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으로 만든 사이클론 집진기

김복동   
   조회 100636   추천 4    

 
요즘 이것 저것 손대느라 간만에 들렀네요.
지난번에 소개한 컴터방독면에 이어 이번에는 주변에 굴러다니는 물건을 조합하고 약간의 손을 봐서 제작한 사이클론 집진기 겸 청소기입니다
정확히 설명드리면 이건 가정집에서 사용할 물건이라기보다는 절삭칩이 발생하는 기계공장에서 쓰임직한 (사실 그러한 필요와 목적에 의해 제작한 ) 상당히 큰 용량의 물건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재료는 흡인력을 주기위해 집안에 굴러다니는 소형진공청소기를 활용했고 다른 부품으로는 여분으로 사다놓고 쓰지않는 시장표 플라스틱 물통을 사용했는데 목적에 적합하도록 진공청소기도 좀 개조를 했습니다. 청소기 꽁무니를 잘라서 배기덕트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개조했고  유체의 흐름을 극대화하고 더이상 필요가 없는 청소기 내부의 필터와 부품을 전부 제거함.
제작방법은 물통뚜껑 중앙을(제작과 가동의 단순화를 위해 하단 물통부분은 전혀 건들지 않음)  둥그렇게 잘라내고 거기에다가 양단플랜지를  제작하여 흡인과 배기용 후드를 만들었는데 작동원리는 청소기에서 빨아들이는 흡인력으로 인해 먼지와 절삭칩이 고속으로 물통안에 빨려들어온 다음 사이클론의 원리로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급격히 속도가 떨어져서 칩이나 먼지 등 상대적으로 비중이 무거운 물체들은 물통내부에 가라앉아 쌓이게되고 여분의 과잉공기와 더불어 필터에도 걸러지지 않으면서도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는 배풍용 덕트관을 통해 건물 바깥으로 모조리 뱉어내 버리는 원리입니다.
즉 일반진공청소기와는 달리 이걸 종일 가동해도 점점 깨끗해 질 뿐 실내에는 한점의 미세먼지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참고::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가동중 배출되는 미세한 먼지, 이게 가장 안좋은건데 너무 작아서 필터로도 걸러지지 않으며 청소기 작동중 그대로 실내에 배출되어 공기중에 떠다니게되며  흡입시 몸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폐속에 쌓여서 질병을 일으키는 무서운 공해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판되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이 미세먼지가 거의 걸러지지 않고 실내에 그대로 배출되어 아주 해롭습니다. 진공청소기로 실내를 청소하다보면 목이 칼칼해진 경험은 누구나 있으실게고.
그러나 보기에는 허접해도 직접 제작한 이 청소기를 사용하게되면  간단하게 절삭칩이랑 집안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먼지의 저장공간이 크고 넉넉해서 아주 여유롭고 편리하다는 것.
덤으로 걸러지지 않는 미세한 부유먼지는 배풍덕트를 통하여 건물바깥으로 모조리 빨아내어버리니 청소에 상관없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
통을 비우는 것도 아주 간단해서 그냥 뚜껑을 들어내고 통을 집어들어 쓰레기통을 비우듯이 비우면 됩니다. 내부는 빈공간이며 어떠한 물리적인 필터나 장애물이 없으므로 막히지 않고 관리하기 편합니다
 미세먼지가 해롭다는게 알려지면서 최근들어 미세먼지까지 포집되는 청소기가 유명가전업체에서 나왔다고 들었는데 선전만큼의 성능은 따로 생각해보기로하고 우선 그 가격이 아주 높습니다.
 흡입호스 끝에 청소용 꼭다리를 달아서 바닥청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저렇게 찍었는데 실제로는 이동용 바퀴가 달린 마운트를 따로 제작해서 청소기와 물통을 그위에 올려 하나의 어셈블리로 만들었습니다

주변물건을 활용해서 직접 만들어 봤는데 보기에는 허접해도 정말 성능이 좋습니다. 굿. ^^
여러분들도 한번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PS: 사실 허접한 글을 올리는게 귀찮기는 하지만 필요할때마다 이곳의 장터를 활용해서 서버부품을 사다가 제가 하는일에 요긴하게 썼으니 이곳을 운영하시는 운영자님과 회원님들에게 나름 작은 눈요기 거리라도  드리려는 일종의 보은의 차원이라고나 할까,. 좋은 일요일 보내시길.
 
수퍼팅 2013-10
대단하시네요~
안형곤 2013-10
헉.. 정말 재미있는 DIY이군요 ^^

남는 진공청소기가 하나 있는데......
     
정은준1 2013-10
저는 중고로 하나 구해야겠는걸요 ^^
정은준1 2013-10
감사합니다.
제가 사실은 소소한 목공을 하면서 발생하는 톱밥가루때문에 자작싸이클론을 만들려고 눈여겨 보고있는데요.
배풍덕트를 이용해서 청소기에서 뿜어내는 먼지를 밖으로 보낸다는건 정말 탁월한 발상입니다.

저도 목공때문에 하루빨리 싸이클론을 만들어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다른분들을 보니깐 파란통용기가 약해서 흡입시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해서 난타통을 쓰시더라구요.
저도 난타통을 하나 구할까 말까 하는 찰라에 이런 게시물을 보니 거짓말 좀 보태서 심봉사 개안한것 같습니다. ^^

싸이클론을 구하지 못해서 이런걸 알아보고 있거든요.
http://www.aliexpress.com/item/Cyclone-dust-collector/1289166078.html
제품가격보다 배송비가 더 비싸서 선듯 손을 못대고 있습니다.

