 전동드릴과 나사못을 이용하여 PCB의 중간 중간에 타격을 입혔습니다.

(2) 절제 대상 부위를 커터칼로 긁어가면 흠집을 냈는데 외관상 큰 효과는 없어 보였습니다.

(3) 뻰치를 이용, 조금씩 뜯어내는 느낌으로 제거했습니다.

(4) 주변 부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최대한 힘 조절 하며 중간중간 붓으로 가루나 분진을 제거했습니다.


3. 최종 작업후의 모습

그렇게 5~10분 정도 공을 들이고 나서 이런 모양이 되었습니다.



잘린 부분을 다듬기 위해 손톱깍이의 줄을 이용했으며, 커터칼로도 갉아 줬습니다.



4. 보드에 장착된 모습






운이 좋았던 것인지, 원래 그렇게 되는 것이었는지

당초 생각되로 척척 진행이 되어 주어 별문제없이 슬롯에 장착까지 했습니다.


5. 윈도우10(1709)의 드라이버

장착 후에 부팅하니 윈도우가 알아서 드라이버를 떡하니 찾아 놓았습니다.

사뭇 감격스러웠습니다. 

SAS Series라는 표현에 마치 엄청난 시스템이라도 구축한 듯한 뿌듯함이란,

택비 포함 만원이라는 투자로 누릴 수 있는, 가성비 킹짱이었습니다.






6. 정보 표시 및 속도 테스트

CrystalDiskInfo에서 맨 앞자리부터 LSI에 장착된 디스크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다.

아무 근거없이 맘속으로는 sata3로 잡히지 않을까 싶었는데,

SATA/150이라는 문구에 약간 당황??스러웠습니다.


먼저 삼성EVO 500GB SSD를 가지고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1) LSI 장착


(2) Sata3로 측정

Q32속도가 차이나는 것은 당연할 일일테고, 그래도 4k 속도가 어느 정도 유지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HDD는 어떨까 싶어 도시바3TB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2장의 동일 스펙 HDD를 가지고 테스트했습니다.)


(3) LSI 장착

(4) SATA3 장착


7. 매킨토시의 켁스트 지원

내친 김에 맥에서도 드라이브가 지원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평소 커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최신 버전인 macOS High Sierra 10.13.1 베타5(17B46a)에서 테스트했습니다.



맥에서도 아무 추가 작업 없이 시스템이 알아서 켁스트를 잡아 주었습니다.



8. 결론

SATA포트가 부족한 데스크탑에서 가성비 우주최강의 확장카드가 아닐까 싶습니다.


카드를 장착한 후 윈도우를 설치하면 어떻게 될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현재로서는 부팅디스크로는 잡히지 않고 윈도우 진입 후 디스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저장용으로 평소 접근 빈도가 낮은 HDD를 연결한다면

포트 부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솔루션이라는 판단입니다.



9. 앞으로 나아갈 방향 (ㅋㅋ 웃지들 마십시오~ㅎㅎ)

혼자서 이렇게 2cpu 전문용어로 호작질을 하고 있는데,

아, 또 장터에 이런 제품이 떡하니 올라왔습니다.



[판매] IBM ServeRAID M1215 SAS/SATA Controller 팝니다.


LSI에 대비 5배 비싼 5만원, 케이블 값까지 고려한다면

약 7~8배의 투자비용이 들어갑니다.


나중에 업그레이드할 경우에 대비해서 미리 준비해 둔다는 자기변명,

이번 테스트에 이은 2탄을 준비해 보자는 마음, 등등 

지름신의 부름을 거역하지 못했습니다.


저 카드 도착하고, 케이블 구해지면 2탄 들어 가겠습니다.~



Simple / Agile / Powerful System
고생하셨습니다.. M1215는 케이블 구하기가 너무 힘들어서 결국 해외에서 구했었는데..요즘에는 나오나봅니다..
     
OptimAE 2017-10
감사합니다.

아직도 국내 판매처는 없는 듯 합니다. 오픈마켓에 올라온 대부분이 해외배송 주문대행인 것 같구요.
2cpu 장터에 구매 거래가 있었던 흔적이 있어서 구매글을 올리려 하는데 아직 포인트가 부족해서 글을 못올렸습니다.
달리 구할 방법이 없으면 오픈마켓에 해외배송 주문을 내야하지 싶습니다.

