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놀로지 RedPill tinyCore Native DSM 7.0.1 적용 가이드(root사용금지)

   조회 28130   추천 12    

안녕하세요.

작년부터 공개된 기존 RedPill 은 리눅스가 별도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만 직접 부트로더의 컴파일 과정을 통해서 IMG 파일의 생성이 가능하지만,

이 tinyCore RedPill의 경우는 USB 부팅이미지 형태로 tinyCore Linux 까지 아예 같이 제공이 되기 때문에

linux를 별도 설치해서 준비할 필요없이 작업이 훨씬 수월합니다.


기존처럼 원하는 드라이버를 취사선택헤서 직접 추가한후 빌드 할 수 있습니다.

tinycore 0.4.6는 4가지+a 모델을지원합니다.(DS3622xs+/DS918+/DS3615xs/DS3617xs/DS1621+/DV3221 등)

이미지를 다시만들지않고도 지속적으로 부트로더를 자체 변경가능합니다.(모델/sn/mac등)

tinycore는 img와 vmdk 두가지를 모두 지원합니다.


1.부트로더 IMG 파일 준비

아래 깃험링크의 중간에 Download 버튼으로 .gz 파일을 내려받으시고 

그안에 0.4.5 버전 img.gz 파일을 한번더 압축해제해서 img 파일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체 파일)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

(LEGACY / EFI 용)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raw/main/tinycore-redpill.v0.4.6.img.gz

(VMWARE 용)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raw/main/tinycore-redpill.v0.4.6.vmdk.gz


2.부트로더 IMG 파일 USB 레코딩

WinImage나 rufus 등 편하신 이미지툴로 위 tinycore-redpill.v0.4.5.img 파일을 사용해서 USB로 굽습니다.

JUN로더 처럼 VID/PID/시리얼/MAC/SATAPortMap 수정을 위해 configuration 파일을 사전조정해 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처럼 맥이나 리눅스에서 USB 이미지 만드실 분은 터미널에서 아래 DD커맨드 활용하셔도 됩니다.

(diskutil 에서 확인된 USB의 DEVICE ID가 disk4 라고 가정했을때)

sudo diskutil unmountDisk /dev/disk4

sudo dd if=/Users/MyAccount/Downloads/tinycore-redpill.v0.4.5.img of=/dev/disk4 bs=1m

sudo diskutil eject /dev/disk4


3.tinyCore Linux 부팅

헤놀로지로 사용하실 PC에 꽂아서 USB 부팅 (UEFI 1 파티션 또는 USB CSM 사용부팅 가능)

tinyCore Linux ( tinyCore Image Build 메뉴) 가 실행되어 뜹니다. 

여기서 맨우측 아이콘 터미널앱을 실행합니다.

ifconfig로  en0 랜카드이 자동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tinyCore Linux 화면]


4.SSH 접속후 CONFIG 조정

헤놀로지가 아닌 다른 PC에서 putty 등으로 ssh 접속합니다. ( id:tc / pass : P@ssw0rd )

접속후 


tc@box:~$ ./rploader.sh update  


tinycore Redpill은 지금도 계속 안정화가 진행되어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로더의 원작자인 PocoPico님이 수시로 버그를 수정해서 리빌드를 공지합니다.

이 리빌드가 수시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에

최종 이미지 버전인 0.4.6를 사용하더라도 계속 그안에서 변경사항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받을 수가 있습니다.

때로는 rploader.sh 파일 자체도 버그가 있다면 변경이 됩니다.

(최근에는 DS3622xs+ 의 종료 및 리부팅 불가 현상으로 인한 패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처음 사용하시기 전에 꼭 아래 update 옵션으로 최종 패치상태를 한번 내려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기존 JUN헤놀로지에서 마이그레이션이 계속되신 분들은 바로

tc@box:~$vi user_config.json 로

user_config.json 파일의 VID/PID/Sn/Mac/SataPortMap 등을 기존 grub.cfg를 참조하셔서 그대로 옮겨 넣습니다.

신규로 설치하실 분들은 아래처럼, 시리얼 GEN / USB VID,PID 자동 Detect, SataPortMap 자동 Detect 등을 수행해서 잡아줍니다.

이후 과정은 현재 가장 안정회가 먼저 진행중인 DS3622xs+.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tc@box:~$ ./rploader.sh serialgen DS3622xs+

tc@box:~$ ./rploader.sh identifyusb 

tc@box:~$ ./rploader.sh satamap  (HBA 카드 유저는 불필요)

user_config.json 의 내용이 자동으로 바뀌어 있는것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존 사용자, 신규 설치자 공통사항으로

tc@box:~$ cat user_config.json 하셔서 내장 Sata 포트가 4개로 가정했을때

SataPortMap = "4",

DiskIdxMap = "00"   

등으로 잘 바뀌어 있는지 확인 주시기 바랍니다.

find.synology.com 이후 DSM 설치과정에서 SATA HDD를 못찾아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6포트 SATA 추가확장카드가 장착되었을 경우의 예시값은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SataPortMap = "46",

DiskIdxMap = "0000"   

( H200, H310, H710 등의 카드를 쓰시는 분들은 예외적으로 이 SataPortMap 과 DiskIdxMap 자체를 옵션을 지우고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vi 에디터로 위 두 옵션의 라인 자체를 지워주시고 마지막 , 로 끝나서 Syntex 오류만 나지 않도록 않도록 잘 정리해 주십시요. 당연히 

./rploader.sh satamap  커맨드는 불필요 합니다.)


