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 |
내부망 라우터 추천부탁드림니다. (10) |
INMD |
2023-12 |
4326 |
0 |
2023-12
4326
1 INMD
|
1985 |
(완료) 시스코 AP 펌웨어/Mobility Express OS관련.. (5) |
Rainwalk |
2023-12 |
3302 |
0 |
2023-12
3302
1 Rainwalk
|
1984 |
1Gb 인터넷 환경을 만드는 것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네요 (14) |
생맥주 |
2023-12 |
4133 |
0 |
2023-12
4133
1 생맥주
|
1983 |
시스코 AP가 미크로틱 ARP에는 보이나 DHCP서버의 lease에 안보… (2) |
Rainwalk |
2023-12 |
2829 |
0 |
2023-12
2829
1 Rainwalk
|
1982 |
vpn속도 올릴 방법이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13) |
siruix |
2023-12 |
2874 |
0 |
2023-12
2874
1 siruix
|
1981 |
미크로틱 Filter Rule 순서 관련 질문입니다. (4) |
Rainwalk |
2023-12 |
2501 |
0 |
2023-12
2501
1 Rainwalk
|
1980 |
미크로틱 라우터 온도 질문입니다 (8) |
Rainwalk |
2023-12 |
2319 |
0 |
2023-12
2319
1 Rainwalk
|
1979 |
내부망 + 인터넷 2.5g 구축했습니다 (9) |
엘레오노르 |
2023-12 |
4337 |
0 |
2023-12
4337
1 엘레오노르
|
1978 |
최상단 라우터(공유기)의 DHCP 를 Cisco 스위치에서 데탑으로(… (3) |
TheSTREET |
2023-12 |
3809 |
0 |
2023-12
3809
1 TheSTREET
|
1977 |
2960L-16TS-LL 부트로더는 해결을 봤습니다만... (2) |
TheSTREET |
2023-11 |
3604 |
0 |
2023-11
3604
1 TheSTREET
|
1976 |
C2960L-16TS-LL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도와주세요 (3) |
TheSTREET |
2023-11 |
3487 |
0 |
2023-11
3487
1 TheSTREET
|
1975 |
Cisco Catalyst 2960L 16TS-LL 업링크 변경 가능한가요? (2) |
TheSTREET |
2023-11 |
3435 |
0 |
2023-11
3435
1 TheSTREET
|
1974 |
미크로틱 라우터에 SSTP VPN 접속시 내부 시놀로지가 안보이는 … (1) |
Rainwalk |
2023-11 |
3393 |
0 |
2023-11
3393
1 Rainwalk
|
1973 |
vpn기기 인터넷 연결 불가시 질문 드립니다. (1) |
유유히21 |
2023-11 |
3208 |
0 |
2023-11
3208
1 유유히21
|
1972 |
미크로틱 CCR1009에 시스코/아루바 무선AP 연결방법 질문입니다. (8) |
Rainwalk |
2023-11 |
4157 |
0 |
2023-11
4157
1 Rainwalk
|
1971 |
10G 랜카드 pci 슬롯 속도관련 (x520) (8) |
센토우노 |
2023-11 |
4320 |
0 |
2023-11
4320
1 센토우노
|
1970 |
static 질문입니다. (1) |
지며리 |
2023-11 |
3430 |
0 |
2023-11
3430
1 지며리
|
1969 |
vlan의 세컨더리 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7) |
산수익힘책 |
2023-11 |
6601 |
0 |
2023-11
6601
1 산수익힘책
|
1968 |
랩실 네트워크 구성 문의드립니다 (7) |
원탱이방굴이 |
2023-11 |
12737 |
0 |
2023-11
12737
1 원탱이방굴이
|
1967 |
사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안정적인 라우터/공유기 추천 부탁… (8) |
ertos21 |
2023-11 |
13925 |
0 |
2023-11
13925
1 ertos21
|
둘중 어느걸로 할껀지 물으신다면 1로 가세요
집안 음영지역에 유선으로 Extender를 붙여서 쓸까도 생각중입니다.
==> 어느 정도의 거리인가요?? 중간에 장애물이 있나요?? 사용하시는 공간에 다른 곳에서 많은 무선이 들어오나요??
투자가 가능하시면 매쉬가 지원되는 라우터를 많이 구해서 셋팅하면 됩니다..
무선의 세기를 올려버리면 전파법위반으로, 걸리면 벌금이 크게 나옵니다..
거실 바로 옆에 있는 주방만 가도 링크속도가 500M 대로 떨어지고
방에 들어가면 바로 100M 대로 떨어집니다.
아마도 사용하시는 환경이 외부에서 무선이 여러가지가 들어와서 서로 싸우는 것 같은데
주파수 체널 변경을 하던지 2.4G만 사용하면 5G로 바꾸던지 해서 빈 주파수 체널을 찾아서 셋팅해보세요..
그리고 공유기만 AX 라면 AX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양쪽 다 무선의 AX를 지원해야 합니다..
방으로 들어가서 무선 신호가 약해지는 것은 콘크리트 벽 때문입니다.. 특히나 철근이 들어가면 더 많이 약해지죠..
집이 얼마나 큰지는 모르겠지만
집에서 무선 빵빵하게 사용하려면 매쉬 공유기(라우터)를 방마다 유선으로 연결하고 셋팅해서 사용하는 정도가 다일 겁니다..
무선의 세기가 약하더라고 사용상에만 문제 없으면 사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집안의 모든 영역을 최대의 무선세기로 연결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와이파이 무선을 아주 세게 만들면 사람에 따라서는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무선이 사용하는데는 편해서 좋지만 몸에는 그다지 좋지 못한 것입니다..
저는 무선을 그다지 사용하지 않아서 그런지 (스마트 폰에서만 사용) 통신사 AC공유기로도 큰 문제 없이 사용중입니다..
대략 35평형의 아파트 공간이고 무선 공유기는 거실 구석에, 제 방과 거실은 벽이 하나 막고 있습니다..
집은 크지도 않은 24평대 아파트 인데...
채널은 이리저리 바꿔도 큰 차이는 없고
AP위치를 한번 바꿔봐야 겠습니다.
물론 지금도 휴대폰으로 wifi 쓰는건 아무문제없는데
1Gb 인터넷에 걸맞는 무선 링크 속도를 유지 하려고 욕심을 내니 이 사달이 나는것 같습니다. ㅎㅎㅎㅎ
장비를 중고로 구하시는 것도 방법이긴 하고요
생각보다 체감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