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개발강좌-2

   조회 38650   추천 9    

이해편)

그럼 코드가 외 중요할까요..

다들 아시지요.

컴퓨터는 0과1로 동작 한다는것을요..

그러면 내장된 코드는 컴퓨터와 어떤 역할을 할까요.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에 명령어를 번역 해주고 명령어를 실행 해주는 역 할을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하드웨어는 논리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논리회로에 명령어를 보낼때 코드표의 코드비트가 논리회로에 전송이 됩니다.

8비트 전송이 되지요.

한문자 크기의 용량 입니다.

1hz 에 1문자를 보내면 8비트
1hz 에 2문자를 보내면 16비트
1hz 에 4문자를 보내면 32비트
1hz 에 8문자를 보내면 64비트 입니다.

그러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가 어느 정도 성능 인지 대충 계산 해보시면......

 기본 코드는 표준이 있습니다.

미국표준코드 아스키(Ascii code)코드 가 롬바이오스에 내장되어 이것이 기본으로 하여 구동이 됩니다.

물론 이거 말고도 여러코드표 들이 있습니다만.

전세계 컴퓨터 하드웨어 부팅에는 아스키 코드만 사용 하신다고 생각 하시면됩니다.

****** 다음 회에





휴먼 2015-02
추천해드렸습니다.
무아 2015-02
추천 드립니다.
1hz 보다는 1cycle 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하하하..
연산처리를 표현한것이 아닙니다.. 하하하

감사 합니다...

덫 : 사이클은 일이 이루어진 형태라서 한번의 사이클이 2hz 일수도 있고 100hz일수도 있습니다.
          
무아 2015-02
네. 그렇죠.
그냥 hz 라는 표현은 시간이라는 기준이 들어 간 것이라 자칫 속도의 개념으로 이해가 될 수 있어서 입니다.
               
보통 컴퓨터 Cpu 단위가 hz다 보니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표현 한겁니다.
컴퓨터상에서는 또 맞는 단위이고요..
속도도 포함이 됩니다.
                    
마녀 2015-02
싸이클은 가장작은 크기의 행동아닌가요? 클럭이 튀는?

hz라는 단위 ( 클럭 )는 이 싸이클이 1초에 몇번일어나는가를 측정해놓은 단위고요.
                         
윤성옥 2015-02
주파수 ·진동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이클을 이용한다. 기호는 c, cps 또는 c/s(사이클/초). 실용상의 단위명은 헤르츠(기호 Hz)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이클 [cycle] (두산백과)

제 생각에는 의미가 통하는 내용입니다.
저 ... 이강좌 끝까지 듣고 싶습니다. 3탄 기다립니다.
강좌 잘보고 잇습니다.
근디요...
프로그램개발강좌인가요?
아님 컴퓨터 아키텍처시간인가요?
그리고 8bit ~ 64bit 이전송된다는것이 그해당 CPU 내 alu 의
Combinational Logic?Circuit 에 한번에 들어가는 싸이즈를 말씀하신건가요? 그러니까 Word 싸이즈를?
제가헛깔리고있는것 같습니다만... 특히마지막에 롬바이오스에 ascii 이야기가 있어서 이것이 CPU 이야기인지 컴퓨터 통째로이야기인지 좀 더 이해가 안가는데요...  제가 전편들을 읽은 기억이 가물거려서 뭔말씀인지 연결이 안되는것일 수 있으니...

앗한가지! UEFI (그러니까 엄밀히 말하면 BIOS는 아니네요)에서는 16bit 유니코드를 기본으로 한다고 알고있습니다 ㅎㅎ...
     
개인적으로 S/W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S/W가 구동되는 H/W 와 OS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로...황진우님 강좌는 기본부터 시작하기에 아주 좋은 접근방향이라고 봅니다.

다른 질문은...저는 패스하겠습니다. ^^;;;
윤성옥 2015-02
진우님이 설명하신 내용중에 이견이 있어 몇자 적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중에

미국표준코드 아스키(Ascii code)코드 가 롬바이오스에 내장되어 이것이 기본으로 하여 구동이 됩니다.
-> 글자를 표현하는데는 아스키 코드 등이 사용되는 거고 명령셋은 아스키코드와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롬바이오스상에 기록된 내용은 입출력등과 관련된 기본 코드(명령코드)가 기록되어 있는데 아스키코드와 상관 없을 듯 싶어요
 
물론 이거 말고도 여러코드표 들이 있습니다만.
전세계 컴퓨터 하드웨어 부팅에는 아스키 코드만 사용 하신다고 생각 하시면됩니다.
-> 부팅에 아스키코드만 사용한다고 설명하신게 이해안되시는 분들이 많을듯 합니다.
머 명확히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일반적인 부팅은 Power On Self Test와 bootstrap loader , 그외 init 코드 등이 수행되어 부팅된다고 설명되어야 얼추 맞지 않을까요?

