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
미크로틱으로 공인IP를 VPN 클라이언트에서 받아서 쓰는 방법이… (5) |
접착제 |
2014-09 |
20052 |
3 |
2014-09
20052
1 접착제
|
61 |
무선 ap관련 문의 드립니다^^; (9) |
ymini |
2014-08 |
18898 |
3 |
2014-08
18898
1 ymini
|
60 |
사무실과 IDC간 미크로틱장비로 VPN을 구성하는데 안되네요. (7) |
빡시다 |
2014-08 |
20190 |
3 |
2014-08
20190
1 빡시다
|
59 |
시큐아이 MF2 - HA 모드 (2) |
회원K |
2014-08 |
26894 |
3 |
2014-08
26894
1 회원K
|
58 |
routeros smb over pptp 질문입니다. (3) |
김선동 |
2014-08 |
17613 |
3 |
2014-08
17613
1 김선동
|
57 |
미크로틱 UPnP, Wireless 설정 질문입니다. (2) |
s김종화z |
2014-08 |
19414 |
3 |
2014-08
19414
1 s김종화z
|
56 |
2014년 하반기 - 시큐아이 MF2 UTM 라인업 (6) |
회원K |
2014-07 |
27013 |
3 |
2014-07
27013
1 회원K
|
55 |
MF2 100, 300 UTM 브로셔 (2) |
회원K |
2014-07 |
18487 |
3 |
2014-07
18487
1 회원K
|
54 |
MikroTik RB750G File Sharing Test |
이태욱 |
2014-07 |
10124 |
3 |
2014-07
10124
1 이태욱
|
53 |
직원 기숙사를 위해 밤과 낮 속도 제한하기 (4) |
MikroTik이진 |
2014-07 |
13737 |
4 |
2014-07
13737
1 MikroTik이진
|
52 |
vSphere Network 6 - VM 과 Mikrotik RouterOS Networking (2) |
제Ol |
2014-06 |
12112 |
3 |
2014-06
12112
1 제Ol
|
51 |
vSphere Network 5 - vSphere 에 VM 생성 |
제Ol |
2014-06 |
9506 |
3 |
2014-06
9506
1 제Ol
|
50 |
vSphere Network 4 - Mikrotik RouterOS Network 설정 |
제Ol |
2014-06 |
9718 |
3 |
2014-06
9718
1 제Ol
|
49 |
[정보] MikroTik 제품에 LTE모뎀 연동하기 (5) |
이태욱 |
2014-06 |
9438 |
3 |
2014-06
9438
1 이태욱
|
48 |
vSphere Network 3 - Mikrotik RouterOS Winbox |
제Ol |
2014-06 |
7927 |
3 |
2014-06
7927
1 제Ol
|
47 |
vSphere Network 2 - Mikrotik RouterOS Internet 설정 |
제Ol |
2014-06 |
7833 |
3 |
2014-06
7833
1 제Ol
|
46 |
vSphere Network 1 - vSphere에 Mikrotik RouterOS 설치 (2) |
제Ol |
2014-06 |
10767 |
5 |
2014-06
10767
1 제Ol
|
45 |
2대의 미크로틱 장비를 이용한 Fail over 구성에 대해. (6) |
MikroTik이진 |
2014-06 |
8137 |
3 |
2014-06
8137
1 MikroTik이진
|
44 |
미크로틱 Interface 에서 Auto Negotiation 을 끄면 활성화가 … (6) |
s김종화z |
2014-06 |
7945 |
3 |
2014-06
7945
1 s김종화z
|
43 |
동아리 내부 망을 MikroTik RouteOS로 관리해보려고 합니다. |
민호양 |
2014-06 |
7110 |
3 |
2014-06
7110
1 민호양
|
다만, samba를 어디에 돌리시는지 모르겠으나, 저 같은 경우는 집의 내부망에 있는 Samba 접근시
VPN이라고 하여 특별히 집 내부에서 쓸때와 다른 점을 발견하지 못햇습니다.
(하하, 인터넷 망이라 속도는 많이 느립니다.)
저 같은 경우 회사와 집 내부망 IP Subnet이 다른데,
회사와 집 모두 내부망 IP Subnet이 같으면 IP와 routing에 문제가 생길것 같기는 합니다.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http://wiki.mikrotik.com/wiki/Manual:BCP_bridging_(PPP_tunnel_bridging)
.
Connecting Remote Client 상황에서 bcp 설정하는 방법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