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2 |
10G 네트워크 환경에서 속도 질문 드립니다. (3) |
관중 |
2018-03 |
10073 |
0 |
2018-03
10073
1 관중
|
2081 |
cisco AP 구형+신형 모델을 동일대역에서 같이쓰면 문제가 생길… (1) |
이웃집정씨 |
2019-12 |
4227 |
0 |
2019-12
4227
1 이웃집정씨
|
2080 |
인터넷이 1분마다 끊깁니다..ㅠㅠ (7) |
helplz |
2021-06 |
5839 |
0 |
2021-06
5839
1 helplz
|
2079 |
마트 네트워크문제 문의드립니다. (16) |
이사장 |
2022-07 |
6398 |
0 |
2022-07
6398
1 이사장
|
2078 |
홈네트워크 구성 조언부탁드립니다. (10) |
임재민 |
2024-11 |
4622 |
0 |
2024-11
4622
1 임재민
|
2077 |
4월중 시간이 조금 생겼네요....네떡 LAB TEST 중입니다. (10) |
새총 |
2018-04 |
14412 |
0 |
2018-04
14412
1 새총
|
2076 |
미크로틱'RB2011UiAS) 내부끼리의 통신이 안되네요. (2) |
일달 |
2019-03 |
5390 |
0 |
2019-03
5390
1 일달
|
2075 |
미크로틱 CRS305에 물렸을 때 pc의 인터넷 화면 로딩 속도가 느… (6) |
가비의리 |
2019-07 |
7953 |
0 |
2019-07
7953
1 가비의리
|
2074 |
사내 WIFI망 구축 질문 드립니다. (10) |
Synkc |
2020-02 |
6036 |
0 |
2020-02
6036
1 Synkc
|
2073 |
idc 에서 트래픽비용 폭탄을 맞았습니다;; (11) |
나가이써 |
2021-03 |
7876 |
0 |
2021-03
7876
1 나가이써
|
2072 |
엣지 라우터 라이트에서 iptv 시청... (1) |
성기사 |
2015-09 |
10823 |
0 |
2015-09
10823
1 성기사
|
2071 |
ASUS AC58U HTTPS(SSL) 적용방법 (1) |
작은악마 |
2018-07 |
11912 |
0 |
2018-07
11912
1 작은악마
|
2070 |
미크로틱 RB4011 공유기 - CRS305 스위치 하단에 물린 NAS 포트… (19) |
yootopia |
2019-12 |
7868 |
0 |
2019-12
7868
1 yootopia
|
2069 |
IPTIME H6005-IGMP 사용한 2p 500M 구축 질문 (5) |
앞점멸금지 |
2020-11 |
6922 |
0 |
2020-11
6922
1 앞점멸금지
|
2068 |
skb 공유기 포트포워딩 하는데 갯수 제한이 있습니다 한번에 여… (4) |
딥러딥러닝 |
2021-11 |
5290 |
0 |
2021-11
5290
1 딥러딥러닝
|
2067 |
스위치 이중화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L2스위치 |
2021-12 |
2989 |
0 |
2021-12
2989
1 L2스위치
|
2066 |
2.5기가 스위치 사용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4) |
태영파파 |
2022-10 |
9014 |
0 |
2022-10
9014
1 태영파파
|
2065 |
네트워크 입문도서 추천좀요.. (2) |
보거스123 |
2015-11 |
7406 |
0 |
2015-11
7406
1 보거스123
|
2064 |
Netgear GS316 16 Port 이용한 기가비트 내부망 구성 (18) |
파키라 |
2017-09 |
12710 |
0 |
2017-09
12710
1 파키라
|
2063 |
스위치 MLAG, VPC, VLT 관련 질문드립니다 (3) |
L2스위치 |
2021-12 |
3835 |
0 |
2021-12
3835
1 L2스위치
|
한두명 접속은 가능할수도 있겠지만, 여러명이 접속하는 순간부터 대역폭을 감당하지 못합니다.
감사합니다.
실데이터가 풀로 모든 포트에 왔다갔다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사무실에 들어오는 데이터 원선의 최대 속도가 얼마나 나오나요 ??
단지, 내부에서 파일서버를 공유해서 작업하여 자료 파편화를 막기 위함입니다. 고로 내부 연결만 기가빗이 나오면 되어요.
기가빗으로 대역 연결은 되겠지만, 실데이터 전송 속도가 안나온다고 말씀하신 것은 혹시 더 좋은 스위치허브를 쓰면 나아질려나요?
기가빗까지 안바라더라도 대략 열댓명이 한 네트워크에서 나스에 연결하여 작업할 때 나스의 성능은 둘째치고 네트워크 속도가 병목등이 생기는지를 몰라서요.
자료는 뭐 캐드 도면이 주입니다.
그래픽이래봐야 스케치업 정도고요.
지역과 하시는 업무가 어떤걸까요?
나스에 있는 파일의 종류 같은게 공유가 가능하면 더 좋을꺼 같습니다.
위에도 썼듯이 내부용 네트워크 파일 공유 용도입니다.
비관리형 16포크 기가 스윗치 이고
일명 깡통 스위치입니다..
저런 제품은 포트가 다 차면 퍼포먼스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제가 맨날 떠드는 제품이 있는데요...
NETGEAR GS724TV4 랑 GS748TV3 입니다..
요 두 제품은 관리형 스윗치로 허브에 여러 셋팅 메뉴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국 게임방협회 인증 제품입니다..
GS724TV4 같은 경우는 펜이 없는 펜리스 제품입니다..
국내에서 구입하실지 인도에서 구입하실지는 모르겠으나 요 두제품을 추천합니다..
요즘은 MDI-X auto-detection 이라는 기능이 기본이 되어서 크로스 케이블을 만들거나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당연히 모든 포트가 기가빗 통신이 가능하고, 기가빗 스위칭은 보통 속도저하가 없습니다. 다만 NAS와 같이 트래픽이 집중되는 포트가 병목이 될 수 있는데, 그 심각성에 따라 앞에서 이야기한 LAG 등을 고려해야 할 것 같네요.
나스는 시놀리지 제품을 사려고 합니다.아마 기기비트 NIC 두개 달려있는 제품일듯 싶은데요.
그리고 NAS 를 두는 사무실에 24포트 관리기능이 있는 스위치를 넣으시고.. LAG 나 PortChannel 등은 지원해야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무실에 역시 하나 더 넣고 둘 사이를 4G 정도로 LAG, PortChannel 로 묶으시면 되겠습니다.
스페어로 1대해서 3대 구하시는게 어떠실지요.
성능과 가격은 비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