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놀 전원예약 켜기 미지원 모델 전원예약처리 사용 가이드

   조회 36692   추천 1    

m shell 에서 pocopico의 전원예약시작 관련한 신규 확장 드라이버인 powersched 를 기본적용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apollolake(DS918+) / geminilake(DS920+) / v1000(DS1621+)
이 3개의 플랫폼 기반의 모델들은 /dev/rtc0 디바이스가 활성화 되지 않은 이유로 전원예약시작이 불가능합니다.

 

pocopico의 rpowersched 는 /dev/rtc0 디바이스를 활성화 시키고 전원예약시작과 관련한 알람시각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m shell 을 통해 빌드되는 apollolake / geminilake / v1000  플랫폼 기반의 모든 시놀로지 모델에 powersched 확장 드라이버는 

번들로 자동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 추가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각 모델의 빌드는 가능하면 아래처럼 TCRP FREIND 를 사용해 빌드하시기 바랍니다.

curl -L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raw/main/my.sh.gz" -O;tar -zxvf my.sh.gz;

./my.sh DS918+F
./my.sh DS920+F
./my.sh DS1621+F

 

기존의 Jot / Jun Mod 로 사용되면 USB 의 Synoboot 파티션이 사라지는 현상에 대비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Synoboot 파티션이 사라지는 현상은 DSM 설치중 55% 파일손상 메시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가급적  TCRP FREIND 를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image
이사장 2022-10
좋은자료 항상 감사드립니다.!!!
dateno1 2022-10
918/920/1621은 Driver가 필요한거고, 나머지는 필요없는 상태인가요?

synoboot 관련된건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화정큐삼 2022-10
네, 나머지 3622/3615/3617/DVA3221 은 이미 /dev/rtc0 가 활성화 되어 있어서 필요 없습니다. 이미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synoboot 는 DSM 설치시 junior 모드상에서 리스트업 해볼수 있는데요.

TTYD 로그인 상태에서 ll /dev/syno* 로 보시면 synobios 뿐만 아니라 synoboot , synoboot1, synoboot2, synoboot3 등의 파티션등이 모두 표기가 되어야 합니다.

레드필의 부트로더 로딩시 가장 핵심인 부분중 하나인데, boot-wait 드라이버가 보통 30초를 대기하면서 이 파티션들이 모두 인식되기를 기다립니다.

정상 인식되는 경우는 대략 2초내에 응답이 오구요. 안되는 경우는 30초를 경과해도 못찾습니다.

저 synoboot 파티션들을 못찾는 경우가 VID/PID 가 잘못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발생을 할수 있는데,

VID/PID 가 정확히 기록되어 있는 USB 나 이값들이 필요없는 VM 에서도 간혹 이 synoboot 파티션을 못찾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pocopico님도 잘 모르십니다. 물론 저도 모르구요.

그래서 지금 대체로더로 떠 오르는것이 ARPL 과 TCRP FRIEND 입니다.

두 로더는 기존 레드필 커널위에 커스텀 커널이 하나더 올라가서 더 안정적인 synoboot 파티션을 로딩합니다.
송진홍 2022-10
희소식이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화정큐삼 2022-10
혹시 11시간전인 어제 밤 11시 부터 금일 오전 9사이에
제 my.sh 로 전원예약처리를 목적으로
apollolake(DS918+) / geminilake(DS920+) / v1000(DS1621+)
3개 플랫폼일 빌드하신분은 로더를 다시 한번만 빌드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코피코님과 제어판의 전원예약처리 완전자동화가 완성 되었습니다.
이 11시간동안의 드라이버는 예약시간처리에 오류가 있었습니다.
제어판의 GUI 를 사용하지 않으시고
위에 공유 드린
/sys/class/rtc/rtc0/wakealarm 만 수정하는 스크립트만 사용하신 분들은 영향이 없긴합니다.
기존모델들처럼 완전 자동화의 사용을 원하시는분은 로더를 다시 빌드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현재는 자동시작예약은 1개밖에 처리하지 못합니다.
ARPL fabio님의 도움으로 원래의 기능처럼 멀티등록도 가능하도록 현재 수정중에 있습니다.

금일  오전 9시 부터 다시 빌드하신분들은 이제 스크립트 예약은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존처럼 제어판에서 작업해 주십시요.
화정큐삼 2022-10
이제 버전이 바뀌어서 불필요한 스크립트 처리 내용은 혼동만 드릴까봐 더이상 필요 없어서 지워버렸습니다.
화정큐삼 2022-10
헤놀 전원예약 켜기 다중시간 예약에 대한 추가시험을 한 결과 보드별로 특성을 타는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제가 가진 DELL T1700 은 JOT 모드에서는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그래서 TCRP 프렌즈 로더로 전환한후 전원예약부분이 안정화를 찾기는 했지만

두번째 예약은 끝까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보드를 바꾸어서 제 메인헤놀로 사용하고 있는

ASUS IOT H310i-IM-A R2.0 에 DS918+ 와 같은 아폴로레이크 플랫폼인 DS1019+ 를 설치했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입니다.

두번째 예약분이 부팅되었습니다.

 

두번째 예약이 되고 안되고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 직접 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 경우는 하루에 1회만 부팅을 해서 굳이 2개 이상의 예약은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제이pc 2022-11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제목Page 4/28
2023-12   9674   inquisitive
2020-12   9762   쿨보이
2021-07   9815   박문형
2021-02   9914   딥러닝서버
2019-10   9948   간장게장
2019-02   9980   조이컴정관식
2020-10   9984   인천I베리
2020-09   9999   신영진
2020-08   10021   Tails
2020-06   10031   캔위드
2020-07   10093   ocarina
2014-02   10095   빠시온
2024-01   10132   박문형
2020-10   10140   악마라네
2022-01   10143   딥러닝서버
2019-11   10374   고고다
2018-11   10437   user
2019-03   10459   삼육공야드
2020-08   10500   딥러닝서버
2022-03   10560   화정큐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