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은 클라우드 개발 하고 있고요. 서버와 관련된 이것저것 개발합니다.
시작은 재택 근무 덕분이었으나, 끝이 심히 창대하네요(...)
요즘 아기가 여기저기 뒤지고 다녀서 서버를 감출(?) 랙을 하나 사야 하나 고민입니다.
============
휴대폰 + 아이패드
- LG G3 (SKT) x 2EA (부부)
- 아이패드 에어 128GB 셀룰러 모델 + 아이패드 3세대(티빙전용..) + 아이패드 미니 셀룰러...
- 3G unlimited (무적칩)
- LTE unlimited (온가족 50% 할인)
인터넷
- SKB 100메가 아파트 광랜
케이블링
- 모든 케이블은 CAT6로 구성.
라우터
- Ubiquanti Edge Router POE-5
- Vyatta 기반의 H/W Router.
- 64byte 기준으로 1Mil packet per second 처리 성능
(1Gbps를 64byte 패킷으로 온전하게 처리 가능)
- 즉, 집안의 라우터 레벨에서는 1Gbps 서비스에 대응 완료.
스위치 #1
- Mikrotik CRS109-8G-1S-2HnD-IN
- 2.4 Ghz 무선 브릿지로 사용
- Smart TV, Settop box 등이 연결됨
스위치 #2
- TP-Link 24port managed switch
- 서버들 사이를 LACP으로 연결.
서버(NAS)
- HP microserver N36L
- 사제 파워 서플라이 교체.
- WD Red 3TB x 5ea
- Synology 5.0
- Intel i350-T4 (1Gbps x 4EA NIC/Bonding)
- iSCSI 호스트.
서버(Compute) #1
- Lenovo ThinkServer TS140 70A4001LUX
- Xeon E3-1225v3 / 32GB RAM / SSD 1TB
- Intel i350-T4 (1Gbps x 4EA NIC/Bonding)
- VMWare ESXi 5.5u1
서버(Compute) #2
- Lenovo ThinkServer TS140 70A4001LUX
- Xeon E3-1225v3 / 32GB RAM
- Intel i350-T4 (1Gbps x 4EA NIC/Bonding)
- VMWare ESXi 5.5u1
외부 서버 #1 (at company)
- HP microserver Gen8
- Xeon E3-1230v2 / 16GB RAM
- VMWare ESXi 5.5
- 100Mbps Shared.
- Remote Desktop 용도 외.
외부 서버 #2 (US West)
- 미국 서부 / VPS 가상 서버
- Xeon E3-1240v3 / 3GB RAM
- DNS용(Dynamic/Static)
- DNS Proxy용
- 간단한 웹 서비스 (VESTA CP)
- 패킷 패스쓰루 용도.
외부 서버 #3 (at IDC)
- 일산 IDC / VPS 가상 서버
- ssh tunneling 용 SOKS5 Proxy 경유 서버.
- 개발 용도
노트북 #1 (개발 및 업무용)
- MSI 게이밍 노트북
- Intel i7-4710HQ(4core/8thread)
- 16GB RAM
- 500 GB SSD + 1TB HDD
- HD 4670 + GTX870M
노트북 #2 (가정용)
- i5 / 16GB RAM
- 500 GB SSD + 1TB HDD
- 터미널 서비스 접근 및 스팀 머신(?)
기타
- 버짓하게 가다 보니.. 죄다 직구네요. 스위치도 라우터도 서버도 SSD도. 심지어 하드에 NIC까지...
============
Software stack
망 사이 접근
- SSH Tunneling SOCKS5
- Proxifier 로 접근. 따로 VPN 연결이 없이 해당 네트워크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 SOCKS5 인증이 없는 상황이라도(SSH 터널링은 인증 없는 SOCKS5 임) 방화벽을 잘 설정해주면 된다.
Service
- 80포트로 집에 인입하는 경우 haproxy를 통하여 들어오게 됨.
- 헤더를 까보고 서비스별로 분기.
기타.
- 집에 모든 서버는 네트워크 부트(PXE)됩니다. 엔터로 바로 우분투 서버는 그냥 최신 버전으로 쭉 깔립니다...
- 윈도는 MSDN subscription입니다. 하지만 귀찮아서 KMS 를 세팅해서 씁니다.
- ESXi 는 별다른거 안하면 ESXi 자체만은 무료 라이센스 줍니다.
Proxifier (윈도우용)
- 리눅스 서버를 하나 두고 SSH 터널을 사용해 SOCKS5 Proxy를 열어 둔다. 이때 중계되는 서버는 iptables로 특정 IP만 열어두어야 함.
- 목적지 서버(SSHd 에 sysctl로 ipforward 를 켜줄것) - 중계 서버 - 사용자 클라이언트(proxifier) 로 해당 목적지 서버의 subnet에 직접 접근 가능해짐
- 특정 도메인 프로그램을 특정 프록시로 라우팅 가능. 예를들어 아마존, 페이팔은 지메일, 특정 사이트(인트라넷)은 회사서버 등으로 라우팅 가능.
´ë´ÜÇϳ׿ä. Àúµµ ÀÌ·¸°Ô ±¸ÃàÇÒ ´É·ÂÀ» °®°í ½Í¾î¿ä.
ÀúÈñ ȸ»ç´Â 40¸íÀÌ ¾²´Â ³×Æ®¿öÅ© Àε¥µµ.. ÇãÁ¢ÇÕ´Ï´Ù.. .¤Ð.¤Ð
³ªÁß¿¡ ³×Æ®¿öÅ© ±¸ÃàÇÒ¶§ Áú¹®Á» µå·Áµµ µÉ·±Áö¿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