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아 MESH 구성에 대해 공부하다가
공유기를 AP 모드로 구성하는 것과,
IPtime 이나, Asus공유기를 연결해서 MESH 를 구성하는 것이 개념적으로 다른 것 이란것 정도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TPLINK Omada 클라우드 컨트롤러 OC200, OC300 을 알게 되었는데요
여기 샘플링으로 해둔 구성이 전부다 TPLINK 라우터 아래에 L2 Manage 스위치, 자사 Omada AP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음
1. Tplink OC200 으로 메쉬망을 구성가능 한 것은 Omada AP 로만 가능한지?
2. Tplink OC200 은 미크로틱 라우터 하단에서 붙여서 메쉬망 구성이 가능한지 ?
아니면 TPLink 의 샘플에 있는것과 같은 Omada 지원 라우터에서만 가능 한지?
3. OC200을 사용하려면, 꼭 L2 관리형 스위치가 필요 한건지..
궁금하네요
지금 사무실에는 미크로틱 RB4011 이 메인이며, 그 하단에 넷기어 724 모델, GS524 모델들이 있습니다.
현재 단순 라우터 하단에 L2 모드로만 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라우터에서 Vlan으로 구성하여 IPTime 공유기 T5008 하나에
무선공유기를 연결하여 Mesh를 구성하는데 생각보다 접속자 수가 많이 못 붙네요.
개선해보고자 하는데.. 가성비 있게 준비하려 합니다.
HPE, 시스코 장비처럼.. 고가는 어렵습니다.
설치 현장은 교회 입니다.
현재 제가 관리 중에 있으며 주일에 사람들이 최대 많이 몰립니다.
무선랜 사용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증원을 해야 합니다. (MAX 500명) 예상 합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이미 시험해본적 있는데 AP 제어에 문제 없었습니다
스위치도 아무꺼나 써도 됩니다
시험할떄 굴러다니는 아무 라우터 + 깡통 스위치로도 해봤으니까요
다만 컨트롤러랑 연동 가능한 기종이 아닌걸로 연결된 부분은 모니터링이랑 제어가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라우터를 타사제품 쓰면 트래핑 모니터링같은게 안 되고, 스위치를 타사 제품 쓰면 포트 모니터링이 안 됩니다
그러면, 컨트롤러와 AP는 TPlink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네요.
IP셋팅도 수동으로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좋은건 라우터를 바꾸는 건데.. 그럼.
해야할 일이 너무 많을 것 같습니다. ㅜㅜ
IP는 DHCP 서버에서 Static으로 고정 가능하다면 수동으로 안 줘도 됩니다 (그건 알아서 해주세요)
같은 서브넷에 있으면 알아서 알아먹습니다
국내시장에서 가성비 좋은 다른 제조사 것을 사용하고 싶어도 딱히 쓸만한 제조사가 없는 것도 현실이긴 합니다..
IPTIME MESH 구성은 어떤 AP를 몇개나 설치하셨는데 사용이 불편하셨나요??
AP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1개의 AP가 받을수 있는 접속자의 수는 의외로 적습니다..
아마 대략 AP 1개당 10~20명 동시 접속이 한계치 일 것 입니다..
결국에는 RB4011 하단에 각자 공유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