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2 |
방화벽 및 홈 시스템 구성에 대한 잡다한 생각.. (3) |
카이제린 |
2021-02 |
4872 |
0 |
2021-02
4872
1 카이제린
|
1301 |
esxi 방화벽 룰 질문 드립니다. (1) |
까치산개꿀탱 |
2021-02 |
4822 |
0 |
2021-02
4822
1 까치산개꿀탱
|
1300 |
외부에서 사설IP 쓰고 있는 서버에 ssh 접속이 가능한가요? (2) |
아주좋아 |
2021-02 |
4827 |
0 |
2021-02
4827
1 아주좋아
|
1299 |
pfsense용 하드웨어 사양... (17) |
카이제린 |
2021-01 |
7184 |
0 |
2021-01
7184
1 카이제린
|
1298 |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9) |
기묘한생활 |
2021-01 |
4801 |
0 |
2021-01
4801
1 기묘한생활
|
1297 |
fortigate 60d 펌웨어 (2) |
boy1617 |
2021-01 |
4360 |
0 |
2021-01
4360
1 boy1617
|
1296 |
인터넷 접속 문의 드립니다 (2) |
내가사나이 |
2021-01 |
3479 |
0 |
2021-01
3479
1 내가사나이
|
1295 |
공유기 여러대 설치시 ip 충돌문제... (31) |
히지 |
2021-01 |
28285 |
0 |
2021-01
28285
1 히지
|
1294 |
주니퍼 방화벽 isg 1000 펌웨어 다운 받는 법 없나요? (2) |
쿠팡이 |
2021-01 |
4590 |
0 |
2021-01
4590
1 쿠팡이
|
1293 |
[질문]창문 통과형 랜케이블 (10) |
히지 |
2021-01 |
4829 |
0 |
2021-01
4829
1 히지
|
1292 |
[네린이 질문]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를 배우고 싶습니다. (4) |
Betterone |
2021-01 |
4313 |
0 |
2021-01
4313
1 Betterone
|
1291 |
ping 이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5) |
매니아1 |
2021-01 |
4665 |
0 |
2021-01
4665
1 매니아1
|
1290 |
10기가 스위치랑 랜카드 이거 사도 될까요? (29) |
재우아빠 |
2021-01 |
6268 |
0 |
2021-01
6268
1 재우아빠
|
1289 |
[질문] 학교 AP 설치 사업에 사용되는 제조사가? (6) |
쿠크다스 |
2021-01 |
4673 |
0 |
2021-01
4673
1 쿠크다스
|
1288 |
나스를 10기가로 내부에서 사용하려고 합니다.조언 부탁드립니… (17) |
heeko |
2021-01 |
11823 |
0 |
2021-01
11823
1 heeko
|
1287 |
[질문] Allied Telesis 스위치에 대한 평가를 알고 싶습니다. (7) |
CAT5E |
2021-01 |
3769 |
0 |
2021-01
3769
1 CAT5E
|
1286 |
[질문] 게임사에서 아이피를 다르게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문의… (10) |
형님들저좀… |
2021-01 |
19123 |
0 |
2021-01
19123
1 형님들저좀…
|
1285 |
형님들!! 신혼집에 IPTV셋탑박스 없이 무선공유기 구성 문의드… (21) |
무린이예랑이 |
2021-01 |
11917 |
0 |
2021-01
11917
1 무린이예랑이
|
1284 |
기존 공유기 에서 미크로틱 교체시 성능 향상은 얼마나 될까요? (4) |
고래1006 |
2021-01 |
4657 |
0 |
2021-01
4657
1 고래1006
|
1283 |
[문의] 멜라녹스 40g pc2대에 직결했는데 속도가 안나옵니다 도… (19) |
쭝2짱 |
2021-01 |
5941 |
0 |
2021-01
5941
1 쭝2짱
|
그러나 공유기도 약간의 관여를 하기는 합니다..
각 컴퓨터들의 IP지정은 공유기에서 하는 것이니까요..
저기에서 컴퓨터의 랜포트와 허브만 10G로 올려도 이상없이 컴퓨터들은 10G 퍼포먼스로 돌아갑니다..
옛날(거의 20~30여년전쯤)의 라우터나 공유기들은 외부포트 1 / 내부포트 1개 인경우들도 많았습니다..
이때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무조건 L2허브(스위치)를 사용했죠..
현재 그림의 T3008의 LAN 포트도 실제는 L2 스위치 8포트입니다..
이것이 SG24CM 허브와 다른 점은 공유기와 결합되어 메니지먼트 스위치 역활을 한다 정도겠죠..
아마 컴퓨터끼리 속도 올리는 것을 생각하실텐데..
같은 L2 24포트 스위치도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기능에 따라 가격차이가 엄청나고 실제 퍼포먼스도 다릅니다..
대략 L2 스위치 종류는 메니지먼트 스위치와 논메니지먼트 스위치가 있고요..
L2 메니지먼트 스위치는 여러가지 셋팅이 가능하고 보통 전용 프로세서및 캐쉬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L2 논메니지먼트 스위치는 캐쉬 메모리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그림의 사용하시는 시스템에서 24포트 허브만 이름 있는 제조사의 메니지먼트 스위치를 설치하시면
네트워크 속도 문제는 좀 피해나가실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공유기와 스위치간에 CAT7 은 의미가 없습니다..
CAT7으로 바꾼다고 10G 전송을 하는 것도 아니고 스팩에 안 맞기에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만약 외부 인터넷이 필요없고 그냥 내부 컴퓨터끼리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서버와 각 PC마다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해 주고 SG25BCM (스위치허브)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잘 되거든요.
그리고 케이블은 에초에 전부 CAT7/8 규격으로 매설을 해 놓아서 굳이 바꿀 필요가 없었거든요.
SG24BCM이 수중에 들어와서 네트워크를 다시 재구성하려고 하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여쭤보았습니다.
아무튼 늦은밤인데도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DHCP 서비스를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T3008이 IPTIME에서는 좋은 제품이긴 하나 오래된 제품이라 캐쉬 사이즈가 좀 작은편이며 (퍼포먼스가 좀 딸릴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컴퓨터들중에 트래픽을 많이 잡아먹는 프로그램을 돌리고 있는지도 확인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그리고 IP를 고정했을때 문제가 안생기면 우선 그렇게 사용하시고 전체적 망도는 어디 잘 메모해두세요..
특히나 네트워크 프린터는 IP를 자동으로 셋팅하면 공유기가 재부팅 할 때마다 IP가 바뀌게 되어서 가끔 사용하기 곤란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쪽 비싼 CAT.7 안 써도 괜찮을껀데요? (인터넷이 2.5기가 이상이 아닌 이상)
외부인터넷 많이 : 파일을 무지막지하게 다운받는 경우라면 T3008에 연결이 유리. 아니라면 크게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데이터 전송을
다 보내냐 지정한 곳만 보내냐의 차이죠.
결론은 02번 입니다.
dhcp는 부팅할때 ip받아올때만 사용하고요.
데이터서버의 DDNS등 외부와 연결된 것으로 컴퓨터들이 접속시도를 한다면 1번 경로로 진행됩니다.
컴퓨터들이 접속시 IP 냐, DDNS 같은경로 냐로 차이가 발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