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취미삼아 홈서버 돌리면서 갖고놀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아마 이전에도 같은 질문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제가 아는 게 없어서 질문글과 답변 댓글을 봐도 그게 정말 제가 궁금해하는 내용인지조차 확신이 잘 안 서더라구요...
아래와 같이 가능할 지 궁금합니다
지금 돌리고 있는 홈서버는 인터넷-공유기-라즈베리파이로 연결되어 있구요. 라즈베리파이의 내부 아이피를 고정해두고 80 443 포트를 연다음에 집에 들어오는 고정아아피를 iptime DDNS로 도메인을 따서 쓰고 있습니다.
제가 가능한지 궁금한 구조는, 집 공유기에 복수의 서버를 연결하고, 각각에 내부 아이피를 할당한 다음에, 같은 도메인으로 접속할 수 있는 서버들로 운영할 수 있는지입니다.
예를들어 위 사진과 같이 5개의 서버를 공유기에 연결한 다음에 각각 내부아이피를 할당하고
192.168.0.1에 연결된 서버에는 간이NAS를 구성한 다음에, http://my.iptime.org/nas로 접속할 수 있게
192.168.0.2에 연결된 서버에는 웹페이지를 구성한 다음에. http://my.iptime.org/blog로
192.168.0.3에 연결된 서버에는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어 두고, http://my.iptime.org:19132로 접속할 수 있게 하고
192.168.0.4에는 빗토렌트를 깔아서 http://my.iptime.org:8080으로 들어갈 수 있게
이런식으로 구성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cpu를 검색해 보니까 리버스 프록시? 이런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 같은데 제가 제대로 찾아서 이해한건지 모르겠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려봅니다.
my.iptime.org:1111/nas
my.iptime.org:222/blog
my.iptime.org:19132
my.iptime.org:8080
이렇게 다 주소(정확히는 포트)가 달라도 된다면 포트포워딩을 알아보시면 됩니다.
이러면 쉽습니다.
근데... 만약에 다 주소가 my.iptime.org로 같아야 한다면...
간이 NAS, 웹페이지와 같은 HTTP는 리버스 프록시(squidproxy 등)을 설치하셔야 할 거고,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PC 기준으로 SRV 레코드 셋업을 해야 하겠습니다. (빗토렌트는 안 써봐서 잘 모르겠네요)
이런 경우 iptime 공유기만으로는 안 되고요 (최소한 제가 써 본 가정용 제품중에서는 리버스 프록시 지원하는 제품이 없었습니다)
별도로 앞에 리버스 프록시 지원해주는 장비를 두시던가 아니면 웹서버에 리버스 프록시를 셋업하셔야겠습니다.
그러니까 공유기에 연결된 공인아이피(또는 내부아이피)의 특정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패킷)을 모두 특정 내부아이피로 연결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IP 192.168.0.2 / 외부 포트 8080 / 내부 포트 80으로 연결하면
공유기 WAN(공인아이피)에 8080 포트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모두 192.168.0.2의 80포트로 연결해주는 기능입니다.
1.가상 서버 : 인입 포트 -> 포트 변동 지정 가능
2. 포트포워딩 : 인입 포트 변동 불가
이던데 가상 서버 설정도 24개나 가능하더군요 ^^
iptime 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을거 같습니다.
그런데 집에도 고정 아이피가 들어오나요? 부럽습니다.
가상 서버 기능이 있는지도 찾아보겠습니다! 근데 혹시 인입 포트라는게 어떤건지 조금만 더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나요? 구글이 인입 포트라고 검색해도 결과가 많이 나오지 않네요.
dlink 공유기의 가상 서버는 외부 포트(8080)로 들어오는 패킷을 공유기 하단에 내부 ip(192....)를 사용하는 서버의 다른 포트(80)로도 연결해 주는 기능이리고 합니다. 포트포워딩은 포트 변동이 불가능해서 8080 -> 8080으로만 공인ip 와 사설 ip 연결해주고요~
아마도 isp(kt등)에서 집에서 서버 운영 못하게 80 번 포트 막아서 만든 기능 같아요~ ㅠㅠ
dlink 공유기 에도 있는 기능이면 웬지 iptime 공유기에도 있을거 같아서요~
내부/외부 포트를 다르게 설정해주시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