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7 |
윈도우 그림판 앱 최근소식 삭제 (2) |
총알탄사나이 |
2022-12 |
46005 |
0 |
2022-12
46005
1 총알탄사나이
|
416 |
맥 사용자 시스템 용량으로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 (3) |
wwwdjw |
2020-10 |
10711 |
0 |
2020-10
10711
1 wwwdjw
|
415 |
ubuntu 20.04 / Zabbix 5.0 LTS 설치 (1) |
딥러닝서버 |
2023-01 |
52065 |
0 |
2023-01
52065
1 딥러닝서버
|
414 |
시놀로지 Jellyfin H/W 트랜스코딩 까지 1분 완성 가이드 (9) |
화정큐삼 |
2024-09 |
14087 |
0 |
2024-09
14087
1 화정큐삼
|
413 |
[참조] Windows 8 up to Windows 10 (8) |
박현문 |
2021-11 |
7041 |
0 |
2021-11
7041
1 박현문
|
412 |
맥 사용자 맥북 초기화 방법 |
wwwdjw |
2020-10 |
9458 |
0 |
2020-10
9458
1 wwwdjw
|
411 |
SKT Tworld 데이터사용량 확인 (3) |
채영진 |
2018-05 |
23450 |
0 |
2018-05
23450
1 채영진
|
410 |
HP 600 G1 Mini NVME 부팅 개삽질기... (12) |
악마라네 |
2020-10 |
10200 |
0 |
2020-10
10200
1 악마라네
|
409 |
모토로라 블루투스 키보드 페어링하기... (5) |
안형곤 |
2012-06 |
62560 |
0 |
2012-06
62560
1 안형곤
|
408 |
우분투 20.04 백신(ClamAV) 설치 |
딥러닝서버 |
2021-11 |
10831 |
0 |
2021-11
10831
1 딥러닝서버
|
407 |
Windows 2008 R2 64bit 자동 업데이트 활성화(에러코드 80072EFE) (1) |
딥러닝서버 |
2021-11 |
11154 |
0 |
2021-11
11154
1 딥러닝서버
|
406 |
Baofeng / Quansheng 무전기 프로그래밍 케이블 자작 |
rpki |
2024-09 |
9806 |
0 |
2024-09
9806
1 rpki
|
405 |
Elasticsearch(엘라스틱서치) + Kibana(키바나) 설치 (Windows 서버) |
딥러닝서버 |
2023-02 |
34397 |
0 |
2023-02
34397
1 딥러닝서버
|
404 |
Ubuntu 20.04에 owncloud 10.11 설치 |
딥러닝서버 |
2023-02 |
24727 |
0 |
2023-02
24727
1 딥러닝서버
|
403 |
KB4524244 이슈업데이트만 간단하게 삭제하는 배치파일 (3) |
만석군 |
2020-02 |
8367 |
0 |
2020-02
8367
1 만석군
|
402 |
사업자 등록과 영업신고 내용. |
황진우 |
2020-02 |
9564 |
1 |
2020-02
9564
1 황진우
|
401 |
[Linux] ssh를 통해 여러줄의 명령어 수행 |
워니님 |
2023-03 |
20830 |
1 |
2023-03
20830
1 워니님
|
400 |
[CMM] 사진/동영상 자동 정리 프로그램 02 - 프로그램 설치 |
캔위드 |
2016-03 |
11580 |
1 |
2016-03
11580
1 캔위드
|
399 |
시놀로지 VMM에 안드로이드 7.1 설치하기 (6) |
화정큐삼 |
2020-11 |
14395 |
1 |
2020-11
14395
1 화정큐삼
|
398 |
강좌게시판에 쓰기도 민망한 글입니다만, ISP업체에서 유동 IP를 받지 못할때 (3) |
chobo |
2019-05 |
11860 |
1 |
2019-05
11860
1 chobo
|
대부분의 요즘 보드는 단일 EFI 파티션에 다중 부트로더가 존재할 경우 이걸 각각의 부트 항목으로 인식이 가능합니다
EFI:/Boot가 겹치는데, 이건 OC로 덮어써주세요
이후 멕에서 OC의 plist를 고쳐서 Windows를 추가하면 됩니다
참고로 관리가 귀찮으니 단일 디스크 추천은 안 하고, 불가피한경우 EFI/Windows/MacOSx/데이터 교환용(exFAT)/데이터1/데이터2....이런식으로 미리 계산해서 파티션 각각 생성해서 깔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건 Windows -> MacOSx순으로 설치해야 문제가 잘 안 생김)
맥과 윈도우의 설치순서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OC 단독 부팅만 모두 가능한 상태에서 bcdboot를 사용하게되면 EFI 가 최우선으로 로딩하는것이
EFI/MICROSOFT/BOOT/bootmgfw.efi 로 변경되기 때문에 OC의 멀티부팅이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이럴땐 보드 펌웨어에 부트엔트리가 변동되는것 같습니다.
클로버의 경우는 이파일을 bootmgfw-orig.efi 로 리네임하고 클로버의 efi를 이 bootmgfw.efi 와 바꾸는 방법으로 클로버 멀티부팅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https://windowsforum.kr/free/7471649
------------------------------------------------------------------------------------------------------------------------------------------
UEFI 펌웨어는 CPU가 Intel 64bit 일 경우, EFI 시스템 파티션(ESP)에서 /efi/boot/bootx64.efi 경로를 찾기로 정의해 놓았어요.
그러나 OS가 UEFI 펌웨어의 Flash Chip에 부트 엔트리를 라이트 해 놓았을 경우, 펌웨어는 Flash Chip에 기록되어있는 부트엔트리 정보를
이용해서 efi 모듈을 로드해서 실행하게 됩니다. (Windows 경우, UEFI ESP 파티션의 EFI/MICROSOFT/BOOT/BOOTMGFW.EFI)
Windows OS는 UEFI ESP 시스템 파티션을 항상 "FAT32" 형식으로 포맷해 놓는 데 여기엔 그럴만한 이유가 있고요.(다음 기회로)
바이오스에서 "Windows Boot Manager"라고 표시되는 부분이, 바로 Windows OS가 펌웨어 Flash Chip에 기록해 놓은 거죠.
부트엔트리에서 제외를 시키게 하는것 같습니다.
/efi/boot/bootx64.efi -> /efi/oc/Bootstrap/Bootstrap.efi 를 가리키며 로딩되도록 RESET NVRAM 처리과정으로 부트엔트리를 다시 기록하는것 같구요.
다시 MICROSOFT-BAK 폴더를 원복시켜서 EFI/MICROSOFT/BOOT/BOOTMGFW.EFI 를 활성화 시키지만,
부트엔트리는 여전히 /efi/oc/Bootstrap/Bootstrap.efi 를 최우선으로 가리키고 있고
여기에 윈도우 EFI/MICROSOFT/BOOT/BOOTMGFW.EFI 가 발견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OC 부트 메뉴에 편입되는듯 보입니다.
저런식으로 먼저 넣어놔도 이후 부트 과정에서 인식하면 Windows Boot Manager를 추가하고, 우선순위 지맘대로 바꾸는 경우도 있고, 심하면 bootmgrfw.efi빼곤 지맘대로 삭제하거나 이름을 지맘대로 바꾸는등 표준따윈 엿 바꾸어먹은짓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