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가 RJ45 지빅 발열이 상당하군요

Lucifer   
   조회 9304   추천 0    

광케이블쪽이랑 비교하면 발열이 상당하네요

99도까지 올라가고 다운되네요

경고뜨고 이후 95도 돌파하면 잠시후 발열로인해 disable 됩니다

RJ45모듈이 발열이 좀 있는건 알고있었는데 이정도로 심할줄은 몰랐네요

라우터가 패시브쿨링 모델이라 더 심한거같기도하고...

액티브쿨링 되는 스위치에 물리는게 좋을것 같긴한데 원래 저정도로 발열이 심한건지 의문이네요

 

맣맣 2021-04
원래 고속 고소음 팬 사용을 전제로 물리지 않나요?
최소한 진공청소기 소리가 나는 수준으로 쿨링하면 큰 문제는 없을거 같네오
     
Lucifer 2021-04
서버실에서 온도관리하에 사용하면 큰 문제는 없을거같습니다만...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SFP+ 10G 모듈 사용시 모듈온도 56~60도선 유지되는데 RJ45모듈은 무섭게 올라가네요
사용하는 CCR1009 라우터가 팬없이 방열판만 있는 패시브 쿨링 모델이라 더 그런거같기도 하구요
바로옆 광모듈은 온도 정상인거봐선 모듈자체 발열이 쎈거같습니다
타와리 2021-04
미크로틱 해당 모듈의 들어가니깐 패시브쿨링 모델인 Switch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추가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적혀져 있네요

[https://mikrotik.com/product/s_rj10]
S+RJ10 module is supported also on devices with passive cooling, but may require an extra cooling.

광 10G 쓰다보니 RJ45가 저런 이슈가 있는줄은 몰랐습니다.
RIGIDBODY 2021-04
제가 미크로틱(CCR1036)에서 10Gtek의 Copper Gbic을 사용했었는데, 이게 발열은 아닌거 같고, 유격 문제인듯한데 살짝 건딜거나 하면 수시로 linkdown이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CISCO 광지빅으로 다 바꿔버렸습니다.

그리고 CCR1009는 패시브 쿨링이다보니 쓰로틀링 걸려서 속도가 안나오더군요, 결국 반품했던 기억이 ㄷ ㄷ
dateno1 2021-04
2.5~5기가만 해도 패시브론 빡센 수준으로 발열 발생하고, 10기가는 더 심합니다

GBIC만이 아니라 NIC도 발열이 심합니다
박문형 2021-04
90~100도 급이면 장비 동작시키기 어렵지요..

외부에 펜이나 선풍기라도 놓고 쓰셔야 할 듯합니다..
윤건 2021-04
SFP-10G 모듈들 중에서 UTP 타입의 Power Consumption이 2.5W로 가장 높습니다.
반면에 SR타입은 0.6W 미만, LR은 1W 정도
심지어 40km까지 전송가능한 ER 타입이 1.5W 정도입니다.
거리가 수미터 이내로 가장 짧기는 하지만 전력소모면에서는 passive DAC 케이블이 0.1W 미만으로 가장 좋습니다.
제온프로 2021-04
WinBox 군요..

화면이 정겹네요..

조목 . 조목.. 아이 정겨워 !

광이 빠르고 열 않나고 좋아요..!  아이 정겨워!


제목Page 39/107
2020-06   7914   레몬트리7
2022-03   5465   키리에
2022-04   6421   원탱이방굴이
2022-10   15326   엄청난x
2022-12   17720   RHNS
2023-05   15359   hooneydev
2023-09   26228   고세삼
2023-12   3027   Rainwalk
2015-01   10801   죠짱
2015-06   9394   돌문팬
2015-12   9672   호호
2018-04   9195   버프엔지니…
2019-08   8971   선더더어우우
2022-08   9216   네린이
2015-04   26823   Jjun
2017-11   15790   limjongsek
2018-08   12344   회원K
2022-06   10572   ter2
2022-09   2544   클래식
2024-12   3501   뽄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