5.BIOS 내장 SATA 포트 Hot Plug disable -> enable 처리 (중요)

위에서 설정한 SataPortMap 맵 수치가 DSM 설치과정에서 물리적으로 Sata 케이블로 연결된 HDD의 숫자만큼 임시로 줄이는 과정을 피하시려면

반드시 Hot Plug 기능을 켜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두시면 위에 자동으로 잡힌 수치의 SataPortMap 숫자대로 정상인식 동작하며 HDD는 찾지 못한다는 에러 메시지를 만날 확률이 줄어듭니다.

TheSTREET님이 강조하신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www.2cpu.co.kr/nas/37891


7.SSH 접속후 부트로더 빌드

지원되는 플랫폼은 아래와 같으며, DS918은 apollolake, DS3615xs는 bromolow, DS3617xs는 broadwell , ds3622xs+는 broadwellnk 입니다. 

[지원 플랫폼 목록] ( 아래 리스트는 0.4.4 기준 입니다)


위 확장 드라이버 추가 과정이 끝났으면 마지막으로 부트로더 빌드를 합니다.

지원되는 목록은 위 확장드라이버에 첨부한 이미지와 동일합니다.


tc@box:~$ ./rploader.sh build broadwellnk-7.0.1-42218


8.부트로더 사용 

위에서 빌드를 정상적으로 마친이후, 아래 명령으로 설정 백업 및 USB로 헤놀로지를 재부팅 합니다.

tc@box:~$ filetool.sh -b &&/usr/bin/exitcheck.sh

또는

tc@box:~$ ./rploader.sh backup  

tc@box:~$ sudo reboot 

하셔도 같은 효과 같습니다.

백업된 설정값이나 ext 드라이버가 그대로 남아서 

수정을 위한 다음 Tiny Core Image Build 부팅때 셋팅값이 mydata.tgz 파일로부터 그대로 복원되서 남아 있습니다. 

( 4초내 자동진입하는 기능의 기본 설정은 맨위의 USB, Verbose 입니다. 따로 키보드로 일부러 건드리시지만 않는다면 USB 모드로 자동 진입됩니다.)



헤놀로지 PC 부팅후 화면에

기존 RedPill의 경우 기존 jun로더 처럼 find.synology.com 으로 찾으라는 메시지가 나오지만

이 tinyCore의 경우는  

Decompressing Linux... Parsing ELF... done.

Booting the kernel.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약 IP할당에서 1~2분의 딜레이가 있으니 약간 기다려 주시면 좋습니다.

이상태에서 다른 PC에서 find.synology.com 로 찾으시면 헤놀로지 IP 찾아집니다. 

이후는 기존 헤놀로지 작업하시던데로 시놀로지 DSM 설치과정 진행하시면 됩니다.

image
쿠쟝 2022-02
혹시 타이니코어 굽고 -> 부팅 -> 빌드, 드라이버 추가한뒤 생기는 부트로더는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아니면 기기 전용으로 빌드되서 다른 장비에서는 사용 불가능할까요?
화정큐삼 2022-02
DS918p은 apollolake, DS3615xs는 bromolow, DS3617xs는 broadwell 였네요.
위에 쿠쟝님은 DS918p / DS3615xs /  DS3617xs 를 한 부트로더에 올려두고 사용하시고 싶으신것 같습니다만,
제가 DS918p를 빌드한 부트로더에 DS3615xs 를 다시 빌드했더니,
위 GNU GRUB 메뉴에서 둘다 나타날줄 알았는데,
마지막 빌드 한것으로 덮어져 버리네요.
DS3615xs 로 변경 되었습니다.

