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7 |
사내 네트워크 핑 튀는 증상 (6) |
임프로 |
2024-08 |
5815 |
0 |
2024-08
5815
1 임프로
|
2066 |
회사 컴퓨터에 SSH로 접속하는 방법 (10) |
attention0 |
2024-08 |
5410 |
0 |
2024-08
5410
1 attention0
|
2065 |
안녕하세요 네트워크를 아예 모르는 개발자입니다. 속도이슈에 … (17) |
krDeveloper |
2024-08 |
4886 |
0 |
2024-08
4886
1 krDeveloper
|
2064 |
네트워크 고수님들, 서버 NFS 속도 질문 드립니다. (4) |
attention0 |
2024-08 |
3620 |
0 |
2024-08
3620
1 attention0
|
2063 |
궁금한게 있어서 올립니다.(HPE 5510 스위치) (11) |
건수선경아빠 |
2024-08 |
5382 |
0 |
2024-08
5382
1 건수선경아빠
|
2062 |
CCTV 120여대 운용 관련 궁금한점 (17) |
카이제린 |
2024-07 |
7664 |
0 |
2024-07
7664
1 카이제린
|
2061 |
skb반기가를 설치했는데, 공유기가 100메가 속도만 나오길래 (6) |
버들68 |
2024-07 |
8947 |
0 |
2024-07
8947
1 버들68
|
2060 |
유쁠 가정용에 IPv6가 들어오네요? (4) |
닉네임 |
2024-07 |
7739 |
0 |
2024-07
7739
1 닉네임
|
2059 |
Arista, cisco 스위치 및 트랜시버 관련 질문 (9) |
안녕해요 |
2024-07 |
8052 |
0 |
2024-07
8052
1 안녕해요
|
2058 |
WLC C9800<->cisco ap<->user 간의 통신 과정에 대… |
네에엥트트… |
2024-07 |
7021 |
0 |
2024-07
7021
1 네에엥트트…
|
2057 |
랜케이블이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랜케이블 찾는 방법 (2) |
chotws |
2024-07 |
5972 |
0 |
2024-07
5972
1 chotws
|
2056 |
sophos xg 로그에 아이피 문의드립니다. |
우주소년 |
2024-07 |
3824 |
0 |
2024-07
3824
1 우주소년
|
2055 |
CSS610-8G-2S+IN 연결 관련 문의 입니다 (11) |
iaj04 |
2024-07 |
4151 |
0 |
2024-07
4151
1 iaj04
|
2054 |
10G 내부 네트워크 구성중 공유기-L2스위치 간의 질문이 있습니다 (7) |
ZGERO |
2024-07 |
4650 |
0 |
2024-07
4650
1 ZGERO
|
2053 |
홈네트워크 스위치 구성 질문 (8) |
다비니 |
2024-07 |
3819 |
0 |
2024-07
3819
1 다비니
|
2052 |
KT 가정용 인터넷 유동IP 관련 선배님들의 조언 구합니다... (14) |
ckzkdsyd2 |
2024-07 |
4711 |
0 |
2024-07
4711
1 ckzkdsyd2
|
2051 |
집에서 갖고놀 콘솔 스위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archetype |
2024-06 |
6183 |
0 |
2024-06
6183
1 archetype
|
2050 |
작은회사 네트워크 질문. 네트워크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20) |
수수퍼맨 |
2024-06 |
7778 |
0 |
2024-06
7778
1 수수퍼맨
|
2049 |
작은회사 네트워크 질문. 네트워크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1) |
박문형 |
2024-06 |
5727 |
0 |
2024-06
5727
1 박문형
|
2048 |
Proxmox X710-DA2 SR-IOV 적용 테스트 (5) |
람다람쥐 |
2024-06 |
6554 |
0 |
2024-06
6554
1 람다람쥐
|
10M~20M 정도까지는 괜찮은데,
짧은거리도 간혹 링크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케이블 문제는 확인해보는 방법이..
모듈 2개 모두를 랜카드에 끼우고, 루프백 형태로 1:1 연결해보세요
여기서 링크가 안올라오면 카드/모듈/케이블중 하나가 문제입니다.
동일한 형태로 스위치에서 포트 2개 루프백형태로 연결 해서
링크가 올라오면 랜카드 문제이고
역시 링크가 안올라오면 모듈/케이블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멀티모듈이면 모듈 내부 2개 광단자중에서 1곳에 붉은색 불빛이 나오는지 확인해보는데
눈으로 바로 보면 좋지 않으니, 스마트폰 카메라로 동영상을 찍으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스위치 루프백 형태는 스위치 ip 입력해서 접속해서 확인해 보면 되는거 겠죠??
랜카드든 스위치든 물리적 링크가 되면 LED에 불이 들어오느 그걸 확인하시면 됩니다.
스위치에 따라서 루프백으로 연결하면, 인터페이스를 disable 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 루프 방지 )
주의하실점은, 다른 장비나 네트워크에 영향이 갈 수 있으니, 실제 워킹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확인하시지 마시구요.
혹시 모르니 스위치의 펌웨어를 최신버전으로 올려보십시오.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랜카드와 모듈 호환성 문제나 케이블 문제가 아닐지 싶습니다.
case 1. 점등이 안될시 케이블 또는 SFP 점검
case 2. 스위치 SFP 포트는 추가 포트라서 활성화 필요 할 수도 있음. port enable 장비 매뉴얼 확인
간단한 L2 구성이라 장비 설정만 하면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