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sense vpn (l2tp) 계정 별 방화벽 정책 설정.

히소카   
   조회 3378   추천 0    

pfsense vpn (l2tp)이용해서 계정 별 내부망 접속가능한 acl 을 줘서 제한을 하려고합니다.

제가 생각하는건 l2tp 계정설정시에  static하게 A계정은 172.16.1.1  , B 계정은 172.16.2.1

요렇게 할당 받게 구성하고 그 이후에 방화벽 rule에서


A계정인 172.16.1.1/16 은 172.16.1.0/24 대역만 접근 가능하게 설정


B계정인 172.16.2.1/16 은 172.16.2.0/24 대역만 접근 가능하게 설정


(내부 대역은 172.16.0.0/16입니다.)


방화벽이나 VPN개념이 좀 부족해서... 요런식으로 구성해서 이용할 생각인데 가능할까요?

요점은 VPN 계정별로 접속할 내부 IP를 제한하고 싶은겁니다..


Linu 2022-01
저 같은경우는 L2TP 방식이 아니라 OpenVPN Plugin 사용해서 사내 VPN운용 했는데 username 기준으로 DHCP IP지정 하는 방법으로 ACL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WebUI 상에서 옵션값 주는 방식이였는데 구글에 관련 자료가 많을겁니다. 한번 참조해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목Page 5/107
2021-07   3340   mirirubi
2021-07   3340   그빌
2021-06   3346   나두련
2021-09   3357   고세삼
2021-06   3369   해모라
2022-01   3379   히소카
2021-06   3384   컴맹주니
2022-03   3393   Foreist
2021-10   3395   Wnahd
2020-04   3398   ses497
2023-11   3399   유유히21
2024-02   3409   첼디
2022-01   3411   딥러닝서버
2022-03   3414   Foreist
2020-11   3415   redqqqq
2022-01   3425   Airen
2021-11   3429   박문형
2024-01   3441   NightHawk
2022-01   3444   혜림이아빠
2024-03   3460   돈대신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