그리고 DS3617xs 빌드를 위해서 
./rploader.sh build boradwell-7.0.1-42218 을 해봤는데
중간에 드라이버가 이미 존재한다면서 컴파일 오류가 나버리네요.
이부분은 좀더 확인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한가지 더 확인된것은 꼭 다른PC에서 PUTTY로 SSH로 접근해서 커맨드 작업 하셔야 하진 않습니다.
tinyCore 터미널 창 상에서도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바로 위 빌드 명령어 직접 입력해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쿠쟝 2022-02
아하 어느정도 범용으로 쓸수는 있는데
삽질이 좀 필요하겠군요
감자 2022-02
귀한 강좌 감사 드립니다
stones 2022-02
감사드립니다
기존 6.2.2 다엎고 새로 해봐야겠네요 ^^
처버 2022-02
오!
감사합니다
프로시아 2022-02
혹시나 다운받는거 쪼개기 다운받기 힘드실까봐 링크 따로 올렸습니다.
http://file.minho.kr/tinycore-redpill.v0.4.4.img.zip
분할파일이랑 동일 파일 입니다.
글 내용에 추가 해주셔도 괜찬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감사합니다. 본문에 추가토록 하겠습니다.^^
          
프로시아 2022-02
오옷 업데이트 되었군요.
혹시 https://file.minho.kr/tinycore-redpill.v0.4.4.img.zip 수정가능할까요?
바로 다운받을려고하니깐 http라서 다운이 안되네요. https로 하면 바로 다운이 될꺼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댓글주신걸 이제야 봤네요.
http 를 https 로 수정했습니다. 바로 다운이 되느군요.
감사합니다.^^
화정큐삼 2022-02
./rploader.sh 만 수행해 보시면 Usage 와
Available platform versions 이 리스트업 되서 나옵니다.
그중에 유용한 옵션들이 몇몇 보이는것 같은데요.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uto

드라이버도 일일이 하나씩 찾아넣지 않고 AUTO DETECT 하는 기능도 있는것 같습니다만,
아직 저로서도 시험 검증이 되지 않아서 본문의 가이드엔 포함시키지 않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시험해 보실분들은 사용해 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토리 2022-02
강좌 감사합니다... 주말에 한번 진행해봐야겠네요..
강기창 2022-02
한번 써보고 싶었는데...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화정큐삼 2022-02
SSH 로 한번 접속한 IP 주소에 재빌드를 위해 또한번 접속시 host key가 다르다며 밴 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맥이나 리눅스인 경우만 해당될듯 한데요.
그럴땐 아래 명령어로 known_hosts 파일을 지워주세요.
sudo rm ~/.ssh/known_hosts
화정큐삼 2022-02
Redpill 에선 SataPortMap 수치가 상당히 민감한 사항 같습니다.
DSM 설치의 성공여부를 판가름 짓기도 하고 여러 변수가 많네요.
아직 RedPill tinyCore 에 대한 노하우가 많이 축적되어 있진 않은것 같습니다만.
기존 RedPill 에서 출발한 것이기에 호환성은 크게 다르지 않을것 같기도 합니다.

ASROCK E3C232D4U 웍스보드상에선 내장 SATA 6포트에 SataPortMap 값을 6 또는 1로 변경해 가며 시도했는데,
"파일 설치 실패. 파일이 손상된것 같습니다" 메시지로 설치 진행이 불가합니다.
USB 메모리도 바꿔보았고 여러 방법을 시도해 봤지만 이 웍스보드의 내장 SATA 칩셋 호환성 문제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현재, MSI H97M-G43 보드에선 SataPortMap 값 6 에선 또 오류가 나서 1로 임시 다운시키고
DSM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SATA 칩셋 호환성에 대해선 노하우가 어디에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블랙펄 2022-02
E3C232D4U 바이오스는 디폴트값. 제가 이보드로 직접테스트 했는데 dsm7 한방에.설치.됬습니다. 이 자료에.있는 img가아닌 다른곳에 있는 인텔랜만 적용한 img로 설치했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tinyCore용이 아닌 오리지널 레드필 이미지는 되나 보군요.
저도 받아둔건 있었는데요.
이따 저녁에 다시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화정큐삼 2022-02
블랙펄님 도움을 받아서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tinyCore 버전은 아니고 오리지널 버전 RedPill 입니다.
DS3615xs 는 7.0.1 설치 성공했습니다만,
DS918+ 는 파일손상 메시지와 함께 실패했습니다. 아직도 원인을 찾는중입니다.
(단, 특이점인 조금전 위해서 DS3615xs 설치성공한 HDD를 그대로 DS918+ 부트로더로 바꿔서 설치가 들어갔는데,
마이그레이션 메시지를 기대했는데, 초기화된 디스크처럼 나타나고 있는것도 좀 의심스럽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DS3615xs 는 여기 공유드린 TinyCore 레드필로 바꿔보았는데,
역시 같은 레드필 기반이라서 그런지 이것도 설치 성공했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E3C232D4U 에서는 DS918+ 네이티브로 설치하는건 일단 접습니다.
오류사항과 SATA포트 SCSI STATUS ( lsscsi -Hv ) 와 USB STATUS ( lsusb -v 2>&1|grep -B 33 -A 52 SCSI)  를
잘 정리해서 원작자인 pocopico님께 직접 문의드려볼 생각입니다.
( https://xpenology.com/forum/topic/53817-redpill-tinycore-loader )
pocopico님이 .pat 파일손상 메시지가 나타났을때 telnet 으로 헤놀로지 접속해서 로그를 떠달라고 하시던데,
이건 할줄을 몰라서 좀더 찾아봐야 할것 같구요.

