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 |
IP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5) |
youse |
2021-11 |
3810 |
0 |
2021-11
3810
1 youse
|
183 |
홈네트워크 스위치 구성 질문 (8) |
다비니 |
2024-07 |
3805 |
0 |
2024-07
3805
1 다비니
|
182 |
가상컴퓨터 네트워크 문제 (7) |
bronzes |
2021-08 |
3804 |
0 |
2021-08
3804
1 bronzes
|
181 |
포트포워딩 설정은 하는데 접속은 어떻게하나요? (3) |
키리에 |
2021-07 |
3801 |
0 |
2021-07
3801
1 키리에
|
180 |
KT 광랜 모뎀 속도관련 질문입니다 (3) |
케리스 |
2021-07 |
3800 |
0 |
2021-07
3800
1 케리스
|
179 |
홈네트워크 구축 조언 부탁드립니다. (4) |
흰털너부리 |
2021-12 |
3799 |
0 |
2021-12
3799
1 흰털너부리
|
178 |
vpn밑에 vpn을 둘수 있을까요? (3) |
오시아스 |
2021-06 |
3793 |
0 |
2021-06
3793
1 오시아스
|
177 |
L? 스위치를 이용한 LACP 질문올립니다.... (11) |
율은커 |
2024-03 |
3789 |
0 |
2024-03
3789
1 율은커
|
176 |
[질문] Allied Telesis 스위치에 대한 평가를 알고 싶습니다. (7) |
CAT5E |
2021-01 |
3786 |
0 |
2021-01
3786
1 CAT5E
|
175 |
가정용 네트워크 통합 문제 사진을 첨부했습니다 (23) |
piedPiper |
2024-02 |
3782 |
0 |
2024-02
3782
1 piedPiper
|
174 |
시스코 스위치 l3 이중화 관련 (2) |
seoforce |
2021-07 |
3777 |
0 |
2021-07
3777
1 seoforce
|
173 |
공유기 질문 (A3002Mesh vs A8004T) (5) |
Negatic |
2021-07 |
3774 |
0 |
2021-07
3774
1 Negatic
|
172 |
[질문]K사 인터넷 사용시 내부 네트워크 구성 문의 (8) |
ZaseJK |
2021-08 |
3774 |
0 |
2021-08
3774
1 ZaseJK
|
171 |
[미크로틱] 6.46 Update |
빠시온 |
2019-12 |
3761 |
0 |
2019-12
3761
1 빠시온
|
170 |
사무실 네트워크 개선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
박문형 |
2021-12 |
3759 |
0 |
2021-12
3759
1 박문형
|
169 |
CCR2116-12G-4S+ 써보신분 있으신가요? (1) |
언젠가는 |
2021-12 |
3758 |
0 |
2021-12
3758
1 언젠가는
|
168 |
openwrt 구축 관련 고수님들 도움요청드립니다... (5) |
구구콘조아용 |
2022-08 |
3743 |
0 |
2022-08
3743
1 구구콘조아용
|
167 |
네트워크 구성 좀 도와주세용 (6) |
잉잉 |
2022-09 |
3737 |
0 |
2022-09
3737
1 잉잉
|
166 |
opnsense wireguard 로컬 dns 사용방법 (7) |
이치로운 |
2024-02 |
3736 |
0 |
2024-02
3736
1 이치로운
|
165 |
가정용 장비로 넷기어 BR200 은 과할까요 ? (7) |
sudosu |
2021-06 |
3735 |
0 |
2021-06
3735
1 sudosu
|
하드웨어 CPU 성능이 충분하거나 패킷을 다루기 위한 특별한 H/W 구조를 제공한다고 할때,
1518byte 패킷 전송에 대해 최대 81kpps, 980Mbps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고,
64byte 패킷 전송시는 최대 약 1440kpps, 720Mbps 정도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표를 보면 컬럼은 패킷 사이즈에 따른 비교이고,
로우는 리눅스 브리지 모드와 라우팅 모드,
그리고 단순 mac running 및 fib를 통한 fast path 성능과
추가적인 cpu 작업을 필요로하는 filtering등의
성능을 비교한 것입니다.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 패킷 bytes 크기 보다는 pps에 따른 처리속도가
성능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고
64byte의 pps가 높을 경우 필터링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Bridge 및 Routing에 있어 H/W 가속기능이 지원되지 않고,
S/W에 의존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장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적은 클럭으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고사양의 CPU나
병렬 처리 형태의 CPU가 사용된 시스템이 아닌것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급 필터링이나, 방화벽 등등의 고급 프로세싱 룰을 추가할 수록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즉, 되도록 간단한 룰과 500byte 이상의 패킷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DDOS 같은 공격에 최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미크로틱을 회사의 네트워크에서 여러 용도로 활용한 결과 일반 공유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기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은 틀림 없습니다.
그래도 아직은 모르는 부분이 많아 더 공부를 해야겠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실에 있는 국내에서 테스트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