이 기회를 빌어, 혹시라도 SFF-8643 to 4x sata 케이블 보유하신 분께서 여유분 있으시면 쪽지 부탁드립니다.
          
http://www.raidmall.com/shop/shopdetail.html?branduid=133030

배보다 배꼽이............쿨럭~ ;;;
               
OptimAE 2017-10
감사합니다~!!
근데 이 정도 되면 배와 배꼽 정도가 아닐 수도....ㅠㅠ
데탑이라 너무 길면 오히려 방해되고해서 저는 이 물건을 보고 있었습니다만...
https://www.ebay.com/p/1m-Mini-SAS-36p-Sff-8087-to-4-X-SATA-7pin-HD-Splitter-Breakout-Blue-Cable-Top-a/2212370036?iid=112437617954

품질이나 성능에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저렴하다는 입장에서는 눈길이 갑니다.
호환성에 문제 없는지 좀 더 알아 보는 중입니다...
                    
상기 링크의 제품은 sff-8087 입니다.
구매하신 M1215 는 sff-8643 이구요.
장착이 안됩니다. ;;;
                         
OptimAE 2017-10
아, 그렇군요. 그런 부분이 있지 않을까
의문이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OptimAE 2017-10
사진이 깨져서 글 수정하려 했더니 댓글이 붙으면 수정이 안되는군요.ㅠㅠ
댓글 주신 서완호님께 쪽지까지 드려서 지워주셨는데
그사이 또 댓글이 들어와서...... 그냥 사진만 따로 모아 답글 형식으로 포스팅했습니다.

여러 회원님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화란 2017-10
9. 앞으로 나아갈 방향 (ㅋㅋ 웃지들 마십시오~ㅎㅎ)
혼자서 이렇게 2cpu 전문용어로 호작질을 하고 있는데,
아, 또 장터에 이런 제품이 떡하니 올라왔습니다.

---> 웃었습니다^^

저도 같은것 1개 가지고 있는데 참고하겠습니다~
     
OptimAE 2017-10
ㅎㅎㅎ 웃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 올린 보람이 있습니다~~!!
더불어 참고가 되면 더욱 좋구요 ㅎㅎㅎ
OptimAE 2017-10
글 올리는 게 서투르다 보니 본문에서, "김주영the~"님이 "정주영the~"님으로 바꼈습니다.
물결 부분은 몰라서 그런 것이 아니고 제 손으로 입력하기 좀 그래서 물결로 표시했을 뿐입니다.
넓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Won낙연 2017-10
카드자르는것은 쇠톱하나면 간단히 되더라구요..
     
OptimAE 2017-10
작업할 때 그럴 것 같은 느낌 들었습니다.
근데 여러 번 작업할 것도 아니고,
급한대로 재미로 한 번 시도해 봤습니다~^^
하하하~~  고생 많으셨습니다. 초보의 솜씨가 아닌 것 같습니다. 켜켜~~
윈7 이상을 설치하시면 당연히 여기에 연결된 SAS HDD로 윈도우 최초 설치시부터 부팅HDD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XP는 드라이버 통합이나 USB플로피드라이브 사용하셔야 하고요. 1세대 SAS 컨트롤러이며 SATA2까지 커버하는 칩셋이므로 HDD를 사용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만 1x로 잘라버리면 대역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점은 감안하고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호환성이나 확장성이나 가격을 보면 충분히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호작질이 되었을겁니다.


제목Page 36/63
2020-06   8045   아스란
2018-09   9489   subshot
2019-10   12556   두발로
2018-05   12347   임민규
2020-03   5391   monan
2016-12   13482   조항주Jeonju
2021-04   6575   레바인
2022-03   6833   todays1
2016-09   16732   금콩커피
02-22   1990   리아레네트
2014-12   17002   김준연
2020-01   9924   두발로
2023-04   29536   스캔l민현기
2020-10   8190   일국
2016-07   8498   anh
2016-04   9838   어디쯤
03-02   1623   SiCMOS
2022-11   29628   봉주룡
2024-02   5245   동력
2020-10   9306   경박한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