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연구실 네트워크 관련

어석   
   조회 23725   추천 0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관련되어서 검색할때마다 좋은 정보 얻다가, 직접적인 조언을 구하고 싶어서 질문올립니다.

현재 저희 연구실에서는  현재 아래와 같이 서버를 운용중에 있습니다.


- KT 원선을 연구실 벽을 통해 받고 있고 (1G 입니다.)

- QNAP 10G 스위치에 원선이 들어가고, 공인 IP를 가진 서버와 공유기로 연결됩니다.

- 공인 IP 할당을 못받은 서버에 접근하기 위하여, 공유기에 연결된 서버 및 나스를 포트포워딩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가끔 나스로 데이터를 전송을 걸게되면 

IPtime 밑에 있는 서버들의 접근 속도(VNC/SSH 등 연결)이 너무 낮아져서 사용을 하기 힘든 정도가 되는데요.

최대한 공유기 밑에 있는 서버들을 공인 IP로 돌리거나, 내부망으로 돌리는 중이긴 한데 혹시 이러한 상황에서 장비 업그레이드를 통한 문제 해결이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3-11
IPTIME 공유가 모델이 어떻게 되나요??

IPTIME 공유기 밑의 사설 IP 쪽 컴퓨터들은 다 공유기와 다이렉트 연결인가요??

사설 IP 컴퓨터 네트워크 라인들을 튼튼한 24포트 급 정도의 스위치로 연결하고 스위치 윗단으로 공유기 연결하면 어느 정도 개선 가능할 것 같은데요..

물론 공유기 성능이 어느 정도 받쳐 준다는 전제 조건 하 입니다..
     
어석 2023-11
안녕하세요.
A800-4NS-M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공유기를 드릴때는 사설 IP 서버와 나스가 들어갈거라고 생각을 못했었습니다.

일단, IPTIME 밑에 연결은 모두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IPTIME 밑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공유기 업그레이드 정도 생각해 보면 되겠네요.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제품이 있으실까요?
금액은 최대 100~200정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3-11
https://www.2cpu.co.kr/sell/557839?&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cisco&sop=and

https://www.2cpu.co.kr/sell/556994?&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BD%BA%C0%A7%C4%A1&sop=and

중고도 괜찮으시면 위의 시스코 스위치나 넷기어 724T V4 같은 것이 쓸만 합니다..

단 펌웨어 업데이트나 셋팅 (셋팅은 거의 할 것이 없지만)은 알아서 해야 합니다.. AS도 안된다고 보셔야 됩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2981227&cate=11330212

다나와 뒤져 보았는데 그다지 마땅한 제품이 안보이네요 기가비트 24포트 정도에 30~40만원 정도 그리고 메니지먼트가 되면 됩니다..

해당 넷기어 제품은 나온지 얼마 안된 것 빼고 스펙만 보면 큰 문제 없을 것입니다..

넷기어코리아 정품을 구매하시고 넷기어 코리아에 제품 등록하시면 기술지원 /AS 재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외 장비 들인지 오래되었고 케이블 상태가 별로라면 케이블을 좀 좋은 것으로 바꾸면 좋습니다..

제가 제시하는 케이블은 LS 전선 제품으로 커넥터도 같은 LS전선 제품으로 주문 제작하면 품질은 확실합니다..

대신 가격은 중국산보다는 2배 정도 더 비싸긴 합니다..


공유기는 조금 된 제품이지만 그래도 성능으로는 상위 제품이라 큰 문제 없으면 안 바꾸셔도 문제 없을 듯합니다..


대략 구성하면

공유기 --- 10G 스위치 --- 각 PC와 서버
          ---  1G 스위치  --- 각 PC와 서버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3-11
만일 가능하시면 다른 곳에서 기가비트 스위치 빌려서 성능테스트 해보시고 성능이 나오면 그 때 구매하셔도 될 듯합니다..

원하는 문제가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공유기 성능 문제로 갈 수밖에 없는데 유무선 공유기로 돈백만원 가까이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여지며

기업용 라우터는 셋팅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셋팅을 위해 공부 많이 해야 합니다..)

만일 pfsence가 구축이 가능하시다면 옛날 PC라도 랜카드 몇개 꼽아서 셋팅하여 운영하면 공유기(라우터) 문제는 많이 해결됩니다..

그리고 공인 IP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보안에 문제가 되긴 합니다..

그 윗단에 방화벽이 있으면 좋지만 방화벽도 한두푼 하는게 아니라서 쉽지는 않습니다..
     
어석 2023-11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공인 IP 쪽은 제공해주는곳과 회사에서 방화벽을 두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어서 큰 문제 없이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1년정도 전에 취약한 비밀번호로 인해 서버 1개가 침투당하긴 해서 확실히 공인 IP 사용하는것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네요.
우선 남는 CISCO SG300-10MP가 있어서 공유기 밑에 달아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제가 네트워크쪽은 잘 몰라서,
혹시 공유기 --- 10G --- 각 PC/Server (<-- 이 부분에서도 공인 IP 이용이 가능한가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3-11
제가 네트워크 망을 조금 착각한 듯 합니다..

인터넷 라인1G === 10G 스위치 (각 PC/Server : 공인 IP ) === IPTIME 공유기 1G === (각 PC/Server : 사설IP )  이 상태에서

인터넷 라인1G === 10G 스위치 (각 PC/Server :공인 IP ) === IPTIME 공유기 1G === 메니지먼트 스위치 허브 1G =====(각 PC/Server :사설 IP ) 

이 상태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스위치 허브의 역활은 각 PC/Server 들의 트래픽을 정리해준다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공유기에 직접 물리면 각 PC/Server 들의 트래픽 부하들이 공유기의 CPU 부하로 가게 됩니다..


