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S-활용편1

   조회 16473   추천 2    

기본적으로 WDS를 이용해서 OS를 무인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해 봤습니다. 

사실 인터넷에 많은 자료들이 있어서 강좌를 계속해야 되나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ㅎㅎ. 글들 정리하는것도 꽤 일이라...


이제 WDS가 구성이 되었으니 실제로 활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WDS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들이 운영체제들을 설치할 때 무인설치를 지원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부팅 손쉽게 OS를 설치할 수 있게된다.

실제 업무환경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보통 두가지 방법으로 사용을 한다.

  1. WDS 에 unattend.xml을 생성해서 놓아두고 무인설치를 하는 방법
  2.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전사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을 미리 구성한 다음  sysprep로 작업한 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WDS를 통해서 배포하는 방법

첫번째의 경우에는 보통 OS만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 편이고 두번째의 방법이 보통 회사에서 사용하는 방법일 것이다. 기본적으로 설치할 응용프로그램들을 미리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해서 표준화 하면 시스템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업무량을 꽤 많이 줄일 수 있을것이다.

더이상 회사안에서 OS설치를 위해서 CD를 들고다니거나  iodd 같은것을 들고 다니지는 말자.


WDS를 이용한 OS무인설치

이 과정은 OS설치 시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 하거나 전체 무인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필자의 경우 Windows 7 환경을 기준으로 작업하며 각자의 환경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 바란다.

필요한 것들

  • windows automated installation kit(이하 WAIK, 각 OS버전별로 다르니 사용할 OS에 따라서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
  • OS설치용  CD 또는 iso 파일
  • 작업용 PC(WAIK를 설치하고 unattend.xml를 생성하기 위한  PC,가상머신이어도 상관없다)


WAIK설치

작업용  PC 에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5753 에서 WAIK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WAIK 에는 winpe 환경을 쉽게 꾸밀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나중에 시스템 복구 환경같은것을 구현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이 된다.


무인설치파일(unattend.xml)생성하기

WAIK가 설치후  Windows 시스템 이미지 관리자를 실행한다.

Windows 이미지 또는 카탈로그 파일선택에 마우스 우측클릭하여 install.wim(windows 설치CD에 있는)을 추가해 준다.

참고) wim파일을 추가하게 되면 카탈로그 파일을 만들겠냐고 물어보는데 카탈로그 파일이 생성이 잘 안된다면 그냥 CD에 있는  clg파일을 추가해주면 된다. 어차피 이미지수정이 필요한것이 아니고 응답파일을 생성하는게 목적이니까..

이미지를 추가했으면 새응답파일을 생성하도록 한다.

새 응답파일에 이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추가해서 무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해보자.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측을 클릭하면 원하는 위치에 가져다 놓을 수 있고  본인이 원하는 값으로 미리 값들을 지정할 수 있다.

실제로 컴포넌트들은 너무 많고 필자도 모두 테스트 해본적이 없어서 전체적인 설명은 어렵다. 컴포넌트 선택후 F1  을 입력하면 메뉴얼이 나오니 참고해서 셋업해보도록 하자.

기본적으로 디스크 파티션닝 및 사용자추가,회사명등등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들을 추가해주면 된다.

아래예제를 참고해 보도록 하자.


이렇게 만들어진 파일(unattend.xml)을  WDS 설치 디렉토리(c:\RemoteInstall\WdsClientUnattend) 에 복사한 다음 WDS 설정에서 무인설치를 설정해준다.


이제 모든 준비는 끝났고 OS를 설치할 PC를 PXE부팅을 하고 F12를 눌러서 진행하면 사용자 입력없이 OS를 설치할 수 있다. 심지어는 AD에 Join하는 것도 자동화 시킬 수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AD  Join 과정은 메뉴얼로 진행하는 편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사내 정책으로 컴퓨터 이름도 표준화 시키고 있어서 자동생성된 컴퓨터 이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응답파일을 잘 만들어 두면 OS설치 작업이 한결 수월해지게 된다.

완벽하게 자동화 시키기 위해서는 꽤 많은 테스트 과정을 거쳐야 원하는 구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맑은여름 2016-10
다시봐도 어렵습니다 ㅜㅜ 역시... 존경을 표합니다. 꾸벅
     
그냥  윈도우즈  OS를 네트워크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일히 다 아실 필요는 없습니다. 회사에서  PC대수가 늘어나고 복잡해질때 혼자서 커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 입니다. ㅎㅎ
          
맑은여름 2016-10
신경 써 주셔서 올리시니, 보는이의 입장에서 이해 하려 노력하는게 맞다 싶어서용.. 그런데 어렵네요 ㅎㅎ
신현준 2016-10
*비밀글입니다
     
말씀하시는것은 diskless 처럼 사용하시겠다는것 같습니다만..노하드 시스템 처럼 네트워크로 부팅한 다음 iscsi볼륨 연결해서 사용하는 대신에
로컬하드디스크를 사용하시겠다는 말씀이신데 로컬의 부트로더를 사용하는편이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WDS는 배포를 위한 솔류션이라 생각하시는것과는 컨셉이 다른듯 합니다.


제목Page 18/28
2023-11   22420   딥러닝서버
2014-04   22452   죠짱
2021-06   22483   딥러닝서버
2014-12   22641   엠브리오
2017-02   22964   stone92김경민
2018-06   23051   TLaJ3KtYGr
2018-04   23124   inquisitive
2022-05   23228   딥러닝서버
2011-01   23379   안형곤
2018-05   23400   채영진
2018-05   23401   빠시온
2017-06   23653   화령
2017-06   23687   무아
2016-03   23705   izegtob
2018-05   23733   TRUE
2015-08   23760   김은호
2016-08   23775   키네시스
2014-07   23976   주영진영아빠
2017-04   23993   Ansyncic
2014-07   24016   황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