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 |
미크로틱 2WAN 사용후기 (4) |
느낌 |
2017-12 |
15517 |
0 |
2017-12
15517
1 느낌
|
1943 |
iptime 공유기들만 100메가 속도가 나오는데 어떤 원인일까요? (16) |
Mazinga |
2021-12 |
15502 |
0 |
2021-12
15502
1 Mazinga
|
1942 |
NAS 기가랜 여러개로 속도증가 성공입니다. (15) |
오모 |
2017-03 |
15454 |
4 |
2017-03
15454
1 오모
|
1941 |
연구실 10GB 내부망을 구축하려합니다. (6) |
태검이 |
2023-08 |
15445 |
0 |
2023-08
15445
1 태검이
|
1940 |
유무선 공유기 3종 간단 테스트 결과 (3) |
정의석 |
2018-04 |
15424 |
0 |
2018-04
15424
1 정의석
|
1939 |
안녕하세요. 기업용 네트워크 구성 관련하여 조언구합니다. (ip… (14) |
hooneydev |
2023-05 |
15384 |
0 |
2023-05
15384
1 hooneydev
|
1938 |
(질문) SKB (브로드밴드) VPN 이 막혀있나요? (3) |
별이되어 |
2015-09 |
15382 |
0 |
2015-09
15382
1 별이되어
|
1937 |
macOS VPN(L2TP)및 라우팅 관련 질문드립니다 (5) |
TeslaLAB |
2018-01 |
15351 |
0 |
2018-01
15351
1 TeslaLAB
|
1936 |
홈서버 네트워크 구성관련 질문드립니다. (9) |
냥냥맨 |
2023-04 |
15347 |
0 |
2023-04
15347
1 냥냥맨
|
1935 |
네트워크 구성 문의드립니다. (20) |
엄청난x |
2022-10 |
15333 |
0 |
2022-10
15333
1 엄청난x
|
1934 |
스위치 <-> 윈도우 NTP서버 연동방법좀요 (4) |
공백기 |
2016-12 |
15319 |
0 |
2016-12
15319
1 공백기
|
1933 |
kt 500메가 인터넷인데 iptime 기가비트 공유기 100메가 나옴 (3) |
JHKWAK |
2022-11 |
15244 |
0 |
2022-11
15244
1 JHKWAK
|
1932 |
pfsense wan 설정문의 (2) |
서울사람 |
2018-01 |
15234 |
0 |
2018-01
15234
1 서울사람
|
1931 |
Suricata 3.2.2 AF-packet Inline Mode (2) |
하얀고니 |
2017-07 |
15229 |
3 |
2017-07
15229
1 하얀고니
|
1930 |
24wan load balancing에대한궁금증 (4) |
comet2665 |
2023-11 |
15228 |
0 |
2023-11
15228
1 comet2665
|
1929 |
10기가 네트워크로 컴퓨터 10~15대정도 연결하려면??? (10) |
후리지아 |
2015-02 |
15222 |
1 |
2015-02
15222
1 후리지아
|
1928 |
FortiWiFi 60D 설정 문의드립니다. (3) |
iodides |
2018-01 |
15201 |
0 |
2018-01
15201
1 iodides
|
1927 |
뒷북| IPTime에서 wireguard 사용 (4) |
witbox |
2023-05 |
15149 |
0 |
2023-05
15149
1 witbox
|
1926 |
router in router (해결) (6) |
김은호 |
2014-12 |
15102 |
0 |
2014-12
15102
1 김은호
|
1925 |
내부네트웍에서 DDNS 가 왜 이렇게 동작할까요?? (7) |
큰곰하우스 |
2017-07 |
15102 |
2 |
2017-07
15102
1 큰곰하우스
|
왜 문제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셨을까요? 특별히 신경쓰이시는 요소가 있나요?
손자리 하나 끄면 해당 관물려있는 PC들... 패킷오류떠서 핑랙걸린다고해서요.
전파 간섭이 생기는 것을 찾을 수 있는 테스터기가 있나요??
개인적으로 CAT6 이상 케이블은 전문 제조사에서 재단해서 만들어 오던지 테스트된 완제품이 아니면 못 믿는다라고 생각합니다..
위 상황이면 케이블 전문으로 만들어주는 기사가 와서 작업해줘야죠,,
문제는 어쩔 수 없지만 자금의 문제가..
- 10G 의 경우 CAT6 이상의 케이블링이 요구 됩니다. 다만 CAT5.E 인 경우 20-30m 까지는 link up 은 될 것입니다.
- 10G 의 경우 번들 케이블 ( 2pair 선 이 다발로 있는 ) 환경에서는 10G 이더넷은 불가 하며 싱글 케이블링 ( 독립적인 4pair 선 하나 하나 ) 이 요구 됩니다.
- 싱글 케이블도 여러 개를 묶어 포설이 된다면 상호 간의 cross talk 은 피할수 없습니다.
- Cross talk 으로 인한 paket loss 와 하위 link speed 로의 shift-down 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Link 의 shift-down 이 일어난다면 케이블링 환경을 살펴봐야 하며 packet loss 의 경우 간헐적인지 혹은 연속적인 대량 발생으로 성능 저하 인지를 판별하여야 하며 결과에 따라 대처를 해야 합니다.
- 시중에 커넥터까지 붙여 상용으로 판매 되는 ( 버젓이 시험 성적서 까지 붙여서 ) 케이블 중 불량 케이블 들이 상당 하니 주의가 필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