대신 VMWARE EXSI 6.7 U2 로 DS918+ 올리는건 성공했습니다.
HDD는 RDM(Raw Device Mappings) 방식으로 붙여서 SHR 할 생각입니다.
금일 2차 백업 헤놀을 조립마칠 계획입니다.^^
                         
화정큐삼 2022-02
E3C232D4U 에서는 DS918+ 네이티브 설치 성공했습니다.
CSM 부팅으로 진행했고 SataPortMap=1 로 다시 바꾸었고
실제 내장 SATA 포트 1번에만 SSD 1장을 장착했습니다.
지난번도 이렇게 동일하게 시험을 했을때 55% 오류가 나서 맨 아래 금일 팁 확인된 사항으로 인터넷을 끊어볼 생각였는데요.
이번엔 한번에 설치가 되버리는군요.
POCOPICO 님에 빌드시 다운로드되는 무언가에 조정을 하신게 아닌가도 싶습니다.
인터넷을 끊어버리라는 이유가 다운로드 받아야 할 무언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넘기기 위해서라고 들었는데요.
이걸 해결해버린것 같습니다. 55% 오류는 이후로도 계속 보고가 되는지는 더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설치완료 후엔 위  MSI H97M-G43 보드 에서 한것처럼 임시로 내렸던 SataPortMap=1 을 SataPortMap=6으로 원복하고
시놀로지 정상로그인 진입되었습니다.
나비z 2022-02
vmware로 사용 중인데,
이건 적용 못하는 것이지요?
     
화정큐삼 2022-02
vmware 용도 시작부분은 네이티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아래 덕소님 vmware용 가이드 부분을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vmware용 이미지 화일도 이 링크따라가 보시면 같이 있습니다.
https://svrforum.com/nas/148593
          
화정큐삼 2022-02
저도 vmware esxi 를 금일 처음 설치해 봤습니다.
6.7 버전을 추천한다고 해서 오래전에 받아두었던 6.7 버전으로 라이센스 추가하고 정상 설치 마쳤습니다.
위 덕소님 설명하고 조금 다른 부분이 있는데요.
기존 하드추가로 1GB 사이즈로 보이는 변환된 redpill-tinycore.vmdk 을 선택하시고 나서 부팅 옵션은 기본 설정인 EFI 로 선택된 경우는 부팅이 불가 했습니다.
BIOS로 변경한 상태에서는 tinycore linux 가 정상으로 부팅되는군요.
               
화정큐삼 2022-02
esxi 이미 잘 쓰시는분들은 필요 없으시겠지만,
저처럼 새로 시도하시는분들을 위한 팁으로 올립니다.
"t10.ATA_____WDC_WD20EARS2D00MVWB0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CAZA4491851" 가 제 WD 2TB HDD 장치 id 입니다.
(외장HDD로 구입히 10년 가까이 되었고 처박아 두었다가 7년만에 적출한건데 배드가 의심되는 상태)

[RDM용 vmdk 마운트 이미지 생성 커맨드, -r(가상호환성) 옵션 2TB까지 그 이상은 -z(물리적호환성) 옵션]
vmkfstools -r /vmfs/devices/disks/t10.ATA_____WDC_WD20EARS2D00MVWB0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CAZA4491851 /vmfs/volumes/DS_Data/NAS7/hdd01_2tb.vmdk

[HDD 장치ID 리스트업 커맨드]
esxcli storage core device list

[HDD S.M.A.R.T 검사 내부커맨드]
esxcli storage core device smart get -d t10.ATA_____WDC_WD20EARS2D00MVWB0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CAZA4491851

[HDD S.M.A.R.T 검사 smartctl 유틸 커맨드]
/opt/smartmontools/smartctl -d sat --all /dev/disks/t10.ATA_____WDC_WD20EARS2D00MVWB0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CAZA4491851

[HDD S.M.A.R.T 검사 smartctl 유틸 커맨드 (smart 스위치 on처리)]
/opt/smartmontools/smartctl -s on -d sat --all /dev/disks/t10.ATA_____WDC_WD20EARS2D00MVWB0_________________________WD2DWCAZA4491851
                    
화정큐삼 2022-02
제일 중요한 exsi 부팅시 헤놀로지 VM 자동부팅 관련
[VMWare Tools 설치 방법] SSH 접속후 - (도커 사전설치 및 START 필요)

원본소스 깃헙위치 (참조용)
https://github.com/yale-wp/docker-xpenology-open-vm-tools

sudo mkdir /root/.ssh
sudo docker run -d --restart=always --net=host -v /root/.ssh/:/root/.ssh/ --name open-vm-tools yalewp/xpenology-open-vm-tools

