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를 아예 모르는 개발자입니다. 속도이슈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조회 4868   추천 0    

 현재 IDC 내부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성도

최상단 단말기

--

TrustGuard 70B 

--

WAF (장비 모델명 모르는 상황)

--

시스코 카탈리스트 2960-X 24포트


-- 별도 --

시스코 SG92-24 24포트


이렇게 연결이 되어있으며 이 아래에 서버 10대가 묶여있습니다.


시스코 카탈리스트 2960-X에서 서버 10개로 공인 IP셋팅을 하고 있으며 

시스코 SG92-24에서 사설 아이피로 서버 10개로 연결해둔 상태입니다.


여기서 문제의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ㅠ.ㅠ

현재 회사는 300Mbps의 대역을 사용중인데요.

서버는 웹서버 2대와 DNS 서버1대를 포함하고있습니다.

사용자가 저희 서비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받아가는 상황에 사용자에게 10~20Mbps의 속력으로 데이터를 전송중입니다.

제가 네트워크 자체를 아예 몰라서 그런데 혹시나 300Mbps를 10대의 서버가 나눠갔는 개념일까요??

찾아보면 중간 장비(카탈리스트 2960-X) 스위치에서 모두 개별적으로 300Mbps를 제공받는다고는 하는데 제가 찾다보니 저희 2960-X가 브리지모드인거같은데 혹시나 해당 모드가 이슈일까요 ㅠ.ㅠ

네트워크를 전혀 모르기에 제가 느낀 현재 상황을 기록합니다 ( 네트워크 담당자가 아예 없는 상태라 머리가 지끈거리네요..)


만약 이게 브리지모드라 그런거거나 아니면 다른원인일 수 있다면

제가 점검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탈리스트 2960-X 장비의 상태를 보는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강호 2024-08
TrusGuard나 WAF 장비의 사용량을 먼저 체크하세요.
     
krDeveloper 2024-08
사용량이라 하시면 열려있는 대역을 말씀하시는걸까요?
모두 1000으로 열려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TrustGuard의 경우 확인하면 중간의 카탈리스트2960-X의 총 트래픽이 합산되어 MIN / MAX 확인이 가능한데 현재 평균 160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박문형 2024-08
총서버가 10대이고
2대가 웹서버,1대가 DNS 서버, 나머지 7대는 무엇인가요??

하나의 서버에 공인 IP 랜선 하나, 사설 IP 랜선하나
총 두개의 랜선이 꼽혀있는 것인가요??
     
krDeveloper 2024-08
총 서버 10대이며
나머지 7대의 서버중 2개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입니다.
5대는 파일가공서버입니다

위에서 잘못된 설명이 하나 있는데
사설 은 따로 기기만 구성해서 사설아이피면 구성되어있는 상태입니다.

한 컴퓨터에 총 2개의 랜이 꽂혀있습니다.
박문형 2024-08
300Mbps 를 사용중이다라는 것은 IDC와 인터넷선 계약할때 300Mbps 인가요??

만일 그렇다면 외부에 연결된 네트워크 대역폭이 300Mbps 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장비와 방화벽 등에 연결되어 있을텐데 외부의 인터넷선과 첫번째 장비만 300Mbps 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밑단은 아마 랜포트당 기가비트 (1000Mbps) 로 연결되어 있을 겁니다..

10대의 장비 모두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마도 기가비트 일것입니다..

그런데 외부에서 유져가 들어와서 연결되는 서버는 아마 웹서버 2대가 전부 다 일것이고요..

이것도 외부에서 300Mbps 로 연결되어 있기에 외부에서 유져들이 데이터를 땡기거나  보내거나 할때 최대 300Mbps 입니다..

트러스트 가드에서 평균 160이라고 나오는 것은 아마 160Mbps 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정확한 문제가 무엇인가요??

유져들이 네트워크가 느려서 서비스가 재대로 안된다고 하는 것인가요??



나마지 서버들은 웹서버에서 나오는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유져들에게 오픈한다거나 데이터를 등록한다거나 하는 것들이고

이것들은 아까 이야기 한대로 기가비트 네트워크로 동작할 것입니다..


요즘시대에 100Mbps 스위치 허브는 거의 유물급이라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셔야 하고요..

물론 메니지먼트 스위치허브에서는 셋팅해서 각포트 대역폭 조절도 가능합니다..
     
krDeveloper 2024-08
말씀하신거와 같이 현재 회사와 IDC가 계약한 상품이 300Mbps 상품입니다.
말씀거와 같이 그 밑단의 장비들은 1000Mbp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외부에서 유저가 접근하는 서버는 웹서버 2대입니다.
1대는 웹 데이터이며 1대는 파일을 가지고 있는 서버입니다.

현재 예를들어 150MB 파일을 유저가 받는데 걸리는 시간이 10Mbps급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시접속자는 200~300명을 왔다갔다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서버입장에서 업로드 속도가 현저히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
          
김강호 2024-08
1대가 WAS고 1대가 컨텐츠 제공 서버라면 컨텐츠는 어떻게 유저에게 제공되나요?
               
krDeveloper 2024-08
파일은 유저가 해당 파일용 웹서버로 직접 접근하여 받는 방식입니디!
박문형 2024-08
200~300명 (user) x 10Mbps = 2,000 ~ 3,000Mbps

이 정도의 인터넷 대역폭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IDC에 이야기 해서 인터넷 전송속도를 높힐 수는 있겠지만 1달 사용료가 장난 아니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방화벽도 대역폭이 늘어나면 더 큰 장비로 바꾸던가 방화벽 서비스 계약을 다시해야 할겁니다..