문자를 표시하는 아스키코드나 유니코드와 명령을 수행하는 코드는 구분되어야 할거 같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작은 이해 설명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전문 공학적으로 따지면 내용이 너무 많기 때문에 작은 상식선에서 이해가 될수 있게 설명하다가 보면 전공자 및 전문가들이 볼때 차이가 분명히 날수도 있습니다
** 황진우님의 댓글중에서..... **

추신 :
1. 아마 황진우님이 bps(Bit per sec)의 개념으로 1Hz로 표현하신것 같습니다. CPU클럭은 데이터나 명령어 1사이클을 동기화 시키는데 필요한 펄스로 봐야하고 높을수록 많은 데이터를 빨리 입출력할 수 있습니다. 단지 여기서는 CPU에 데이터를 1초에(한번에) 8비트로 읽어(혹은 출력)오면 8비트라고 단순하게 표현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즉 클럭보다는 시간을 고정시킨 1초에(한번에) 데이터 입출력 단위를 8비트냐 16비트냐로 단순화시킨것이 아닐까 하는 의미로 이해했습니다.
2. 하드웨어 롬바이어스의 부팅은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란 말 그대로 기본적인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POS에서 최종 DOS(Disk Operating System)까지 가려면 윤성옥님의 과정도 맞습니다만 하드웨어 처음 코딩시에는 기계어로 짜고 이를 해석하는데는 아스키코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명령어 셑도 결국 해석하려면 ASCII코드에 의해 해석되기 때문에 순차적인 과정을 생략하고 표현하신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3. 댓글에서 부언하셨다시피 전문가를 기준으로 잡은게 아니고 아웃라인정도의 개념을 잡고 이쪽 하드웨어설계가 아닌 분들에게 흐름을 알려주시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보통은 이런거 생략하고 바로 비주얼씨뿔뿔로 들어가 GUI부터 하여 자바로 프로그래밍 하지요. 아니면 탄생년도가 쫌 되어 8비트컴시절부터 하신분들은 하드웨어 아키텍쳐부터 시작하여 프로그래밍도 힘들게 컴파일후 메모리 작게 잡으려 하고 하드웨어 타이밍개념으로 짜지요. 아 진짜로 힘들어요.흑흑
     
윤성옥 2015-02
예전엔 니모닉 대신에 코드표 외우곤 했지요 하하~
기계어로 코딩하려다보면 헥사코드를 니모닉으로 변환한거 들고 다니고 외우고 했엇던 기억이 나네요

덧글 다신 내용처럼 이해 하려고 해도 처음하시는분들이 잘못이해하실지도 몰라서 그냥 댓글 달았는데 진우님이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겟네요

어차피 제가 설명한다고 명확하게 설명하긴 쉽지 않은 부분이라고 생각되어서 안하려고 했었는데
그래도 하는게 나을거 같아서 제 생각을 적어봤어요

글이라는게 표현하기 참 어려워서 쉽지 않으실듯 싶습니다.
딴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다시 보기에도 딴지같습니다만, 의도는 아니라는걸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ps: 이글도 지우려다 남겨둡니다.
진우님이 계속 연재하시길 바랍니다.
          
ㅋ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 그리고 이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진우님이 생각하시기에 제가 부연설명한것이 당신이 의도하신바가 아닐수도 있고 또 제 설명도 틀릴수도 있고 다른회원님들이 지적하시는것과 같이 명확히 해야 할 부분도 있고 그런것 같습니다.
다만 관심있으신 회원님들의 댓글들이 달리면서 원글에서 미흡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이 보충되는 효과는 있는것 같습니다.
얼빵이사 2015-02
80년도 전에 학원 강의가 생각 나네요!..ㅎㅎ
고슴도치 2015-05
아~이게 뭔 소린가? 하고 못알아듣는 부분들이 있는데 뎃글 올리신 분들의 글을 보면서
좀 더 이해가 되고 눈이 밝아지는거 같습니다.
계속해서 많은 댓글들을 남겨 주시면 저와 같이 일천한 지식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정말 감사할 것입니다.
어렵네요 ㅠㅠ
미백 2015-12
강좌 잘봤습니다.


제목Page 23/28
2013-12   33961   황진우
2017-04   33981   채선일
2015-04   34031   HEUo김용민
2023-10   34223   딥러닝서버
2023-02   34339   딥러닝서버
2022-09   34413   딥러닝서버
2012-02   34551   이지포토
2022-12   34592   딥러닝서버
2018-01   35364   catstyle
2023-11   35499   캡틴아메리카노
2014-09   35536   blackra1n
2015-05   35651   죠짱
2015-09   35831   죠짱
2023-01   35875   딥러닝서버
2022-10   36716   화정큐삼
2016-12   37267   민욱님
2015-08   37508   witbox
2023-04   37578   ocarina
2022-10   37781   딥러닝서버
2017-06   37794   민욱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