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세번째 중소기업의 10기가 네트워크 구축

   조회 5560   추천 0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64723&member… (444)

 먼저 대상을 정의해 봅니다.
1. 인원수 이상의 PC 를 사용하면서 빠른 자료공유가 필요한 기업
2. 안정적인 내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2중화의 필요성을 느끼는 기업
3. 따로 전산실이 없는 기업
4. 대용량의 자료저장이 필요한 기업
5. 그래도 외부로 부터의 침입 등 보안에 조금은 신경이 쓰이는 기업
6. 대부분의 직원이 하나의 사무실내에서 일하는 기업

이런 경우를 최대로 산정해서 50~70인, 건물내 동일층에 200평 규모의 사무실 하나에 대표이사실,임원실,회의실,탕비실,창고,기업부설 연구소(단독 출입문) 등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링크참조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364723&memberNo=2752366&navigationType=push

프로시아 2019-09
좋은 자료네요.
방화벽장비에 들어가는 라인이 ISP업체와 LTE가 있는데..
ISP가 WAN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LTE는..  흔희 알고 있는 (SK,KT,LG) 통신사 LTE말하는건가요??
유심끼우면 통신이 되는??? 그런걸 말하는지 궁금합니다.
     
epowergate 2019-09
보통 Core단 2대를 MLAG (VCP, VLT, ...)으로, Edge to Core는 LACP로 하지 않나요? 
저희는 보통 그렇게 제안하는데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물론 F/W Upgrade할때 지랄이긴 하지만 가장 안정적이라서요
실제 구축엔 VRRP 든 아니면 MLAG 든 구축은 여러가지 방식을 사용합니다.
OSPF 도 있구요.. 그건 메인 이슈는 아닙니다. 적용의 문제일뿐
     
epowergate 2019-09
코어스위치 2개 사이에 링크가 않보여서 여쭤본겁니다.
          
예리하시군요 ㅎㅎ 개념만이라 이런식으로 이중화 한다지 실제 구성도라고 보긴 힘들죠


제목Page 59/107
2019-10   8192   누굴까
2019-10   5517   회상2
2019-10   9585   Mentis
2019-10   6051   나두련
2019-10   5703   RIGIDBODY
2019-10   7007   그리폰0
2019-09   5115   Mentis
2019-09   6651   유영근
2019-09   5887   MikroTik이진
2019-09   5346   MikroTik이진
2019-09   4871   MikroTik이진
2019-09   5561   MikroTik이진
2019-09   5428   MikroTik이진
2019-09   4774   단아
2019-09   6301   칸풍기
2019-09   5715   루시엘
2019-09   4405   송주환
2019-09   5836   10기가T
2019-09   4539   회상2
2019-09   14558   MikroTik이진