우선 이런 식으로 인터넷 대역폭을 넓히지 못한다면 답이 없습니다.. (물리적으로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이라 어쩔수 없습니다..)



만일 내부 서버의 트래픽이 높게 나온다면 (스위치 한계급이라면) 10G로 내부네트워크를 높힌다던지 L4 스위치를 통해 각 서버단들을 로드밸런싱해주면 될 겁니다..

L4 스위치는 장비값도 장비값이지만 그냥 장비 설치한다고 다되는게 아니고 전문가가 와서 셋팅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서비스 하는 프로그램쪽을 튜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개발자, 개발비 필요)
     
krDeveloper 2024-08
네트워크 관련 종사자라면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
궁금한게 300Mbps를 idc에 계약하였다면

그 아래 스위치에 구성된 서비스들이 그 대역을 나누어쓰는 개념일까요??

스위치는 각 포트별로 대역이 설정도 할 수 있는거 같았는데 300Mbps 계약이면 스위치 각 포트로 300이 모두 흐르는게 아니라 포트들이 고르게 속력늘 나눠서 업 다운에 활용하는 걸 까요?!
박문형 2024-08
네트워크 대역을 대역폭만큼 연결된 서버들이 공유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외부에서 웹서버까지 연결되는 데이터의 흐름은 300Mbps 의 제한을 가지며  내부 서버들끼리는 1000Mbps 의 대역폭을 가집니다..

즉 내부서버들끼리는 최대 1000Mbps 로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내부의 오픈된 웹서버까지는 300Mbps 까지 통신이 가능합니다..


다른 예를 들면

어떤 사무실에 1Gb 인터넷 라인이 들어와 있고 10대의 컴퓨터가 10Gb 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1대의 컴퓨터만 켜서 인터넷을 사용하면 최대 1Gb 로 통신이 가능하며
2대의 컴퓨터를 켜서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면 각각의 컴퓨터는 대략 500Mbps 로 통신이 가능하나 외부와 어떻게 연결되고 통신하느냐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예 : 토랜트로 다운로드 받는 경우)
10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면 각각의 컴퓨터는 대략 100Mbps 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겠죠..

대신 내부의 각 컴퓨터끼리 파일을 주고 받거나 할 때에는 2대가 1:1로 연결되었을때는 최대 10Gb 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krDeveloper 2024-08
비유까지 해주시면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저희 회사 서버구성을 한번다시체크하고 웹서버에서 업로드시 속도가 10-20Mbps수준으러 나아가는 부분을 찾아버겠습니다 10대의사버에서 각자 데이터가 나가는 구조에 대해 분석하여 웹서버가 300은 못쓰더라도 최소 150의 업 다운을 발휘하도록 구축해보겠습니다!!!

스위치에서 속도를 포트별로 재한하는거도 하나의 방법일까요??
예를들어 웹서버는 100을 할당하고 나머지9개는 200으로 나눠서 할당하도록 구축도 가능한걸까요 ㅠ
박문형 2024-08
스위치에서 속도를 포트별로 재한하는거도 하나의 방법일까요??
예를들어 웹서버는 100을 할당하고 나머지9개는 200으로 나눠서 할당하도록 구축도 가능한걸까요 ㅠ

==> 글쎄요.. 메니지먼트 스위치에서 대역폭은 셋팅메뉴를 셋팅함으로써 각 포트의 대역폭을 정해진대로 셋팅할 수 있겠지만

      스위치가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를 느리게 하고 빠르게 하고 하는 것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krDeveloper 2024-08
결국은 대역을 올리거나 특정 서버에서만 외부와 톨신을 시팀으로 업로드 속도를 개선해야하는거군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8
아마 그 전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신 분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신 분이 계실텐데 우선 그 쪽으로 문의하셔서 문제점 상담해보시고요..

그 외 IDC쪽과도 속도가 안나온다라고 상담해보세요..

시스템을 그렇게 구축하였다면 구축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재대로 하려면 유료 서비스 전에 테스트까지 해보죠..
               
krDeveloper 2024-08
조언 감사합니다!!
일단 오늘 오전에 간단하게 기존 작업된 부분에 대해서 개발자분과 구성이유에 대해 서로 토의해보겠습니다.
그 이후 IDC에 문의하여 방안을 모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nbusiness 2024-08
혹시 WAF가 Web Application Firewall이라면 Web Server 성능과 상관없이 WAF filter 성능이 떨어져서 대역폭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것일수도 있으니 확인해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제목Page 3/107
2019-12   3881   에이스김
2020-05   6644   Elsaphaba
2020-09   5273   쭈쭈봉
2022-04   5810   율이율이율
2017-02   16669   스카이크
2017-04   10009   사랑한스푼
2018-01   12181   버프엔지니…
2019-05   14621   김기룡
2021-01   4809   기묘한생활
2021-08   4726   키리에
2024-07   7723   닉네임
2018-03   10095   관중
2019-12   4229   이웃집정씨
2021-06   5858   helplz
2022-07   6409   이사장
2024-11   4643   임재민
2016-03   9729   케리스
2018-04   14436   새총
2019-03   5402   일달
2019-07   7964   가비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