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조회 4800   추천 0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첨부된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부 인터넷 접속은 그냥 인터넷 정도만 하는 수준이고,

대부분은 [데이터 서버]<->[PC], 그리고 [PC]<->[PC] 사이의

파일전송을 주고받는것이 대부분입니다.


만약 저 그림과 같은 상태에서 [데이터 서버]<->[PC] 의 파일을

주고받을때 데이터 신호가 SG24BCM 스위치 허브에서 처리되는것인지

아니면 T3008까지 도달하여 처리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T3008까지 갔다가 돌아오는것이라면 공유기-스위치허브는

케이블1개로만 연결이 되어있는데, 여러 PC가 동시에 파일을 주고받을때는

무조건 대역폭에 한계가 생기지 않는지 말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때는 스위치허브단에서 처리하는것으로

알고 있기는 합니다만 혹시 몰라서 여쭈어 봅니다.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처리과정>

0.1 : [데이터 서버] -> [SG24BCM] -> [T3008] -> [SG24BCM] -> [PC]

02. : [데이터 서버] -> [SG24BCM] -> [PC]


둘중 어느방식으로 처리가 되는것인지요?


그리고 PC 여러대(2~3대)가 인터넷 사용시 스위치허브를 지나

결국 사진상 표기해 놓은 CAT.7 케이블을 통과하여 T3008 공유기를 거쳐

KT모뎀으로 가능 경로가 될텐데, 이럴경우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PC 는

T3008 공유기에 바로 연결 하는것이 더 유리할까요?

박문형 2021-01
제가 알고 있기로도 02번이 맞습니다..

그러나 공유기도 약간의 관여를 하기는 합니다..

각 컴퓨터들의 IP지정은 공유기에서 하는 것이니까요..

저기에서 컴퓨터의 랜포트와 허브만 10G로 올려도 이상없이 컴퓨터들은 10G 퍼포먼스로 돌아갑니다..


옛날(거의 20~30여년전쯤)의 라우터나 공유기들은  외부포트 1 / 내부포트 1개 인경우들도 많았습니다..

이때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무조건 L2허브(스위치)를 사용했죠..


현재 그림의 T3008의 LAN 포트도 실제는 L2 스위치 8포트입니다..

이것이 SG24CM 허브와 다른 점은 공유기와 결합되어 메니지먼트 스위치 역활을 한다 정도겠죠..



아마 컴퓨터끼리 속도 올리는 것을 생각하실텐데..

같은 L2 24포트 스위치도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기능에 따라 가격차이가 엄청나고 실제 퍼포먼스도 다릅니다..

대략 L2 스위치 종류는 메니지먼트 스위치와 논메니지먼트 스위치가 있고요..

L2 메니지먼트 스위치는 여러가지 셋팅이 가능하고 보통 전용 프로세서및 캐쉬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L2 논메니지먼트 스위치는 캐쉬 메모리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그림의 사용하시는 시스템에서 24포트 허브만 이름 있는 제조사의 메니지먼트 스위치를 설치하시면

네트워크 속도 문제는 좀 피해나가실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공유기와 스위치간에 CAT7 은 의미가 없습니다..

CAT7으로 바꾼다고 10G 전송을 하는 것도 아니고 스팩에 안 맞기에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서완호 2021-01
저도 100메가 공유기 하단에 기가빗 스위치 달아두고 해보니 기가빗으로 돌아다니더라구요
기묘한생활 2021-01
저도" 컴퓨터들의 IP지정은 공유기에서" 하는것 때문에 구성에서 T3008이 어느정도는 관여가 되지 않나 했습니다.

만약 외부 인터넷이 필요없고 그냥 내부 컴퓨터끼리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서버와 각 PC마다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해 주고 SG25BCM (스위치허브)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잘 되거든요.
그리고 케이블은 에초에 전부 CAT7/8 규격으로 매설을 해 놓아서 굳이 바꿀 필요가 없었거든요.
SG24BCM이 수중에 들어와서 네트워크를 다시 재구성하려고 하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여쭤보았습니다.
아무튼 늦은밤인데도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1-01
공유기 내부 IP는 전문용어(?)로는 DHCP 서버라고 불리며

DHCP 서비스를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T3008이 IPTIME에서는 좋은 제품이긴 하나 오래된 제품이라 캐쉬 사이즈가 좀 작은편이며  (퍼포먼스가 좀 딸릴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컴퓨터들중에 트래픽을 많이 잡아먹는 프로그램을 돌리고 있는지도 확인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그리고 IP를 고정했을때 문제가 안생기면 우선 그렇게 사용하시고 전체적 망도는 어디 잘 메모해두세요..

특히나 네트워크 프린터는 IP를 자동으로 셋팅하면 공유기가 재부팅 할 때마다 IP가 바뀌게 되어서 가끔 사용하기 곤란할 때가 있습니다..
DarknessAng… 2021-01
패킷자첸 스위치밖으로 안 나가요

그리고 외부쪽 비싼 CAT.7 안 써도 괜찮을껀데요? (인터넷이 2.5기가 이상이 아닌 이상)
김지철 2021-01
데이터 전송 :02
외부인터넷 많이 : 파일을 무지막지하게 다운받는 경우라면 T3008에 연결이 유리. 아니라면 크게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캔위드 2021-01
더미허브랑 스위치허브 차이가
데이터 전송을
다 보내냐 지정한 곳만 보내냐의 차이죠.
결론은 02번 입니다.
dhcp는 부팅할때 ip받아올때만 사용하고요.
기묘한생활 2021-01
모두들 답변감사드립니다.
s1004 2021-02
컴퓨터들에서 데이터서버 접속시 IP로 연결시 2에 해당됩니다.
데이터서버의 DDNS등 외부와 연결된 것으로 컴퓨터들이 접속시도를 한다면 1번 경로로 진행됩니다.

컴퓨터들이 접속시 IP 냐, DDNS 같은경로 냐로 차이가 발생됩니다.


제목Page 42/107
2021-02   4872   카이제린
2021-02   4822   까치산개꿀탱
2021-02   4827   아주좋아
2021-01   7184   카이제린
2021-01   4801   기묘한생활
2021-01   4360   boy1617
2021-01   3479   내가사나이
2021-01   28285   히지
2021-01   4590   쿠팡이
2021-01   4829   히지
2021-01   4313   Betterone
2021-01   4665   매니아1
2021-01   6268   재우아빠
2021-01   4673   쿠크다스
2021-01   11823   heeko
2021-01   3769   CAT5E
2021-01   19123   형님들저좀…
2021-01   11917   무린이예랑이
2021-01   4657   고래1006
2021-01   5941   쭝2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