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 |
[필독] Zx20 워크스테이션 V1 -> V2 개조 추가사항 (9) |
스캔l민현기 |
2019-07 |
21375 |
2 |
2019-07
21375
1 스캔l민현기
|
316 |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Z620 부트블럭 업데이트 (24) |
분노의다운힐 |
2019-07 |
14749 |
5 |
2019-07
14749
1 분노의다운힐
|
315 |
캠핑을 가자! (4) - 바닥재(매트), 타프 + 침낭 등등등... (5) |
김준연 |
2019-06 |
15985 |
1 |
2019-06
15985
1 김준연
|
314 |
하드,SSD 병목의 방안 Intel VROC 과 VMD 에 대하여 (SSD M.2 RAID Volume and Boota… (4) |
제온프로 |
2019-06 |
20703 |
0 |
2019-06
20703
1 제온프로
|
313 |
캠핑을 가자! (3) - 텐트를 골라보자 (7) |
김준연 |
2019-06 |
19767 |
1 |
2019-06
19767
1 김준연
|
312 |
파워 누가 제조해주었는지 알아보자.. (6) |
박문형 |
2019-06 |
17061 |
2 |
2019-06
17061
1 박문형
|
311 |
캠핑을 가자! (2) - 서문 Part 2 (1) |
김준연 |
2019-06 |
15218 |
0 |
2019-06
15218
1 김준연
|
310 |
캠핑을 가자! (1) - 서문 (2) |
김준연 |
2019-06 |
15443 |
0 |
2019-06
15443
1 김준연
|
309 |
SAS 2008 기반 레이드카드 레거시&UEFI 부팅 드라이브 사용하기 (13) |
스캔l민현기 |
2019-05 |
32644 |
5 |
2019-05
32644
1 스캔l민현기
|
308 |
Raspberry 3 b+ 에 xgboost 설치기 |
Midabo |
2019-05 |
11594 |
0 |
2019-05
11594
1 Midabo
|
307 |
KOTLIN 배워야 하나요 (5) |
eugeneshin |
2019-05 |
11349 |
0 |
2019-05
11349
1 eugeneshin
|
306 |
Z800 팬소음 (2) |
eugeneshin |
2019-05 |
11152 |
0 |
2019-05
11152
1 eugeneshin
|
305 |
강좌게시판에 쓰기도 민망한 글입니다만, ISP업체에서 유동 IP를 받지 못할때 (3) |
chobo |
2019-05 |
11791 |
1 |
2019-05
11791
1 chobo
|
304 |
Fusion-IO 벤더 OEM 제품의 타사 펌웨어 씌우기 (4) |
RuBisCO |
2019-05 |
14457 |
0 |
2019-05
14457
1 RuBisCO
|
303 |
520b 섹터로 포맷된 디스크 512b 섹터로 바꾸기 (12) |
간장게장 |
2019-04 |
31570 |
10 |
2019-04
31570
1 간장게장
|
302 |
2만원대에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MS Windows 라이센스의 정체 (18) |
김황중 |
2019-04 |
15987 |
1 |
2019-04
15987
1 김황중
|
301 |
2만원대에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MS Windows 라이센스의 정체-제가 아는 정보 (5) |
녹야산 |
2019-05 |
10548 |
0 |
2019-05
10548
1 녹야산
|
300 |
Z820 Tear Down (3) |
모스월드 |
2019-04 |
11645 |
2 |
2019-04
11645
1 모스월드
|
299 |
[자동차]엔진 오일 고르는 팁 (26) |
프로시아 |
2019-04 |
27621 |
8 |
2019-04
27621
1 프로시아
|
298 |
악질 앱 Safe Finder 제거 - auto search engine change from Google to Yahoo, & Sa… (2) |
삼육공야드 |
2019-03 |
24208 |
2 |
2019-03
24208
1 삼육공야드
|
디스크 시리얼 레이블 없으면 무효
MAK일경우 인증서와 레이블 없으면 무효
그리고 2~3만원짜리가 되팔이일꺼 같습니까???
그거 MAK키 무단 배포입니다.
지금 MS사에 B2B 로 오피스같은 걸 구매하려면 최종사용자 확인 계약서를 써서 총판사에게 보내야 합니다.
저희도 미친넘들 아니야? 중간마진이야 유통에서 알아서 할일이지..
제조사가 왠 참견인가.. 싶은데..
한국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렇게 합니다..... 말로는 유통구조 투명화라고 하는 데.. 목적은 제조사에서 유통사를 통제하려는 목적이 뻔하죠.
그리고 원칙적으로 개인을 제외하고 법인의 경우는 국내 총판사를 통해서 비즈니스에 적용 가능한 라이선스를 제외하고 모두 인정이 안됩니다.
물론 노트북이나 대기업 pc의 경우 OEM이나 DSP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해외에서 정식채널을 통해 구매한 라이선스가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지는 논란이 많습니다.
글로벌 기업의 경우 각 리전에 지사가 존재한다면, 그 리전의 지사를 통해서 구매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글로벌 본사에서 몇만카피 동시 구매 후 각 리전이나 예하 지사에나 자회사에 라이선스 분배가 안된다는 겁니다.
오라클 같은 경우는 한술 더 떠서 위의 같은 경우에 아예 설치 리전을 바꾸거나 법인이 가진 라이선스를 양도/양수 하는 경우에도 과금합니다.
특히, 인수/합병 같은 경우에 라이선스를 소유한 업체를 인수하는 경우 이 라이선스를 취득으로 보는 가에 대한 것도 제한하는 업체도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사용권은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판단하지 말라고 하는 게 괜히 명시되어 있는 게 아닙니다.
소프트웨어 설치시에 무의식적으로 다음을 누르는 copyright 나 eula를 제대로 한번이라도 읽고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얼마나 디테일하고 내가 왜 이따위 노예계약을 하면서 까지 내가 내돈내고 이걸 써야 하는지 자괴감 조차 들게 됩니다.
그래서 공개소프트웨어나 공개소프트웨어 개발 기여자들이 존경을 받는 겁니다.
라이센스 위반 쉽게 보시다 큰코 다치십니다.
MS는 서버는 물론 일반PC 들도 사용처와 사용 방법에 따라 라이센스가 틀립니다.
전엔 삼성이나 LG에 내장된 OEM HOME 버전도 사무용이 아닌 개인용이라고 단속 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꼭 PRO 버전을 구입해야 했습니다. OEM 업체들의 어필로 지금은 완화 된거로 알고 있습니다.
쉽게 말씀 드리자면 PC가 인증 되었다고 그 시스템을 아무 곳에서나 사용 할 수 없다는 예기 입니다.
병원이나 광고판, PC방 처럼 불특성 다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 거기에 맞는 라이센스를 별도로 또 구매 해야 합니다.
서비스 지원 문제가 아니고 정품이라도 사용 방법에 따라 라이센스 위반이 된다는 얘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