파란통의 두껑하부가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가능하시면 공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이해하면 2013-10
정미기 사이클론 사용하지 않나요
만 몇천원인것 같았는데요.
김복동 2013-10
운영자님께서 관심이 있으시다니 감사합니다
올리신 링크는 저도 봤는데요. 국내에도 파는것입니다. 모 쇼핑몰에서 파는  만원짜리 물건인데 지름이 몇십센티도 되지않는 조그마한 것입니다. 유저들이 굳이 이걸 쓰는 이유는 사이클론의 모양을 이미 대충 갖추고있어서 그걸 활용하기위한 목적인데 사이클론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통의 크기가 일정이상 커야하는데 개인생각으로는 그 물건은 통의 크기가 작아서 공방에서 쓰긴엔 작고 하부에 별도로 취합통을 따로 만들어서 취부해야하니 조인트 밀봉문제도 발생하고 약한 연결부에 문제가 생길 개연성도 높아져서 결국 구조와 모양이 복잡해지고 일이 어려워집니다.
개인적으로 좋은 설계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최대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방법을 찾는것이 좋은 설계자의 자질이라 생각합니다.
거두절미하고 사진과 같이 만들면 통이 찌그러지는거 없이 아주 잘되고요 약간의 찌그러짐은 오히려 뚜껑과 통의 밀봉을 촉진해 주므로 집진기의 성능에 오히려 필요한 것입니다
다른 유저들 따라갈건 없고 그냥 시장에 가셔서 넉넉하게 큰 플라스틱 물통(제가 올린 저건 정확히 몇말짜리인지는 모르겠는데 매장에 통중에서 두번째로 큰  아주 큰 사이즈입니다)을 하나 구입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볼것도 없이 통을 직접 구입해서 보시면 강도보강을 위해 곡면이 넣어져있는데요 그 곡면안쪽을 직쏘로 따내시고 거기에다 양단 플랜지를 두꺼운 PVC로 만들어서 체결하시면 됩니다.
중심부에 75밀리 PVC관(이거 크기가 중요. 작으면 압이 높아져서 먼지가 걸러지지않고 빨려나옴)을 200밀리 돌출, 외측에 25밀리 관을 붙히셔서 내부인입도관으로 쓰시면 됩니다
사진에는 안나왔는데 인입관에는 빨려들어온 먼지에 회전력을 주기위해 통 둘레방향으로 엘보를 두개 연결해서 직각으로 방향을 잡아주시면 끝입니다.
성능은 몇백만원짜리 공업용 청소기 저리가라입니다. 무엇보다도 크기가 아주 커서 넉넉하고 어떤 청소기를 써도 먼지가 나서 피곤한데 저걸로 사용하니 실내에 먼지가 한톨도 안생겨서 좋습니다
그러고보니 지난번에 올린 글도 컴터먼지에 관한 거였는데 이번에도 먼지에관한 얘기군요. ^^
밑판 사진을 올리려하니 제 디카가 십년전에 구입한 것이라(올림푸스 100rs. 그땐 좋은거였는데)  메모리카드가 왔다갔다해서 인식이 잘 안되네요 저 사진도 그걸로 찍은것임.
저걸 만들수 있으신분은 제 글만 보고도 충분히 가능하실것이라 생각합니다 ^^
     
정은준1 2013-10
지금은 잘 읽어도 이해가 잘 안가는데 나중에 몇번 더 정독후에 모르는것이 있으면 질문을 좀 드리겠습니다.

더불어 100RS 사용자라고 하시니 더더욱 반갑습니다.
저도 100RS유저인데 이 디카 만큼은 오래된 디카라고 하지만 버릴 수 가 없더라구요.^^ 아직도 현역급이네요...저에겐...
김복동 2013-10
맞아요. 100rs 저는 당시 올림푸스 행사때 서울본사까지 가서 칠십만원주고 샀어요. ^^ 차비까지 팔십만원. 근대 작년부터 메모리카드가 문젠지 본체가 문젠지 인식이 될때도 있고 안될때도 있어요 화면엔 메모리가 덜끼워졌다 어쩌고 나오는데요 
안버리는 이유는 제가 원래 뭘 하나 샀다하면 그냥 갖고있다가 값이 떨어져서 되팔지도못하고 결국엔 쓰레기통에 가는걸로 끝장을 보는 속성이 있어서요. ㅎ 이제 볼일보러 나가봐야겠네요
chis 2013-10
와우 좋은 아이디어네요...
깊게 들어가면 흡입할 입자들의 비중에 따라서 싸이클론 직경과 흡입량을 계산 해야겠지만
일반적인 용도로는 부족함이 없어보입니다.. 게다가 덕트로 바로 건물 외부로 빼버림으로 싸이클론에서
잡지못하는 작은 먼지들도 해결하신걸보니 대단하세요...(다만 압력손실은 좀 생기겠지만요)


제목Page 58/63
2015-07   8615   보물섬
2016-08   21973   소주한병
2014-11   24235   박종용
2014-07   12896   monan
2015-05   9363   얼빵이사
2017-01   14009   팽짱정석
2016-04   28736   김성기1
2015-06   14685   화란
2013-11   48031   불타는SAM
2017-04   14178   캔위드
2015-11   11891   거룡
2014-03   16218   monan
2013-11   14032   정은준1
2015-06   15699   소주한병
2013-02   29897   NeXT
2016-10   17541   motu
2016-10   21821   motu
2015-06   11145   anh
2015-06   14294   송석후
2013-03   25361   김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