그 외 현재 운영하시는 중에 IPTIME 공유기의 CPU 부하가 몇 % 까지 올라가는지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석 2023-11
감사합니다.
공유기 밑에 스위치 허브 두고 사용해보겠습니다.
               
어석 2023-11
안녕하세요.
한가지 더 질문드려도 될까요?
혹시 장터에 있는 Cisco Nexus 3172TQ 10GT 제품 산뒤, 공유기를 스위치 위에 넣고 사용하는것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현재 10G망 대역을 따로 Ip를 부여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부분은 큰 문제가 없을까요?
                    
박문형 2023-11
아마도 문제는 없을 듯합니다..

그런데 시스코 스위치는 공부 좀 마니 하셔야 할 겁니다..

시스코 기업용 제품이 네트워크쪽에서 최고의 제품이긴 합니다만

그냥 연결한다고 동작하는 스위치는 아니고 셋팅을 재대로 해야 하고 시스코의 펌웨어인 IOS를 올려서 최신을 유지해줘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시스코 리설러 같은 곳에서 유지보수를 받거나 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시스코 재대로 사용하려면 돈이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해당 제품 매뉴얼이나 셋팅 방법 찾아서 혼자 가능하신지 알아보세요..
                         
어석 2023-11
무턱대고 사면 큰일날뻔 했군요.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3-11
500메가정도만 되어도 GW의 NAT성능에 따라 제성능 안 나오거나 합니다

기가쯤 되면 더 문제될꺼같네요

예산을 어느정도 확보 가능하고, 하위 장치가 4~5대정도라면 SOHO용 장비 구매하시면 충분해보입니다 (직접 구축및 관리하셔도 되지만, 피로해요)

그리고 우측의 서버군이 직접 IP 받는게 필수가 아니라면 전부 포워딩으로 처리하고, 로컬 네트워크로 묶어버리면 GW성능이랑 무관하게 속도 잘 나옵니다 (10G 스위치로 다 묶으면 최대 10기가까지 될테니 지금이랑 비교도 안 되는 속도 나옵니다)
     
어석 2023-11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부분을 잘 이해를 못하여서, 공유기 쪽을 업그레이드 하면 될까요?

우측 서버및 좌측 서버는 10G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현 상황과 무관하여 그림에 표시는 안했습니다만 10G 랜카드를 모두 달아서, 내부 IP로 10G망 사용하고 있습니다.)
          
dateno1 2023-11
내부 주소 있다면 거기로 전송하게 하세요 (차라리 NAS에 10기가 NIC 다세요)

굳이 중간에 1기가짤 장비를 거쳐서 가게 만들어서 전송 10배로 느리게 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저 구조로는 아무리 잘 나와봤자 1기가가 끝입니다
               
어석 2023-11
확인이 늦었습니다.

나스 또한 IPTIME 과 10G 스위치 이렇게 두개 연결되어있습니다.
10G통신은, IP 대역대를 다르게하여서 내부에서는 10G로 통신되게 해두었습니다.
                    
dateno1 2023-11
그럼 원격도 내부 전용인 10기가쪽으로 해주세요

보안 고려해도 이쪽이 나아보입니다
                         
어석 2023-11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내용 대로 구성해보겠습니다.
버즈 2023-11
제가 모르는 게 있겠지만 너무 궁금하여 댓글 남깁니다...

공유기는 왜 쓰시는건가요?
그냥 다 큐냅 스위치에 직결해버리면 되는것 아닌가요?
그러면 전부 공인아이피 떨어지는데 방화벽 하나 사셔서 스위치 윗단에 붙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어석 2023-11
안녕하세요.
확인이 늦었습니다.
공유기는 연구실 내부에 개인 노트북 및 기기들 와이파이 사용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인 IP를 더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서버가 늘어난 상황이라 외부접근을 위해 IPTIME 밑에 공인 IP가 없는 서버를 연결하여 접근하고 있었습니다.
MOONL 2024-04
저라면 차라리 "외부-공유기(라우터)-qnap-서버들"
이렇게 하겠습니다.
저도 연구실에서 인프라 구축해봤는데, 외부로 열려 있으면 공격에 답이 없었습니다. 다들 본인 공부한다고 서버 보안성은 개나 줘버렸죠.
그냥 전부 공유기 아래에 두고 서버 1개에 wireguard 서버 올려서 vpn 접속해서 쓰는게 맘편합니다.
외부에서 누구나 접속해야 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nginx나 포트포워딩 하면 되고요.
연구실에 그런 서비스는 거의 없고 개별로 접속해야 하니 vpn이 가장 안전하고 모두가 편했습니다.


제목Page 1/19
04-06   367   라면사리추…
03-27   1517   Babmabar
02-27   1641   비쥬얼
01-28   4589   HQLee
01-13   3165   맑은하늘12
2024-12   5138   ggacgung
2024-11   4672   임재민
2024-09   7486   NinaDobrev
2024-08   5416   attention0
2024-07   3832   다비니
2024-06   5831   redalert3
2024-04   8652   김승현1
2024-04   8443   김승현1
2024-03   3642   파이트복서
2024-03   3559   Miru
2024-03   3041   asdf123123
2024-02   4244   1z2z
2024-02   4776   junkaa
2024-02   3935   워드프레스
2024-02   3046   홀릭0o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