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Opnsense는 WAN 속도가 1Gbps로 제한되나요?

DEVKAT   
   조회 19552   추천 0    

안녕하세요, 구글링을 해도 답을 잘 찾을수가 없어 질문드립니다..

홈 서버를 구축하고 있는 중에 방화벽 소프트웨어로 Opnsense를 사용해보려 합니다. 우선 저는 2.5 기가비트 스위치 허브에 제 PC를 모두 연결해두었습니다. 서버 PC에 ESXi를 설치해두었고, 그 위에 서버로 사용할 윈도우와 방화벽으로 Opnsense를 설치해두었습니다. Opnsense 없이 ESXi에 설치된 윈도우와 제 개인 PC와 SMB로 파일 전송을 해보면 2.5Gbps까지 잘 나와주는데 Opnsense를 중간에 두고 포트포워딩해서 파일 전송을 하면 1Gbps로 제한되는 속도가 나옵니다.. 해결책이 있을까요?

댓글로 도움 주신 덕분에 잘 해결하였습니다. 사진 첨부합니다.


박문형 2022-12
https://forum.opnsense.org/index.php?topic=22443.0

잘은 모르지만 2.5G는 아직은 드라이버 문제 같은 것으로 재대로 동작하지 않는 듯합니다..

만일 10G 랜카드 중에서 Opnsense를 재대로 지원하면서 2.5G로 동작하는 제품이 있다면 그것으로 테스트 해보는 정도가 다입니다..

그렇게 되면 문제가 역시나 돈입니다.. 장비 구하기가 어려울수도 있고요..


현재 1대의 컴퓨터에 가상화로 다 밀어 넣고 있으신 듯한데  가상화 안에서 돌아가는 Opnsense 의 인터페이스 (랜포트)가

모드 2.5G 로 셋팅되어 돌아가는지 드라이버 설정은 재대로 되었는지 반대편도 마찬가지인지 확인해봐야 할 듯하네요..

아니면 Opnsense 만 다른 시스템으로 분리시켜서 2.5G로 셋팅시켜서 돌려보는 정도겠지요..

어쨌던 이래저래 돈은 들어가고 테스트해서 실패할 확률도 있습니다..


어떤 컴퓨터든 간에 해당 OS드라이버가 재대로 되어야 재대로 동작합니다..
     
DEVKAT 2022-12
우선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셧듯이 10G 랜카드등은 장비 구하기도 어렵고 비용적인 문제가 너무 크죠...
우선 저는 인텔 I225-v 장비가 ESXi 7.0에서는 2.5Gbps로 잘 인식되고, Opnsense에서는 I225-v가 아닌 가상의 랜으로 인식하니 문제 없을줄 알았습니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ESXi의 Windows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정보를 보면 인텔 82574L 구형 어댑터에 속도가 1.0Gbps로 인식되지만, 실제로 스위치허브 거쳐서 나오는 속도는 2.5Gbps까지 나와서 그렇구나 싶었습니다. 물론 제 추측일뿐이라 확실하지는 않았습니다.
Opnsense의 인터페이스가 2.5G로 셋팅되어 있는지 셋팅쪽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2-12
ESXi의 가상 NIC 속도는 실재 상한이랑 상관없습니다 (호환성땜에 그렇게 잡는것뿐이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가상랜이 1기가라 되어있고, 해당 가상 스위치에 10기가랜 물려있는걸로 통신 시도하면 10기가 뜨게 되어있습니다

다만 보통 OS는 절대 저런식이 아니죠

일단 2.5기가-2.5기가 다이렉트로 1:1 물린후 네고레이션이 어떻게 잡혀있는지 확인부터 해보셔야할꺼같습니다 (Driver 문제로 2.5기가가 1기가로 작동중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Lan의 통신은 정상이라고 적어두셨고, 딱히 해당 OS에 그런 NAT 상한이 존재하는것도 아니니 이쪽이 원인이라 생각됩니다

이외에 속도 측정 방법 iperf로 WAN-GW/LAN-GW/WAN-LAN/LAN-LAN 각각을 다 측정해보시는걸 추천하고 싶습니다
               
DEVKAT 2022-12
iperf툴을 설치해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제 개인 PC -> 스위치허브 -> ESXi -> Opnsense 와의 통신은 평균 2.21Gbps
Opnsense -> ESXi에 설치된 Windows 10 (가상LAN) 통신은 평균 3.65Gbps (이 경우 디스크 속도가 지원해주는 최대를 뽑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어 뭐지 싶어서 개인 PC와 ESXi Windows 10을 포트포워딩하여 한번에 측정해보니 최저 648Mbps/평균 883Mbps/최대 1.17Gbps가 나왔습니다.
최대치가 1.17Gbps(140Mbyte)를 기록했으니 2.5Gbps 통신은 서로 잘 연결되어 있는것같습니다.
그럼 Opnsense 자체 보호 솔루션이나 어떤 기능으로 성능 저하가 이루어 지는것같은데... 어떤 옵션을 만져봐야할지 막막하네요...
일단 덕분에 인터페이스 문제는 아닌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DEVKAT 2022-12
Opnsense 설정을 수정해서 해결하였습니다~
본글에 사진 첨부드립니다. 모두 감사드립니다~
                    
dateno1 2022-12
어느쪽이냐면 디스크가 아니라 시퓨 성능입니다 (현제 호스트의 시퓨로 낼 수 있는 최대 성능이 그정도라고 봐주세요) (그걸 넘길려고하면 최저 40기가 가야하니 문제되진 않을껍니다)

쓰레기같은 젤 싼 MicroSD같은걸로 부트 시켜도 제대로 수치 꽉 채워주는걸 보면 디스크는 무관합니다
박문형 2022-12
수고하셨습니다..
화정큐삼 2023-10
저도 오늘 10G X540-AT2 듀얼 카드 2개로 4포트 구성으로 만들어 보려합니다.
WAN 은 1G 듀얼에 IPMI 까지 있는 웍스보드로 진행하려 하는데요.
저도 같은상황에 빠질뻔 했습니다.
좋은 가이드가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목Page 1/4
04-04   537   율은커
03-04   2013   고세삼
01-09   3129   율은커
2024-12   3158   클래식
2024-07   3817   다비니
2024-02   3198   azchoi
2023-12   4346   KGOON
2023-12   3050   Rainwalk
2023-12   4711   엘레오노르
2023-09   26264   고세삼
2023-08   16058   gusoong
2023-06   14239   네온7
2023-05   10373   victor1
2023-05   20798   uni8453
2023-04   15840   비오는날우산
2023-01   11100   govl004
2022-12   19553   DEVKAT
2022-12   46037   무법자
2022-10   10113   에라뇽
2022-10   9027   태영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