VMWare Tools 설치후 Debian GNU/Linux 9(64비트) 로 게스트 운영체제 변경 ( 처음부터 기타 Linux 4.x 이상(64비트) 대신 선택되도 무방함)
 - 게스트 OS가 안맞는다는 태클 메시지를 지우기 위함임 -

VM 자동시작 방법은 아래 블로그 참조
https://blog.naver.com/youbin0851/222557109300

요새는 WEB 버전 VMWare Esxi 클라이언트가 지원되서 과거같이 단순 VM 자동시작만 설정하는데는 vSphere Client의 설치까지 필요 없습니다.
vSphere Client 설치해야 하는줄 알고 삽질로 시간 한참 날렸습니다. ㅜㅜ
VM Tools만 설치되면 더 설치해야할 준비물은 끝입니다.
                         
화정큐삼 2022-02
VM Tools 를 시놀로지 패키지 설치파일 spk 형태로 제공하는 버전도 찾았습니다.
7.0에 대응되어 있고, DS918+, DS3516xs, DS3617xs 용이 각각 다릅니다.
https://github.com/Grandma-Betty/synology-dsm-open-vm-tools/releases
하민파파 2022-02
와 감사!!
우와...감사합니다.
그동안 준으로 6.1.2.로 만들었는데...
드디어...7.0으로 넘어갈수 있겠네요.
Sikieiki 2022-02
강좌 글 덕분에 겨우겨우 설치에는 성공했습니다 노고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딱 하나 안되는 부분이 있어 염치를 무릅쓰고 문의를 드려봅니다.....

h200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메인보드에 6포트 중 4포트만 사용하기 위해
sataport를 48 로 적용하고 idx는 0800으로 설정했습니다 (레이트 카드의 하드를 먼저 띄우기 위해)

그런데 도무지 해도 h200카드에 잡힌 하드가 올라오지를 않는군요.....
pci0번 슬롯에 첼시오 10g듀얼 1장이 꽃혀있고
1번 슬롯은 공란
2번 슬롯에 h200이 장착이 되어있습니다만

혹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sataportmap을 408 로 해볼까요....?

918은 무한 복구가 떠서 3615로 작업을 하였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저도 H310을 메인헤놀과 백업해놀에 둘다 사용하고 있어서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아래 tinycore의 원작자인 pocopico님 토픽에 어제부터 계속 붙어서 34페이지의 댓글을 모두 읽어봤습니다.
https://xpenology.com/forum/topic/53817-redpill-tinycore-loader
결론은 H200도 마찬가지겠지만 H310을 포함해서 JUN 로더처럼  mpt2sas, mpt3sas 드라이버를 제대로 올려주지 못하는 상태 같습니다.
아마 빌드시에는 mpt2sas 나 mpt3sas 드라이버를 자동추가 받으셨을것 같구요.

H310인 경우는 mpt3sas 가 자동추가 됩니다만, 포코피코님은 mpt2sas 를 별도추가해보라고 해서 그대로 해보신분들도 결과는 마찬가지 였습니다.
mptsas / mpt2sas / mpt3sas 에 aacraid 까지 싹다 추가해 봐도 달라지는게 없습니다.
918은 무한설치가 반복되고, 3615xs 에서는 일부 안정화를 보셨다는 분도 보이는듯 한데요.

위 에러상황에서 telnet으로 접속해서 로그까지 분석해서 포코피코님께 확인해 달라고 요청이 들어갔는데,
드라이버가 로딩되는것과 관련있다는 두번째 파티션의 마운트가 떨어지는것 같다고 이상하다 했더니
포코피코님 그럴리 없다고 그냥 잘라서 답변하고 더 분석을 안하시는듯 보였습니다.

아직은 IT 모드로 전환해서 쓰고 계시는 H200, H310 등의 드라이버 안정화는 다음버전 나올때까지 좀더 기다려 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Sikieiki 2022-02
그...렇군요...정말 빠르신 답변 감사합니다....
          
Sikieiki 2022-02
혹시 원본 REDPILL은 정상로 돌아가는건가요?
               
화정큐삼 2022-02
tinycore Redpill 도 기반이 기존 Redpill 과 같아서 상황은 같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헤놀로지 포럼에서도 꼭 7.0.1 쓰시고 싶으신분들은 임시방편으로 SATA PCIE 카드로 대체하고 계신분도 있었습니다.
저도 임시로 그방법을 생각중이긴 합니다. 나중에 안정화 되었을때 SATA 카드만 교체하면 되니까요.
11qkr 2022-02
정보 감사 합니다
기존 원본 redpill 잘쓰고 있었는데  이방법이 편리한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redpill 설치시 문제가 발생했을때 telnet으로 접속해서 원인을 찾아보는 방법이 있는것 같습니다.
tinycore 레드필 원 제작자인 POCOPICO 님이 소개해 두셨네요.
https://xpenology.com/forum/topic/54694-howto-synology-start-telnetd-service-when-you-want-to-troubleshoot/

텔넷 서비스 시작은 아래처럼 들어가서 하면 되나 봅니다. 오늘 집에 퇴근하면 시험해볼 생각입니다.
http://<your-dsm-ip-address>:5000/webman/start_telnet.cgi
그리고, 텔넷 접속 계정은 root 에 암호 없이 접속합니다.

