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역폭? 전송속도?

돌문팬   
   조회 22182   추천 0    

안녕하세요. 책을 보면 볼수록 더 헷갈려서 이렇게 질문올립니다.

네트워크 책을 읽으면 대역폭 옆에 괄호로 "속도"라고 적혀있더라고요. ex) 대역폭(속도)
대역폭이라는게 데이터를 한 번에 얼마나 보낼 수 있다는 의미로 알고있는데, 속도로 봐도 무방한것인지요?
통신회사들이 자신들의 인터넷 속도를 광고할 때에도 100Mbps, 기가인터넷(1Gbps)라 해도 결국은 대역폭인데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쓰이면 100Mbps, 1Gbps라는 속도가 못나오지 않나요? 사람들이 계속 대역폭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해도요.

그리고 utp케이블을 보면 용도에 몇Mbps와 전송속도에 몇MHz라 적혀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대역폭이 속도를 의미한다면서 전송속도로 MHz는 왜 나오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구글링을 못하는건지 찾아봐도 잘 안나오네요.

설명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대역폭(Bandwidth) - 해당 미디어(유선,무선)가 지원하는 이론적 최대 전송 속도
전송속도(Throughput) - 실제로 사용하는 전송속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천풍 2015-09
Bandwidth - 대역폭. 통신속도에서는 주파수를 나타내며, 데이터 이동에서는 이론적 최대 전송속도의 값을 나타냅니다. 엄밀히 말하면, Hz 값으로 나타내야 하지만, 대부분 비트레이트(전송율)로 환산한 값을 사용합니다. 기가인터넷은 1Gbps (초당 1기가비트 수) 대역폭을 가집니다.

Throughput - 처리속도. 단위 시간에 기기에서 처리하는 실제 데이터의 총량. (전송속도에서 실제 데이터의 총량만 따로 떼어낸 값과 동일)
처리장치에서는 Hz 값을, 저장장치에서는 B/s 값을 사용합니다.
AMD 투반 1055T CPU는 2.8GHz 처리속도를 가지며, SATA2 처리속도는 300 MB/s (초당 메가바이트 수)입니다.

Transfer - 전송속도. 단위 시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비롯한 모든 전자적 신호의 총량. SATA2 전송속도는 3.0GT (기가트랜스퍼, 기가 전송 또는 기가비트 전송)
GT(기가비트 전송)의 경우 GTs 또는 GTS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이건 단위 속도로 "초"만 사용하기 때문에 끝에 s는 생략하는 때가 많습니다. (대역폭이나 처리속도는 분이나 시간도 사용합니다.)
2015-09
대역폭과 전송속도의 관계는 도로와 자동차의 관계와 같습니다.

아무리 빠른 버스(전송속도)라도 속도제한이 걸려있는 도로(대역폭)에선 결국 시간당 운송할 수 있는 승객수가 제한됩니다.
아무리 도로가 넓어도(대역폭) 속도제한 걸린 버스가 1대라면 시간당 운송할 수 있는 승객은 결국 1차선인 도로와 같습니다.

UTP케이블에서 사용하는 Mhz는 대역폭의 의미입니다. 이게 1선로 디지털 전송에선 Hz = bps 입니다.
그 대역폭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종단에 연결된 장치의 H/W 성능과 그것을 제어하는 S/W의 성능에 따라 결정됩니다.


제목Page 96/107
2015-10   10501   로코가토
2015-10   11727   행복하세
2015-10   10566   숫총각
2015-10   9519   돌문팬
2015-10   11229   쫑쫑쫑
2015-10   9972   해피밥
2015-10   11379   쫑쫑쫑
2015-10   8683   슬기로운생활
2015-10   13067   쫑쫑쫑
2015-10   9365   개백수28호
2015-10   14742   쫑쫑쫑
2015-10   9332   푸우하하
2015-10   8440   포카
2015-09   12365   stones
2015-09   11030   meviesta
2015-09   9857   Noman
2015-09   9904   jj1122
2015-09   9492   돌문팬
2015-09   22183   돌문팬
2015-09   12675   polarb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