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아래 트랜시버 호환성 질문 드렸던 사람입니다.

   조회 5219   추천 0    

먼저 댓글로 많은 정보를 주신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한 설명과 함께 글을 달아주셔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진작에 이 사이트를 알아 정보를 찾아봤다면 이중지출은 줄였을 텐데 ㅠㅠ

일단 PC의 인텔 X550-t2 와 NEXT 트랜시버는 걷어냈습니다.

이건 장터로 보내던지 해야겠네요 X550좋은 모델로 알고 있는데 ㅠㅠ


이더넷은 X520-SR2로 교체하였고 SR2는 X520-DA2와 본체는 같고 광트랜시버가 딸려 오는 모델이라고 본 듯 한데 맞나 모르겠네요

아무튼 X520은 intel PROset에서 찾지는 못하던데 대신 장치관리자에서 속도를 negotiation이 아닌  10G Full Duplex로 강제로 바꿔도

잘 인식하네요 (이렇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PC의 x520 이더넷에 달려있는 광트랜시버(이건 인텔제품입니다.)을 이용해서 광점퍼코드로 연결하고 나스는 기존 시놀로지 정품 이더넷에 

호환 트랜시버(이건 인델제품은 아닙니다.)을 달고 다이렉트로 연결 후

듀얼채널 이더넷이지만 단일채널만 연결 후 네트워크 파일 복사를 해보니 삼바 멀티채널 없이도 바로 파일 복사 속도가  1.0G/s 가 나와주네요


이렇게 써보니 RJ45 트랜시버를 이용했을때와 몇가지 차이가 느껴지던데

일단 발열이 별로 없네요, RJ45는 파일복사를 이용한 것도 아니고 단순히 꼽아놓고 세팅 좀 한 게 전부인데 생각보다 발열이 심하네요

그리고 일단 나스를 옆방두고 선을 끌어왔는데 중간에 선이 꺽이건 감건 타카핀으로 고정을 하건 문을 닫아서 선이 눌리건 인식도 잘되고 간섭도 없는것 같습니다.


기존 시스템에서 호환 트랜시버를 찾거나 뭐 소프트웨어적으로 패치(가능한건지도 모르겠지만) 등등 

고수분들이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솔루션을 쉽게 찾으시겠지만 

소싯적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밤새가며  트러블 슈팅 해나가는 재미를 느끼기엔 몸도 마음도 안따라주고 

열정도 식어버려서 그냥 레퍼런스 모델로 가능게 스트레스 덜 받는 길일 듯 해서

망설임 없이 선택했습니다.

아래글에서 제품에 대해 조언을 주신 모든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대신 남은 상처는 멋모르고 엄한제품들 질러댄 덕에 얇아진 지갑이네요.

X550이랑 호환성 속을 썩인 NEXT 트랜시버는 중고로 팔릴지나 모르겠네요 ㅠㅠ


그런데 논외로 집에서 10G를 쓰기엔 몇가지 고민이 아랫글의 어느분 댓글처럼 기기들을 창고에 두고 끌어 오지 않는한

스위치는 소음이 장난 아니네요 ㅠㅠ 지금은 다이렉트로 연결했지만 여러 장비들 연결을 위해 스위치에 트랜시버만 꼽아두어도

쿨러가 미친듯이 돌아가네요 ㅠㅠ


저녁 마무리들 잘하시고

좋은 주말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김황중 2022-04
고생하셨습니다

그러나 방 문 조심하세요
광케이블은 간혹 꺽기는것 만으로도 통신이 끊어지고
씹히는순간 패킷 끊어지고
이후 영영 이별입니다
     
센토우노 2022-04
ㅎㅎㅎㅎ 벌써 하나 해먹었습니다. 예리하셔라..
최초 선 끌다가 고정하는 과정에 중간이 찍혔는데 바로 사망 ^^
댓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4
스위치 무슨 모델 쓰시나요??
     
센토우노 2022-04
TP-Link SX3016F 입니다.
          
박문형 2022-04
현역 장비네요..

보통 10G 이상 개인적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베이의 중고를 싼 가격에 노립니다..

개인적으로 10G는 광이 기본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10G 랜카드는  10G 이하는 인텔이 킹왕짱이였지만 10G 때부터 드라이버 지원이나 이런 것들이 좀 빈약해지고 열도 많이 나는 편이라

개인적이로 10G 이상은 멜라녹스 카드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멜라녹스 CX311A 알아보세요..


그 외 요즘은 3~5M 정도의 내부 거리에서는 DAC 케이블을 사용하는 곳도 늘고 있습니다..

일종의 코퍼 케이블인데 호환성을 거의 타지 않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anoptics&logNo=220875130979
               
센토우노 2022-04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평생 RJ45만 알고 지내다 이번에 10G를 좀 보니 광이 좋긴 하더군요.
10G를 기준으로 카테고리가 달라지는 느낌입니다.
               
센토우노 2022-04
그렇지 않아도 멜라녹스 connectx-2 요 듀얼채널 모델로 알아보고
알리 같은데 보니 저렴하게 팔긴 하던데
문제는 2011년 제품이던데 해당 제품도 괜찮긴 할까요?
                    
박문형 2022-04
칩셋 씨리즈가 Connectx-2/3/4/5 이런 식으로 나가는데  번호가 높을수록 신형 칩셋이고 그 칩셋 하나에

여러가지 세부 모델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벤더사들이 OEM으로도 사용합니다..

보통 신형칩셋일수록 가격이 높습니다..

멜라녹스 카드들은 크게 2가지 모드가 있는데 하나는 인피니벤드 카드로 동작하는 모드이고 하나는 랜카드로 동작하는 모드입니다..

이 두가지 모드는 펌웨어로 콘트롤합니다..

Connectx-3 이상이 되면 윈도우즈 10이 지원될 것입니다..

정 모르시겠으면 어떤 어떤 칩셋의 무슨 모델인데 여기 저기 OS에사용해본 사람 있는지 아니면 드라이버가 있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Q/A란이나 네트워크란에 질문하시면 됩니다..
                         
센토우노 2022-04
아..전 멜라녹스 2는 10G, 3부터는 40G 이렇게 나가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닌가 보군요
감사합니다.~
안철현 2022-04
X520-SR2 / X520-DA2는 같은 하드웨어이구요,
X520에 지빅2개가 달린채로 유통되면 X520-SR2
X520에 지빅없이 유통되면 X520-DA2 입니다.
     
센토우노 2022-04
검색해보니 그렇더군요 용케 지빅이 달려 있어서 쉽게 구성할 수 있었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제목Page 25/107
2022-04   5792   율이율이율
2022-04   4218   RIGIDBODY
2022-04   3926   네트워크어…
2022-04   4091   Rainwalk
2022-04   5346   mineroller
2022-04   10488   태휸
2022-04   4181   센토우노
2022-04   3610   RIGIDBODY
2022-04   4204   리듬앤버터
2022-04   4773   모어쿨
2022-04   5016   MOONL
2022-04   4493   모어쿨
2022-04   4685   TnStrading
2022-04   4431   센토우노
2022-04   4436   송주환
2022-04   5482   송주환
2022-04   5220   센토우노
2022-04   5779   센토우노
2022-04   4861   망고쥬스
2022-04   4900   jjors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