그리고, DSM 설치시 55%에서 멈추는 현상을 넘어가려면 인터넷을 끊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네요.
이것도 시험 되시는분은 한번 결과 부탁드립니다.
     
11qkr 2022-02
안녕하세요
파일로 만드는 빌드 방법좀 아시면 부탁 드립니다
-보관을 어떻게 해야 좋은지 >
- 나만의 usb 백업은 어떻게 하는지 ?
---> img 파일로 만들면 osfmount로 수정 가능한지요 ?
---> USB 가 8g 라 너무 커셔 (1g/2g어느것이 적장한지요 구매하고자)
--> 빌드가 많이 반복은 않되지만  업데이트 파일을 보관하고자 합니다,
...정보 감사 합니다,,
오늘도 이놈을가지고 구형 노트북을 테스트해봤습니다,,,,
참고로 JS3455 계열은  SATA 연결이 안되네요,,,,
          
화정큐삼 2022-02
위에 7번으로 설명 드렸듯이
./rploader.sh backup now
커맨드로는 최종 설정상태만 백업이 가능합니다.
img 파일로 다시 보관을 하실 필요성가 있으신지 모르겠는데요.
티니코어용으로 만들어진 USB를 윈도우에서 열어 보셨는지요?
기존 JUN로더와 달리 파티션들이 모두 드라이버명 할당된 상태로 쉽게모두 오픈되어 있습니다.
USB는 시중에서도 8GB 정도가 최저용량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시 알아보니 시중에는 4GB가 일반적으로 최저 용량이네요.)
그래도 img 파일로 꼭 보관하고 싶으시다면 USB스틱 to img 파일로 만들기위에 Winimage를 쓰면 되지 않을까요?
화정큐삼 2022-02
9시간전에 POCOPICO 님이  위 0.4.4 버전에서 0.4.5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셨다고 했네요.
DS3622xs+ 대한 보완사항이 3가지 이고, 그외 기타사항 2가지 인것 같습니다.
위 이미지는 한번 교체시험해보고 다시 공유 드리겠습니다.

pocopico
Super Member

Hi all,
there is an update for tinycore redpill and version has been shifted to version 0.4.5. Both vmdk and raw boot images have been updated as well. Some fixes have been implemented and the platform DS3622xs+ is integrated.

- Serial number generation for DS3622xs+
- Module / extension detection is now separated to version 3 and version 4 kernels to avoid conflicting module identification.
- EFI boot should work
- Static redpill module for DS3622xs+ has been created and the extension is updated
- Module extensions have been created for DS3622xs+ but still need some testing.
     
화정큐삼 2022-02
H200 / H310 카드 이슈와 관련된 진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mpt3sas 드라이버와 관련된 변경사항의 디버그 모니터링을 POCOPICO 님이 요청하셨네요.
저도 저녁에 집에 돌아가면 로더 변경해서 시험해 봐야 겠습니다.
SSH 접속해서 lsscsi -Hv 명령으로 위 카드에 대한 포트 4개 / 8개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먼가 진전이 있을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당장 사용해 보시고 싶으신분은 아래 깃헙에서 직접 다운받으셔도 됩니다.
사용법은 우측상단에 Code -> Download Zip 하셔서 Zip으로 내려받으시고 그안에 0.4.5 버전 img / vmdk 압축해제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
               
Sikieiki 2022-02
3615로 테스트 해보니 이번에는 랜카드도 안잡히네요
또 한두시간 주물럭 해야할듯....
아직 h200카드가 isscsi 했을때 올라오지 않네요
화정큐삼 2022-02
H310 에 시험으로 SSD 1개만 붙여서 설치성공 했습니다.
시간이 없어서 HDD로 바꿔서 더 붙이고 다양한 시험은 아직 못했습니다.
복합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 일단 내장SATA는 죽이고 H310만 가지고 시험한 결과입니다.

성공(i3-4160T/DT-H81DL GAIDA/RealTek r8111F/Dell Perc H310/DS918+)
CPU : i3-4160T
M/B : DT-H81DL GAIDA (비아코 미니본체 베어본에서 적출보드)
LAN : RealTek r8111F DUAL
RAID : Dell Perc H310

모델 : DS918+
SataPortMap : 1
SasIdxMap : 00
확장드라이버 : r8169, mpt3sas

내장SATA disable ,  H310 SDD 1개만 장착
정상작동 확인 특이사항없이 잘됩니다.
랜 인식정상
     
Sikieiki 2022-02
저도 3615 말고 918로 한번 테스트해봐야겠네요
노고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타이니코어에서 lsscsi 하시면 볼륨이 올라오긴 하시나요?
저같은 경우는 타이니코어에서는 올라오지를 않다보니....
          
