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x20 워크스테이션 V1 -> V2 개조 관련 리스크에 대한 고찰

   조회 16227   추천 5    

http://2cpu.co.kr/lec/3167 (744)

비교에 사용한 프로그램

HexCmp2

UEFITool : https://github.com/LongSoft/UEFITool/releases/download/A55/UEFITool_NE_A55_win32.zip


안녕하세요.

청주에 서식중인 스캔l민현기 입니다.


어제 Zx20 워크스테이션 V1 -> V2 개조에 관한 강좌를 작성했었는데요, 역시 많은 분들께서 우려하시고 계신 부분이 아닐까싶습니다.


"롬 라이터기 + SOP16 to DIP8 클립 조합이 롬 칩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불러오는가?" 


원래 롬 라이터기를 이용해 BIOS를 읽을 때는 보통 롬 칩을 메인보드에서 분리하여 컨버터보드 (SOP8 to DIP8, SOP16 to DIP16, SOP16 to DIP8 등..)에 붙인 뒤에 읽고 쓰는 것이 제일 안전한 방법입니다. 

클립의 경우 일단은 롬 칩을 메인보드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다는 큰 장점이 존재합니다. 그냥 롬 칩에 클립을 물리고 롬 라이터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읽으면 되니까요. 


하지만 충격이나 흔들림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 입니다. 


클립이 제대로 물려지지 않거나, 혹은 잘 물렸지만 선을 건드렸거나 클립을 아주 약간이라도 건들게 되면 롬 칩 데이터를 읽었을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Read 중에 클립을 살짝 건드리면 어떻게 되는지 진행해봤습니다.

(▼ 좌측 : 정상 / 우측 : 비정상)

(▼ First File (위) : 정상적으로 DUMP된 롬 칩 데이터, Second File (아래) : 비정상적으로 DUMP된 롬 칩 데이터)





보시다시피 엄청난 양의 더미 값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더미 값으로 인해 롬 라이터기 또한 발열이 무지막지하게 심해집니다. 비어있는 공간에도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인식을 해버려서 모든 영역을 다 불러오려고 하기 때문이지요.

이런 데이터를 원본 BIOS라 믿고 저장하신다면 다시는 영영 사용할 수 없겠지요...


그렇다면 추출한 롬 칩 데이터가 정상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판단을 해볼 수 있을까요?

제일 간단한 방법은 바로 UEFITool을 이용하는 겁니다.

(▼ 왼쪽 : 정상적으로 DUMP된 롬 칩 데이터 / 오른쪽 : 비정상적으로 DUMP된 롬 칩 데이터)



"정상적으로 롬 칩 데이터가 DUMP 됐는지 아닌지 모르겠는데 

정상 파일은 어디서 구해됩니까!!"


그냥 HP BIOS 업데이트 패키지에 있는 순정 BIOS 파일(J61.0394.bin 혹은 J63_0394.bin)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GUID 레이블이 전부 동일하게 나왔다면 


축하드립니다! 정상적으로 DUMP가 된 것이 맞습니다!


사실 강좌를 작성하면서도 계속해서 우려했던 문제였는데 여러 회원님들께서 지적을 해주셔서 어떻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 자세하게 실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Zx20 V1 -> V2 개조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언제나 새롭게! 하던것도 지루하지 않게! 호작질을 무지하게 좋아하는 2CPU의 젊은피!
분당김동수 2019-07
열정에 감사드립니다
진신두 2019-07
자세한 설명과 후기 고맙습니다. ^^
임기호 2019-07
우왕 최고십니다!
또 추천 드려용
막판대장 2019-07
멋지십니다. 이방법으로 제게 있던 Dell T7600 마더보드도 한번 살려볼 여지가 생겼네요.
바이오스 업그레이드중에 전원이 나가는 사고로 한개 날렸었거든요
과암 2019-07
ch431a 툴에 검사 하기가 있어요
읽은 데이터와 실제 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사하기 버튼 눌러 주면 검사해 줍니다
모딩한 데이터 라이터기로 구운(프로그램)후에도 컴퓨터의 모딩 데이타와  롬 데이터 검사 버튼 누르면 검사 해 줍니다
저는 요렇게 합니다
읽기--검사--이상 없으면 저장 --카피본 하나 만들어 모딩-- 롬데이터 지우기--비우기--모딩한 데이터 프로그램--검사
     
아 검사(Verify) 말씀하시는거군요.
문제는 가끔 이게 제대로 연결이 안된상태에서 읽기 - 검사를 했을 때 정상으로 나올 때가 있어서 말이죠..하하..
저는 항상 '읽기 - 저장 - 지우기 - 읽기 - 모딩한 데이터 로드 후 프로그램 - 검사'로 진행했는데... 읽은 후에 검사가 되는지는 몰랐네요.
          
쓰레기단장 2019-07
근데 롬 읽기 에러가 나면 읽을 때마다 읽는 값이 바뀌는 건가요? 그렇지 않고 일정하게 이상한 값을 읽어오면 검사해도 똑같을 거 같긴 해요.
이거 혹시 테스트 해 주실 수 있으려나요? ㅎㅎ
               
네 그렇습니다. 제가 개조 강좌 작성할 때 캡쳐해놓은 이미지를 확인해보니 다르게 나오네요. 원래 이게 정상이긴 합니다.

혹시 모르니 퇴근 후에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눈으로 검사하는 방법이라 완전히 안심할 수 없을 것 같긴 한데.. 위에 말씀하신 여러 번 읽어서 값이 변하는지를 본다든지 하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 같긴 하네요. 이런저런 생각만 하지 말고 저도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준비물 주문하러 갑니다~
pil4 2019-07
리눅스나 맥에서 작업 하실분들은 flashrom 설치 해서 작업해도 됩니다. Uefitool로 검증 하시면 되고요. 레노보 노트북 bios 모딩 할 때도 잘 되었거던요. Hex 프로그램은 hexedit 사용 하셔도 되고 gui 버전 hexedit 도 있습니다. 
ch341a + soic8 clip 알리에서 천천히 받아 보실분들은
https://s.click.aliexpress.com/e/bJAcmkda 여기서 구입하셔도 좋습니다. 요즘 배송이 빨라졌더군요. 며칠전에 받아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KSOFT이원재 2019-07
옵션에 1과 2의 차이가 뭘까요?
그리고 해당 링크는 8to8 이라 16to8은 윗글 링크에 있는걸로 사야하죠?
pil4 2019-07
별차이는 없는듯 한데 저는 옵션 2로 구입 했습니다.  컨버터 보드 차이 일까요... ?? 8to8도 잘되길래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본 노트북은 x230, x240, t440s, t440p 에 모딩해서 잘 사용중입니다.


제목Page 12/28
2019-11   12320   딥러닝서버
2019-11   11078   FOXBI
2019-11   10560   FOXBI
2019-10   9931   간장게장
2019-10   8743   김준연
2019-10   9216   영원한혁신
2019-10   9213   김준연
2019-10   14193   NeOpLE
2019-10   50014   김준연
2019-10   8732   제온프로
2019-10   13960   술이
2019-08   15107   거니스트
2019-07   25807   딥러닝서버
2019-07   19666   kino0924
2019-07   24058   소망김기사
2019-07   45397   스캔l민현기
2019-07   14832   삐돌이슬픔이
2019-07   19020   소망김기사
2019-07   26014   스캔l민현기
2019-07   16228   스캔l민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