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 Tesla K10 -> GRID K2
조회 19658 추천 8
K2_80.04.D4.00.07_20550550_g1.rom (192.0K), Down : 18, 2019-07
K2_80.04.D4.00.08_20550550_g2.rom (192.0K), Down : 18, 2019-07
F0.47.22.00.C0_52055550_CA.rom (3.0K), Down : 20, 2019-07
nvoflash_5.163_mod (2.6M), Down : 22, 2019-07
안녕하세요.
항상 질문글만 올리다가 오늘은 허접한 개조기를 공유할까 합니다.
사실 이 내용은 2013년경에 해외에서 알려졌던 방법입니다.
그때 당시에는 대부분 Geforce 카드를 Tesla나 Grid로 변경해서 좀 더 손쉬운 패스쓰루를 하기 위해 진행 하던 개조 입니다.
최근에 제가 VDI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것저것 쑤셔보던 도중 GRID 카드의 가격이 생각보다 비싸다는걸 알게 되었고,
Tesla K10은 매우 저렴하면서도 GRID K2와 완전 동일한 구조라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당시 해외에서도 몇몇사람들은 Geforce를 K1이나 K2로 변경해서 vGPU를 사용해보려고 시도 했으나, 모두 실패 하고 특별한 진행이 없었습니다.
저는 Geforce를 개조하는거보다 K10을 K2로 개조하는게 좀 더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여 총대매고 진행 해 보았으며,
vGPU 기능을 실제로 ESXi에서 사용가능함을 확인 한 후 2cpu 회원님들에게 공유하고자 이 글을 작성합니다.
저는 이 개조로 인해 발생하는 제품의 손해나 어떠한 법적인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준비물 :
40Kohm * 2 (SMD 0402)
좁쌀보다 더 작은 저항을 때고 붙일수 있는 납땜실력
개조 방법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합니다.
K10의 뒷면에 보면 저항이 수백개가 달려있는데, 그중 2개를 제거하고 2개를 새로 붙이시면 됩니다.
첨부한 사진을 보시면 '빨간선' 으로 그어진 저항은 때어버리시고,
위에 준비하신 40k옴 저항을 '노란박스' 에 표기한 곳에 설치하시면 됩니다.
저는 40k옴 저항을 구할수가 없어서 40.2k 옴 저항을 구해서 썼습니다만 전혀 문제 없습니다.
사진에선 그닥 작아보이진 안는데 실제로 보시면 정말 눈꼽보다 작습니다;
자신이 없으신분은 납땜 전문가에게 맞기시길 바랍니다.
GPU0
GPU1
이만큼만 작업을 하여도 이미 시스템에선 K2로 인식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정도만으로 vGPU 기능이 동작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는 완벽하게 K2로 만들기 위해서 GPU0/1의 바이오스와 PLX바이오스까지 바꿔 주었습니다.
GPU0 = K2_80.04.D4.00.07_20550550_g1.rom
GPU1 = K2_80.04.D4.00.08_20550550_g2.rom
PLX = F0.47.22.00.C0_52055550_CA.rom
기존 nvflash를 이용하니 Board Id Mismatch 라고 자꾸 거부하길래 살짝 마사지좀 해주니 잘 되었습니다.
바이오스들과 마사지된 nvflash를 첨부파일에 올려 두었습니다.
nvflash는 리눅스 버전입니다. 윈도우에서 작업을 하니 PLX 바이오스가 안바뀌어서 리눅스에서 작업하였습니다.
저는 이렇게 만들어 놓고 ESXi에서 vGPU기능을 테스트 해 보니 아주 잘 되었습니다.
K2 같은경우, 벌써 나온지 5년이 다되가는 제품이라 성능적인 측면에선 큰 메리트가 없어보이나,
아직까지 중고물건이 의외로 비싸다는점과, ($200 근처), K10을 비교적 아주 저렴하게 ($40 근처) 에 구입가능한게 이런 삽질을 하게 되었네요.
사실 제가 목표로 하는 시스템 구축은 KVM 기반으로 만들어야해서 K2는 아쉽게도 그림의 떡으로 전략하였으나,
2~3일간 나름 재미있게 납땜질도 하고 개조가 성공적으로 되서 vGPU 기능을 실제로 돌려보고 나니,
나름 쓸모없는 시간은 아니였던거 같습니다.
저 말고도 저렴한 가격에 vGPU 기능이나 VDI를 실험 해 보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https://www.digikey.com/products/en?keywords=P40.2KDCCT-ND
100개 주문했는데 2개쓰고 98개 남았으니 앞으로 40개는 더 개조할수 있겠네요 ㅋㅋ
문제는 납땜을 못하는 똥손이라는.. ㅠㅠ
추천과 함께 스크랩!!!
2cpu 회원만의 특권 같습니다..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척!)
고맙습니다~
메모리/클럭 스피드는 다르게 설정되어있으나 결국 똑같은 모델이라고 볼 수 있겠죠 ㅎㅎ;
귀중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은둔고수가 너무 많은 곳이군요. 강추 드립니다.
저도 한번 도전해볼려고 합니다.
./nvflash --index={인덱스} -6 -A {파일이름}
하시면 아마 될겁니다.
너무 후다닥 지나가버렸던 부분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help 명령어를 참조하시면 쉽게 가능하실겁니다.
제 기억으로는 시스템에 따라서 PLX칩이 0번에 있을수도 있고 2번에 있을수도 있습니다.
0번이라면 1번과 2번이 GPU고,
2번이라면 0번과 1번이 GPU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