화정큐삼 2022-02
lsscsi 커맨드가 가능한 경우는 타이니코어 리눅스로 접속했을때만 가능했습니다.
위에 팁드린 텔넷 비상접속시에도 이 커맨드는 불가했구요.
시놀로지 SSH나 텔넷접속시에도 불가했습니다.
fdisk -l 로는 좀 정보가 알아보기가 좀 힘들구요.
smartctl -a -d sat /dev/sda 등은 상세하게는 나오는데 디스크 하나씩 떠봐야하는 불편함이 있네요.
synoxxxx 커맨드등 싹다 리스트업 할수 있는 커맨드를 잘 못찾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ds918+ 에 H310 만 가지고 확장테스트한 결과는 안타까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sata HDD 4개를 장착하고 sataportmap 수치를 0에서 9가지 다양하게 바꿔보았습니다.
결론은 smart 정보를 완벽하게 연동하지 못합니다. 4개중 1개 또는 2개 정도만 smart연동이 되고 나머지는 불가능한채로 디스크명 앞에 null이 붙습니다.
시리얼도 V로시작하는 가상시리얼처럼 나타나는데 일단 이런 시리얼 이라도 보이면 정상볼륨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치 jun 로더때 확장 드라이버 0.13.3 버전의 mpt3sas.ko 드라이버의 smart이슈때와 유사한 상황처럼 느껴집니다.
헤놀로지 포럼에는 아직 포코피코님께 이 버그라포팅이 올라가진 못했구요. mpt3sas 이슈 보다는 ahci 드라이버의 내장 sata포트 이슈도 해결이 안되서 이쪽부터 집중하시는것 같아보였습니다.
양쪽다 병행해 달라고 푸쉬하기엔 좀 미안해서 상황좀 지켜보려 합니다.
     
화정큐삼 2022-02
DS3622xs 에 DELL T420 + DELL H710로 성공하신분 사례가 제 질문글 바로 위에 올라 왔네요.
H310의 제 에러상황은 POCOPICO님께 직접 문의 올렸습니다.
https://xpenology.com/forum/topic/53817-redpill-tinycore-loader/?do=findComment&comment=266359
stones 2022-02
HP n54L에서 한방에 성공했네요..ㅎㅎ
화정큐삼님 감사드립니다...^^
설치후 하드 옮기니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도 자연스레 되어..
별 설정 필요도 없이 7.0.1 42218 update2로 옮겼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HP n54L의 스펙을 잘 모르겠으나 IR모드의 RAID 카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나요?
디스크정보 에서 S.M.A.R.T 이슈는 없나요?
DS3622xs+ 상에서 제 H310 의 HDD 들은 그래서 불량섹터를 표시하지 못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상세정보(heath info)상의 상세 S.M.A.R.T 에 아무 정보를 보이지 못하고 있어서
이부분을 pocopico님께 문의해 보려 하고 있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위 이슈는 헤놀로지 포럼에 포코피코님께 문의 올려둔 상태입니다. 답변 기다리고 있습니다.

https://xpenology.com/forum/topic/56872-develop-and-refine-the-ds3622xs-loader/?do=findComment&comment=266772
화정큐삼 2022-02
물리 파워버튼으로 종료가 안되던 현상도 해결된것 같습니다.
신규로 빌드하시면 아래 acpid 드라이버도 자동추가 되네요.

금일 빌드해보니 못보전 드라이버가 자동 추가 되고 있네요.
이 드라이버가 물리적 전원버튼과 연관이 있을것 같습니다.

