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2 |
U+에 Mikrotik CCR1009 및 hAP ac 긴급 설치 질문 몇가지 있어… (8) |
나무33 |
2020-12 |
5208 |
0 |
2020-12
5208
1 나무33
|
801 |
사설공유기(방화벽) 환경에서 유플러스영화월정액 서비스 인증 (11) |
닉name |
2022-03 |
3806 |
0 |
2022-03
3806
1 닉name
|
800 |
파일서버에 10gbe 랜 4포트 구성하면 직접 4개의 컴퓨터에서 연… (3) |
태영파파 |
2022-09 |
4502 |
0 |
2022-09
4502
1 태영파파
|
799 |
Proxmox X710-DA2 SR-IOV 적용 테스트 (5) |
람다람쥐 |
2024-06 |
6506 |
0 |
2024-06
6506
1 람다람쥐
|
798 |
[질문]미크로틱 장비 네이버 대용량 파일 업로드 끊김문제... (1) |
조스바 |
2015-08 |
8761 |
0 |
2015-08
8761
1 조스바
|
797 |
[시리즈] SOPHOS방화벽 설치하기 1편 (15) |
팬도라 |
2016-02 |
21254 |
8 |
2016-02
21254
1 팬도라
|
796 |
한국과 베트남회사와의 대용량 자료를 주고받기? 방법 (7) |
kking |
2016-04 |
6922 |
0 |
2016-04
6922
1 kking
|
795 |
Ubiquiti ERPOE-5가 도착했습니다. (13) |
송주환 |
2018-04 |
10212 |
0 |
2018-04
10212
1 송주환
|
794 |
fortigate 60c - 4.0MR - SSL VPN 설정하기 (1) |
회원K |
2018-08 |
11635 |
0 |
2018-08
11635
1 회원K
|
793 |
24포트(48포트) 기가 스위칭허브 팬없는 모델 알고계시면 추천 … (11) |
냄일현 |
2019-02 |
7939 |
0 |
2019-02
7939
1 냄일현
|
792 |
router ospf 질문이요 (4) |
키리에 |
2021-10 |
3902 |
0 |
2021-10
3902
1 키리에
|
791 |
c9115axi ping 빠짐 (4) |
아름이 |
2023-01 |
13623 |
0 |
2023-01
13623
1 아름이
|
790 |
인터넷 업로드 속도 관련 (1) |
머들개여리 |
2023-02 |
7990 |
0 |
2023-02
7990
1 머들개여리
|
789 |
가정에서 쓸만한 저렴한 스위치 추천좀 해주세요 (10) |
원탱이방굴이 |
2023-06 |
11893 |
0 |
2023-06
11893
1 원탱이방굴이
|
788 |
[긴급] 포티게이트 방화벽 설정파일 1만5000개 유출, IP 주소 … (4) |
김황중 |
01-22 |
3899 |
1 |
01-22
3899
1 김황중
|
787 |
저렴한(?) 11ac AP 설치를 하였습니다. (4) |
곰삼촌 |
2015-02 |
11733 |
2 |
2015-02
11733
1 곰삼촌
|
786 |
인터넷 공급업체(ISP)에서 패킷을 분석한다면 (3) |
해피밥 |
2015-10 |
9973 |
0 |
2015-10
9973
1 해피밥
|
785 |
회사에서 작은 서버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합니다. (13) |
필리핀왕자 |
2015-12 |
7833 |
0 |
2015-12
7833
1 필리핀왕자
|
784 |
Sophos XG Firewall Bridge Mode 질문 (1) |
NGC |
2016-07 |
8370 |
1 |
2016-07
8370
1 NGC
|
783 |
케이블 구축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8) |
엠씨넷 |
2017-06 |
5957 |
1 |
2017-06
5957
1 엠씨넷
|
CAT 6로 작업하려면 전용툴도 필요하고 해서 아마 기존에 가지고 있는 툴로는 고생만 하실수 있습니다.
무슨장비를 쓰길레 응답속도가 예민한가요??
은행권이나 증권쪽이라면 조심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커넥터 작업해서 포설하겠는데 위와 같은 상황이라 기성품이 뭔가 더 안전할까 싶기도 하구요.
찝기만 짤 찝으면 문제가 안될거 같은데.. 테스트하구요.
그래도 오류의 가능성이나 기성품만의 장점이 있을까 싶어서요.가격 차이가 꽤 나더라구요.
AMP,LS 정도 써줘야 합니다..
차이는 큰부하에서 전송속도가 차이납니다..
약 10년 전 웹하드 전성기때 비싸도 LS전선 것만 맞춰서 찍어서 가지고 간 업체가 있는데
비싸도 쓰는 이유는 속도가 1.5-2배 가까이 차이 난답니다..
오래 써보면 안답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1-2만원 테스터기 말고 50-100만원짜리 랜테스터기로 문제 없다면 그때는 진짜 문제 없습니다..
견적 넣으실때 피해보상소리가 나오지 않게 잘 피해서 견적 넣으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진 싸구려 테스터기로 작업하면 안될거 같네요.
긴거리 포설은 직접 하시고
패치패널 작업 및 스위치 연결 작업은 기성품 사용합니다.
패치패널 및 스위치 연결만 기성품, 그 외 데스크탑은 찝어서.
선재에서 불량 나오면 문제해결이 아주 어렵습니다.
특히나 요즘의 저가 케이블은 알루미늄에 구리코팅된 물건들이 범람을 하는데, 이런건 1m짜리 패치케이블에서도 문제가 심각합니다.
수십~수백개씩 사용하는 패치케이블은 기성품 사서 쓰는게 더 편안한데, 포설은 직접 케이블 펴시는게 더 좋습니다.
패치케이블도 비싼거 쓰셔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