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나스 MSATA 처럼 MSATA/SSD에 헤놀로지 부트로더 만들기
조회 10705 추천 1
https://m0n0.ch/wall/physdiskwrite.php (1579)
https://gigglehd.com/gg/hard/5517731 (846)
USB 메모리에 헤놀로지 부트로더를 만들수 있지만,
타오나스의 16GB MSATA 에 부트로더가 담겨져 오는것처럼
가지고 계신 SSD 나 MSATA 에 부트로더를 넣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기글하드웨어의 Moria님이 올리신 가이드중에서 딱 이부분만 발췌해 왔습니다.
기존 USB용으로 준비해두신 ISO 파일을 SSD 또는 MSATA에 대신 구우신다고 보시면 됩니다.
USB에는 VID / PID 값을 수정해서 grun.cfg 에 변경해 주어야 하지만, SATA 포트로 부팅될 경우는 이값을 자동으로 잡아주기 때문에
굳이 변경하지 않고 기존 것을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SATA 포트에 마운트된 드라이브에 직접 ISO WRITING을 할 수 있는 아래 physdiskwrite란 유틸을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서 준비해 주셔야 합니다.
https://m0n0.ch/wall/physdiskwrite.php
별도 SATA 물리드라이브에 ISO 파일 기록을 할수 있는 유틸이 있으시다면 그걸 이용하셔도 됩니다.
부트로더를 담을 SSD는 FDISK / CLEAN 등으로 미리 초기화를 해주십시요.
아래부터는 모리아님 설명서 입니다.
영문앱이 아니기에 화면의 가이드 대로만 똑같이 따라하시면 됩니다.
부트로더를 구우신후 정상여부는 디스크관리자로 확인하지 마시고
별도의 파티션유틸을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티션 유틸에서는 USB 메모리에 기록되는 3개의 파티션이 정상적으로 확인되실겁니다.
공간이 아깝지만, SSD의 나머지 공간은 버려집니다.
그래서 가능한 저용량의 SSD나 MSATA를 활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가끔 나가버리기도 한다고 하는군요.
재기록을 원하시거나 양품 MSATA로 교체를 원하시는분들은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위 말씀하신 모든 방법들이 다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대신 이미 가동중인 헤놀에서 PE를 사용하시는 경우는 기존 HDD가 선택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혹시 비디오스테이션이나 포토스테이션 사용하려면 어떻게해아할까요? 시리얼을 타오에서 사야하나요?
소중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윈도우를 재부팅하거나 외장SSD를 다시 마운트한경우 3개 파티션이 확인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짜투리 공간도 확인이 되는군요.
이부분 별도 포맷을 해서 활용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확인은 해보는 중입니다.^^
설치기기는 nuc 조탁 : sata 1번 기본 32기가 ssd 박혀있고 , sata 2번은 2.5인치 하드 설치가 되있습니다.
sata포트 1번을 dsm 설치시 디스크초기화 안나오게끔 해야하는데, 방법없을가요?
위 physgui 가 winpe에서 작동이안되, DiskImage_1_6_WinAll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대체해서 사용했습니다.
저도 저용량 SSD가 없어서 128G SSD로 시험중인데, 말씀대로 DSM설치시 같이 초기화가 되어버리는군요.
아래 모리아님은 24GB MSATA를 사용하셨네요. 타오나스엔 16GB MSATA가 딸려오는걸로 알고 있구요.
드라이브 여유용량이 30GB라는 분기점이 상관관계가 있을지도 모를것 같네요.
저도 32GB MSATA / SSD를 판매란에서 주문해서 차주에는 도착이 될것 같습니다.
저용량 SSD로는 어떤결과가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UPDATE시 오류가 안나게 하려면 SSH 접속해서 SSD 부트로더 파티션 링크를 ln 명령어로 따로 잡아야 하는 귀찮은 점이 있긴하네요.
링크 처리 방법은 아래 가이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타오나스 기본 mSATA 상태에서 DSM 업데이트 하기]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5376524
-----------------------------------------------------------------------------------------------------------------------
-> 이하 모리아님 설명
연결을 누르고 다음을 한번인가 두번 누르면 DSM 설치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최신 DSM을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설치하지 마시고, 미리 준비해둔 DSM파일을 업로드해줍니다. 없으면 다운받아서 하시면 되고요. 이떄 디스크 포맷 실패(35) 오류가 뜰 수 있는데, 이는 드라이브 여유 용량이 30GB보다 작아서 발생하는듯 합니다. 해결방법은 nas에 장착하려던 HDD 하나를 꽂아두고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BIOS에서 SATA 옵션을 AHCI대신 IDE로 바꿔보라는 의견도 있었는데, 저는 그렇게 하면 랜쪽이 죽어버려서 아예 연결이 안되기때문에 IDE가 답은 아니었습니다.
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nas&no=36575
이 내용은 고용량 SSD 부트로더를 사용했을때 초기화로 부팅 파티션이 손실된걸 다시 복원하고
나머지 용량은 시스템 파티션 설치에 활용했다는것 같네요.
DSM 시스템 파티션에 활용했다는것 보다는 @appstore 패키지가 설치될 메인 파티션으로 활용했다는 의미 같습니다.
이외에 작동에 애먹이는 경우 (위에도 보이네요)도 있습니다 (디스크 밀지 않더라도 업데이트만 해도 잘 꼬임)
마운트된 볼륨은 일단 언마운트(추출)처리를 먼저 하시고 아래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sudo dd if=./synoboot_104b_ds918_6.2.3_0x5571_i88_0.12.1_patch_for_H310_2nd.img of=/dev/disk3 bs=1m
결과는 아래처럼 메시지가 나옵니다.
> 50+0 records in
50+0 records out
52428800 bytes transferred in 14.663632 secs (3575431 bytes/sec)
disk3s1 파티션에 EFI 파티션인 NO NAME 볼륨을 다시 마운트해서 확인하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