[#] ========================================== jg.acpid ==========================================
[#] Extension name: ACPI Daemon
[#] Description: ACPI Daemon that handles power button events
[#] To get help visit: https://github.com/jimmyGALLAND/redpill-ext/raw/master/acpid
[#] Extension preparer/packer: https://github.com/jimmyGALLAND/redpill-ext/raw/master/acpid
[#] Software author: https://sourceforge.net/projects/acpid2/
[#] Update URL: https://github.com/jimmyGALLAND/redpill-ext/raw/master/acpid/rpext-index.json
[#] Platforms supported: ds3617xs_25556u2 ds3617xs_42218 ds3615xs_25556u2 ds3617xs_25556 ds918p_25556 ds3622xsp_42218 ds3617xs_42218u2 ds3615xs_25556 ds36222xsp_42218u2 ds918p_42218 ds918p_25556u2 ds3615xs_42218
[#] =======================================================================================
화정큐삼 2022-02
tc(tinicore) rp(redpill) 드라이버도 Version : 0.4.5.2 로 또 버전업 되었습니다.
앞으론 줄여서 부르겠습니다. 헤놀포럼에서도 이렇게 쓰네요.
딱히 릴리즈에 대한 노트가 없어서 깃헙에 변화된 사항으로 추측컨데, FS6400 기종에 대한 시리얼젠 기능만 하나더 추가한것 같습니다.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
화정큐삼 2022-02
헤놀포럼의 엔준님 8시간전 보고에 의하면
DS3622xs+ 에서 qbittorrent 를 사용했을 때, RAM(메모리) 오버플로 현상이 아직도 완전히 해소된것이 아닌것 같습니다.
(특이 환경 Proxmox 사용, RAM 40G 할당),  나중에 보니 메모리가 꽉 차면 기본적으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재부팅이 일어납니다.
DS3622xs+의 synoinfo.conf 화일내 support_memory_compatibility=yes 가 영향을 주는것 같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DSM 설치시 설치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중단된경우
헤놀로지를 물리파워버튼을 자꾸 종료하시면 HDD에 무리가 갈수 있으니,
가급적 telnet 으로 접속하셔서 sudo poweroff 또는 sudo reboot 로 종료하시거나 재부팅을 권장드립니다.

(웹브라우져 DiskStation telnet on 처리)
http://192.168.X.Y:5000/webman/start_telnet.cgi

(putty 등 콘솔에서 telnet 192.168.X.Y 로 접속
복구외 일반상태 ( root / 암호없음 )
복구모드시 ( root / 101-0101 )
화정큐삼 2022-03
어제 날짜로 LEGACY용만 있었는데 UEFI용 이미지도 새로 올라 왔습니다
LEGACY용으로도 UEFI 부팅은 가능했던것 같은데, 에러가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이거만드신다고 POCOPICO님이 몇일간 잠잠하셨나 보네요. ㅎㅎ

(UEFI 용)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blob/main/tinycore-redpill-uefi.v0.4.5.img.gz
긍정마왕 2022-03
감사합니다 덕분에 무사히 7.0.1로 올렸네요.
asrock j5005-itx 입니다.
     
화정큐삼 2022-03
툴체인 강좌를 이제막 올리려 했는데, 먼저 타이니로 시도하셨네요.
성공 축하드립니다.^^
FOXBI 2022-03
감사합니다 덕분에 마이그레이션 잘 마쳤습니다 ^^
화정큐삼 2022-03
기존 0.4.4 이미지 그 이전버전을 사용하셨던 분들은 일부로 0.4.5로 다시 USB에 구우실 필요가 없네요.
0.4.4 안에서도 ./rploader.sh update now 하면 0.4.5.2 로 변경 됩니다.
송진홍 2022-03
이야.. 이제 부트로더 제작이 훨씬 간편해 졌네요..ㅎㅎ
지금 새로 만들어야 할 헤놀로지가 여러대 있는데
이 강좌 덕분에 무사히 잘 설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흥마 2022-03
와우.
해외 사이트에서 이 글을 참고 내용이 있네요..
https://www.tsunati.com/blog/xpenology-7-0-1-on-esxi-7-x
     
화정큐삼 2022-03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소재 대학교 네요.
쿨파스 2022-03
감사합니다 그동안 엄두도 못내던 업데이트 할수 있겠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화정큐삼 2022-03
TheSTREET님이 강조하신 Hot Plug Enable 과정도 중간에 보완 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www.2cpu.co.kr/nas/37891
화정큐삼 2022-04
최신버전 rploader.sh 부터 root 권한전환인 sudo su 를 사용했을때 오히려 오류가 나는 경우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RedPill tinyCore 개발자인 pocopico 님도 불필요한 sudo 사용을 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강좌란에도 tc 유저 중심 컴파일 하도록 변경해 두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처음 접하시는분께 괜히 드라이버 칩셋 찾는 시간낭비만 하게 해드리고 오히려 혼동만 드릴것 같아서 옵션사항인 6번 드라이버 수동추가는 빼버렸습니다.
툴체인에선 필수지만 TC에선 불필요한 사항입니다.


제목Page 6/28
2022-04   10635   딥러닝서버
2022-03   10885   미친감자
2022-03   12715   딥러닝서버
2022-03   7983   화정큐삼
2022-03   13260   딥러닝서버
2022-03   25968   미친감자
2022-03   10553   화정큐삼
2022-02   12125   딥러닝서버
2022-02   9657   딥러닝서버
2022-02   28131   화정큐삼
2022-01   10141   딥러닝서버
2022-01   12201   ocarina
2022-01   149   마리카이
2022-01   5978   스캔l민현기
2022-01   8035   딥러닝서버
2022-01   7077   고고다
2022-01   5859   고고다
2022-01   10704   화정큐삼
2022-01   7506   박문형
2022-01   9044   박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