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4 |
서버 초보자 입니다 모델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 |
에이스김 |
2019-12 |
3881 |
0 |
2019-12
3881
1 에이스김
|
2083 |
(1) WebDAV on SSL을 구축하려는데 오류가 발생합니다....... (1) |
Elsaphaba |
2020-05 |
6644 |
0 |
2020-05
6644
1 Elsaphaba
|
2082 |
장터발 도시바 z20t-b SKT 데이터 함께쓰기 유심으로 사용하실 분 (6) |
쭈쭈봉 |
2020-09 |
5273 |
0 |
2020-09
5273
1 쭈쭈봉
|
2081 |
시스코 포트별 속도 차이 발생 및 인터넷 안되는 문제 (8) |
율이율이율 |
2022-04 |
5810 |
0 |
2022-04
5810
1 율이율이율
|
2080 |
광섬유 절단 질문 입니다. (14) |
스카이크 |
2017-02 |
16669 |
0 |
2017-02
16669
1 스카이크
|
2079 |
FTP TLS 관련해서 질문 하나만 여쭙겠습니다. (2) |
사랑한스푼 |
2017-04 |
10009 |
2 |
2017-04
10009
1 사랑한스푼
|
2078 |
EdgeRouter ER-4 가 드디어 유통되고 있습니다. (10) |
버프엔지니… |
2018-01 |
12181 |
0 |
2018-01
12181
1 버프엔지니…
|
2077 |
헤놀로지 랜포트 2개중 내부PC와 다이렉트 연결 구성 질문드립… (7) |
김기룡 |
2019-05 |
14621 |
0 |
2019-05
14621
1 김기룡
|
2076 |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9) |
기묘한생활 |
2021-01 |
4809 |
0 |
2021-01
4809
1 기묘한생활
|
2075 |
L3 스위치 CPU점유율이 높을때 어떤부분을 점검해봐야할지요? C… (2) |
키리에 |
2021-08 |
4726 |
0 |
2021-08
4726
1 키리에
|
2074 |
유쁠 가정용에 IPv6가 들어오네요? (4) |
닉네임 |
2024-07 |
7723 |
0 |
2024-07
7723
1 닉네임
|
2073 |
10G 네트워크 환경에서 속도 질문 드립니다. (3) |
관중 |
2018-03 |
10095 |
0 |
2018-03
10095
1 관중
|
2072 |
cisco AP 구형+신형 모델을 동일대역에서 같이쓰면 문제가 생길… (1) |
이웃집정씨 |
2019-12 |
4229 |
0 |
2019-12
4229
1 이웃집정씨
|
2071 |
인터넷이 1분마다 끊깁니다..ㅠㅠ (7) |
helplz |
2021-06 |
5858 |
0 |
2021-06
5858
1 helplz
|
2070 |
마트 네트워크문제 문의드립니다. (16) |
이사장 |
2022-07 |
6409 |
0 |
2022-07
6409
1 이사장
|
2069 |
홈네트워크 구성 조언부탁드립니다. (10) |
임재민 |
2024-11 |
4643 |
0 |
2024-11
4643
1 임재민
|
2068 |
4포트 랜카드 질문입니다.. (3) |
케리스 |
2016-03 |
9729 |
1 |
2016-03
9729
1 케리스
|
2067 |
4월중 시간이 조금 생겼네요....네떡 LAB TEST 중입니다. (10) |
새총 |
2018-04 |
14436 |
0 |
2018-04
14436
1 새총
|
2066 |
미크로틱'RB2011UiAS) 내부끼리의 통신이 안되네요. (2) |
일달 |
2019-03 |
5402 |
0 |
2019-03
5402
1 일달
|
2065 |
미크로틱 CRS305에 물렸을 때 pc의 인터넷 화면 로딩 속도가 느… (6) |
가비의리 |
2019-07 |
7964 |
0 |
2019-07
7964
1 가비의리
|
모두 1000으로 열려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TrustGuard의 경우 확인하면 중간의 카탈리스트2960-X의 총 트래픽이 합산되어 MIN / MAX 확인이 가능한데 현재 평균 160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2대가 웹서버,1대가 DNS 서버, 나머지 7대는 무엇인가요??
하나의 서버에 공인 IP 랜선 하나, 사설 IP 랜선하나
총 두개의 랜선이 꼽혀있는 것인가요??
나머지 7대의 서버중 2개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입니다.
5대는 파일가공서버입니다
위에서 잘못된 설명이 하나 있는데
사설 은 따로 기기만 구성해서 사설아이피면 구성되어있는 상태입니다.
한 컴퓨터에 총 2개의 랜이 꽂혀있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외부에 연결된 네트워크 대역폭이 300Mbps 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장비와 방화벽 등에 연결되어 있을텐데 외부의 인터넷선과 첫번째 장비만 300Mbps 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밑단은 아마 랜포트당 기가비트 (1000Mbps) 로 연결되어 있을 겁니다..
10대의 장비 모두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마도 기가비트 일것입니다..
그런데 외부에서 유져가 들어와서 연결되는 서버는 아마 웹서버 2대가 전부 다 일것이고요..
