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gear GS316 16 Port 이용한 기가비트 내부망 구성

파키라   
   조회 12709   추천 0    

대략 20명 안팍의 인원이 근무하는 해외 지사입니다. 2개의 사무실이 붙어 있구요.
아래  Netgear GS316 16 Port 스위치 2개를 연결하여 32 포트의 기가비트 내부망을 구성하고 나스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괜찮은지 문의 좀 드립니다. 두개를 크로스로 연결하면 전체 포트가 32개 중에서 2개를 제외한 30명 이상이 기가비트로 연결되는게 맞는지요?

모든 포트가 기가 비트로 통신이 가능한지요? 동시 접속시 속도나 이런건 어떤지요?

http://www.kbench.com/?q=node/160072

https://www.amazon.in/gp/product/B01AX8XHRQ/ref=ox_sc_act_title_4?ie=UTF8&psc=1&smid=AC3A0QLFGYYCB

또는 아루바라는 AP를 사용하라는 추천도 있는데, 아무래도 나스에서 SMB 연결해서 고용량의 파일을 바로 열어서 작업을 하려고 하니까 무선 AP는 좀 꺼려지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엠브리오 2017-09
기가비트 속도를 무선랜에서도 유지하려고 하는건 어림도 없습니다.
한두명 접속은 가능할수도 있겠지만, 여러명이 접속하는 순간부터 대역폭을 감당하지 못합니다.
     
파키라 2017-09
네. 저도 그런거 같습니다. 일단 무선 AP 는 제외 입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7-09
저 유선 허브에서 각포트에 연결되는 컴퓨터들은 기가빗 대역으로 연결은 되겠지만

실데이터가 풀로 모든 포트에 왔다갔다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사무실에 들어오는 데이터 원선의 최대 속도가 얼마나 나오나요 ??
     
파키라 2017-09
외부 접속은 어차피 버렸습니다. 나라는 인도인데 100M 나오면 잘 나옵니다.
단지, 내부에서 파일서버를 공유해서 작업하여 자료 파편화를 막기 위함입니다. 고로 내부 연결만 기가빗이 나오면 되어요.
기가빗으로 대역 연결은 되겠지만, 실데이터 전송 속도가 안나온다고 말씀하신 것은 혹시 더 좋은 스위치허브를 쓰면 나아질려나요?
기가빗까지 안바라더라도 대략 열댓명이 한 네트워크에서 나스에 연결하여 작업할 때 나스의 성능은 둘째치고 네트워크 속도가 병목등이 생기는지를 몰라서요.
자료는 뭐 캐드 도면이 주입니다.
그래픽이래봐야 스케치업 정도고요.
용도에 따라 다를꺼 같습니다.
지역과 하시는 업무가 어떤걸까요?
나스에 있는 파일의 종류 같은게 공유가 가능하면 더 좋을꺼 같습니다.
     
파키라 2017-09
인도고요, 캐드 도면 작업입니다.
위에도 썼듯이 내부용 네트워크 파일 공유 용도입니다.
박문형 2017-09
인터넷에서 스팩 확인해보니

비관리형 16포크 기가 스윗치 이고

일명 깡통 스위치입니다..

저런 제품은 포트가 다 차면 퍼포먼스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제가 맨날 떠드는 제품이 있는데요...

NETGEAR GS724TV4 랑 GS748TV3 입니다..

요 두 제품은 관리형 스윗치로 허브에 여러 셋팅 메뉴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국 게임방협회 인증 제품입니다..

GS724TV4 같은 경우는 펜이 없는 펜리스 제품입니다..

국내에서 구입하실지 인도에서 구입하실지는 모르겠으나 요 두제품을 추천합니다..
     
파키라 2017-09
아 고민되네요. 가격이 24포트이기는 하지만 3배가 넘네요 ㅜㅜ
특별한 관리기능이 필요없는 내부망 용도라면 전혀 문제 없습니다.
     