이것도 외부에서 300Mbps 로 연결되어 있기에 외부에서 유져들이 데이터를 땡기거나 보내거나 할때 최대 300Mbps 입니다..
트러스트 가드에서 평균 160이라고 나오는 것은 아마 160Mbps 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정확한 문제가 무엇인가요??
유져들이 네트워크가 느려서 서비스가 재대로 안된다고 하는 것인가요??
나마지 서버들은 웹서버에서 나오는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유져들에게 오픈한다거나 데이터를 등록한다거나 하는 것들이고
이것들은 아까 이야기 한대로 기가비트 네트워크로 동작할 것입니다..
요즘시대에 100Mbps 스위치 허브는 거의 유물급이라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셔야 하고요..
물론 메니지먼트 스위치허브에서는 셋팅해서 각포트 대역폭 조절도 가능합니다..
말씀거와 같이 그 밑단의 장비들은 1000Mbp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외부에서 유저가 접근하는 서버는 웹서버 2대입니다.
1대는 웹 데이터이며 1대는 파일을 가지고 있는 서버입니다.
현재 예를들어 150MB 파일을 유저가 받는데 걸리는 시간이 10Mbps급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시접속자는 200~300명을 왔다갔다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서버입장에서 업로드 속도가 현저히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인터넷 대역폭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IDC에 이야기 해서 인터넷 전송속도를 높힐 수는 있겠지만 1달 사용료가 장난 아니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방화벽도 대역폭이 늘어나면 더 큰 장비로 바꾸던가 방화벽 서비스 계약을 다시해야 할겁니다..
우선 이런 식으로 인터넷 대역폭을 넓히지 못한다면 답이 없습니다.. (물리적으로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이라 어쩔수 없습니다..)
만일 내부 서버의 트래픽이 높게 나온다면 (스위치 한계급이라면) 10G로 내부네트워크를 높힌다던지 L4 스위치를 통해 각 서버단들을 로드밸런싱해주면 될 겁니다..
L4 스위치는 장비값도 장비값이지만 그냥 장비 설치한다고 다되는게 아니고 전문가가 와서 셋팅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서비스 하는 프로그램쪽을 튜닝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개발자, 개발비 필요)
궁금한게 300Mbps를 idc에 계약하였다면
그 아래 스위치에 구성된 서비스들이 그 대역을 나누어쓰는 개념일까요??
스위치는 각 포트별로 대역이 설정도 할 수 있는거 같았는데 300Mbps 계약이면 스위치 각 포트로 300이 모두 흐르는게 아니라 포트들이 고르게 속력늘 나눠서 업 다운에 활용하는 걸 까요?!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외부에서 웹서버까지 연결되는 데이터의 흐름은 300Mbps 의 제한을 가지며 내부 서버들끼리는 1000Mbps 의 대역폭을 가집니다..
즉 내부서버들끼리는 최대 1000Mbps 로 통신이 가능하고 외부에서 내부의 오픈된 웹서버까지는 300Mbps 까지 통신이 가능합니다..
다른 예를 들면
어떤 사무실에 1Gb 인터넷 라인이 들어와 있고 10대의 컴퓨터가 10Gb 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1대의 컴퓨터만 켜서 인터넷을 사용하면 최대 1Gb 로 통신이 가능하며
2대의 컴퓨터를 켜서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면 각각의 컴퓨터는 대략 500Mbps 로 통신이 가능하나 외부와 어떻게 연결되고 통신하느냐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예 : 토랜트로 다운로드 받는 경우)
10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면 각각의 컴퓨터는 대략 100Mbps 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겠죠..
대신 내부의 각 컴퓨터끼리 파일을 주고 받거나 할 때에는 2대가 1:1로 연결되었을때는 최대 10Gb 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현재 저희 회사 서버구성을 한번다시체크하고 웹서버에서 업로드시 속도가 10-20Mbps수준으러 나아가는 부분을 찾아버겠습니다 10대의사버에서 각자 데이터가 나가는 구조에 대해 분석하여 웹서버가 300은 못쓰더라도 최소 150의 업 다운을 발휘하도록 구축해보겠습니다!!!
스위치에서 속도를 포트별로 재한하는거도 하나의 방법일까요??
예를들어 웹서버는 100을 할당하고 나머지9개는 200으로 나눠서 할당하도록 구축도 가능한걸까요 ㅠ
예를들어 웹서버는 100을 할당하고 나머지9개는 200으로 나눠서 할당하도록 구축도 가능한걸까요 ㅠ
==> 글쎄요.. 메니지먼트 스위치에서 대역폭은 셋팅메뉴를 셋팅함으로써 각 포트의 대역폭을 정해진대로 셋팅할 수 있겠지만
스위치가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를 느리게 하고 빠르게 하고 하는 것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외 IDC쪽과도 속도가 안나온다라고 상담해보세요..
시스템을 그렇게 구축하였다면 구축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재대로 하려면 유료 서비스 전에 테스트까지 해보죠..
일단 오늘 오전에 간단하게 기존 작업된 부분에 대해서 개발자분과 구성이유에 대해 서로 토의해보겠습니다.
그 이후 IDC에 문의하여 방안을 모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