파키라 2017-09
감사합니다.
선택하신 스위치가 비관리형이라고 하는데.. 관리형으로 바꿔서 좋을 수 있는 것은 두 스위치 간의 연결이나 NAS와의 연결에 여러 포트를 써서 대역폭을 키울 수 있다는 것 정도일 것 같습니다. NAS에 여러 PC가 동시접근하려고 할때 속도저하를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쟁적으로 NAS에 접근하려는 상황이 별로 없다면 굳이 관리형 스위치로 갈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요즘은 MDI-X auto-detection 이라는 기능이 기본이 되어서 크로스 케이블을 만들거나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당연히 모든 포트가 기가빗 통신이 가능하고, 기가빗 스위칭은 보통 속도저하가 없습니다. 다만 NAS와 같이 트래픽이 집중되는 포트가 병목이 될 수 있는데, 그 심각성에 따라 앞에서 이야기한 LAG 등을 고려해야 할 것 같네요.
     
파키라 2017-09
감사합니다. 혹시 나스 자체에 LAG(Link Aggregation?)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면 위의 비관리형 스위치로도 대역 분산이 가능할까요?
나스는 시놀리지 제품을 사려고 합니다.아마 기기비트 NIC 두개 달려있는 제품일듯 싶은데요.
          
LAG가 되려면 NAS와 스위치 모두가 지원해야 합니다. 기가빗 관리형 16포트면 그렇게 비싸지 않을 것 같아요. 스위치 둘 다 관리형이어야 스위치 간 연결에도 LAG가 가능하겠지요.
일단 NAS 가 정해진게 아니라면 NAS 에 4포트정도의 기가비트 이더넷이 달린 제품을 구입하십시오.
그리고 NAS 를 두는 사무실에 24포트 관리기능이 있는 스위치를 넣으시고.. LAG 나 PortChannel 등은 지원해야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무실에 역시 하나 더 넣고 둘 사이를 4G 정도로 LAG, PortChannel 로 묶으시면 되겠습니다.
     
파키라 2017-09
아마 나스는 2개포트의 기기빗이더넷을 살거 같구요. 위에 말씀하신 것은 Nas 를 연결하는 쪽은 관리형으로 다른 한쪽은 비관리형 스위치로 하라는 말씀이시죠. 그것도 대안이 될 수 있겠네요. 그럼 스위치간의 통신은 좀 병목이 생기더라도 나스에서 병목을 분산시키는 효과는 있겠네요. 제 생각이 맞을까요? ㅎ
          
사실 기가비트 관리형이 그다지 비싸지 않아서요 흐흐.. 쪽지도 드렸어요. 인도는 잘 모르겠군요..
넷기어에선 아마도 GSS116E라는 모델이 저렴한 16포트 스마트스위치일 것이고 2개의 LAG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포트 NAS와 다른 스위치를 기가비트 2회선으로 묶어주기 딱 적당한 스위치라고 보면 되고요. 생긴 건 저것과 똑같이 생겼습니다. 웹매니지먼트 가능하고요. 요즘은 TP-Link같은 회사에서도 LAG를 지원하는 저렴한 스위치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비용은 크게 차이가 안날겁니다. 그런데 LAG로 묶어도 실제론 여러명이 동시에 붙었을 때 대역폭 증가의 효과는 있지만 정작 NAS의 1개 디스크에 동시에 접근하는 상황이라면 HDD가 병목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구성도를 그려서 각 장비들의 대역폭을 함께 표기하여 고민하는게 좋습니다.
724가 중고 6만원정도선입니다.
스페어로 1대해서 3대 구하시는게 어떠실지요.

성능과 가격은 비례합니다.


제목Page 3/107
2018-03   10073   관중
2019-12   4227   이웃집정씨
2021-06   5839   helplz
2022-07   6398   이사장
2024-11   4622   임재민
2018-04   14412   새총
2019-03   5390   일달
2019-07   7953   가비의리
2020-02   6036   Synkc
2021-03   7876   나가이써
2015-09   10823   성기사
2018-07   11912   작은악마
2019-12   7868   yootopia
2020-11   6922   앞점멸금지
2021-11   5290   딥러딥러닝
2021-12   2989   L2스위치
2022-10   9014   태영파파
2015-11   7406   보거스123
2017-09   12710   파키라
2021-12   3835   L2스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